오사카 돔


(일본프로야구 1군 홈구장)
센트럴리그(Central League) 퍼시픽리그(Pacific League)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요미우리 자이언츠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메이지진구구장도쿄돔Kobo 파크 미야기메트라이프 돔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주니치 드래곤즈오릭스 버팔로즈치바 롯데 마린즈
요코하마 스타디움나고야돔교세라 돔 오사카
홋토모토 필드 고베
ZOZO 마린 스타디움
한신 타이거스히로시마 도요 카프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한신 고시엔 구장
교세라 돔 오사카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삿포로 돔
도쿄돔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


600px

logo.jpg
오릭스 버팔로즈
교세라 돔 오사카
京セラドーム大阪
개장1997년 3월 1일
소재지오사카오사카 시 니시 구
치요자키 3번지 중2번 1호
홈구단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1997~2004)
오릭스 버팔로즈(2005~ )
한신 타이거스(춘계/하계고시엔 기간 한정, 1997~ )
크기좌우 100m, 좌우중간 116m, 중앙 122m,
지붕 높이 60m, 펜스 4.2m
잔디인조잔디
좌석규모36,477 명
구장 명칭오사카돔(1997~2006)
교세라 돔 오사카(2006~2017)[1]

일본판 트로피카나 필드. 제발 한국에 이런 경기장 좀 짓지 맙시다....는 이미 늦었다. 자쿠머리

1 소개

오사카 부 오사카 시에 있는 야구장이며, 1997년 완공되었다. 당초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가 홈구장으로 사용하였으나 합병 후 현재 오릭스 버팔로즈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두 팀 외에도 전국 고교야구 선수권대회로 한신 고시엔 구장을 사용하지 못하는 한신 타이거스가 여기서 경기하기도 한다.

일본 제2의 대도시권인 관서권 유일의 돔경기장으로 어마어마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도 수많은 행사에 사용되고 있지만 정작 내용은 안습 그 자체. 심지어 전임 홈구단인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해체시키는 위업(?)을 달성한 바도 있다. 원래 오사카 돔을 홈구장으로 쓰던 긴테쓰 버팔로즈가 오릭스에 합병 된 큰 이유 중 하나가 이 비싼 돔구장을 이용하면서 발생한 연 15억엔의 막대한 적자를 감당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2] 넥센긴테쓰 꼴 나지 말라는 법 없다 해체는 한 번만으로 족하지 그꼴 날때까지 넥센이 히어로즈 스폰서를 해줄까?

2 특징그리고 각종 병크들

  • 오사카돔의 특징 중 하나로 일본의 돔구장들 중 가장 좁고(33,800㎡) 높다는(70m) 점을 들 수 있는데, 내부 시설이 9층까지 있다. 당초 오사카 내에서 경기장을 지을 마땅한 부지를 찾지 못해[3] 서부 재개발 사업을 겸해 키즈강변의 오사카 가스 공장 부지에 경기장을 우겨넣다보니 좁은 공간에 많은 관중을 유치하려면 이 방법밖엔 없었다.

20090515_2.JPG
사진 속 펜스는 현재 짙은 파란색으로 바뀌었다.

  • 그런데 이렇게 경기장을 무턱대고 높게 짓다 보니 돔구장의 수요 수입원 중 하나인 공연장으로 이용하기에는 음향 전달이 좋지 않아 별도로 가변 천장을 설치해야 했다(...) 현재 오사카 돔의 천장은 60m로 고정된 상태. 그런데 큰 돈 들여서 가변 천장까지 설치하고 보니 이번에는 오사카 돔이 위치한 키즈강변의 연약지반이 문제가 되었다. 오사카 돔에서 대형 공연이 열려 3~4만여 관중이 일제히 점프를 할 경우 주변 건물들에는 진도 1~4 정도의 진동이 전달되는데 이것만으로도 흠좀무한 일이건만 바로 옆에는 채 이전하지 않은 오사카 가스의 가스탱크들이 버젓이 남아있다(...)[4] 결국 2003년 이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한 이후로 단체 점프가 우려되는 공연은 일체 허가되지 않고 있다.

  • 그렇다고 본업인 야구 경기 흥행 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것도 아니었는데, 일단 원래 가스공장이 들어서 있던 부지였던 데다가 균형발전과 재개발을 명분으로 낙후된 서구 주택가 한가운데에 돔구장을 박아놨으니 유동인구가 많을 리도 없었고, 그나마도 도로변인 북쪽과 서쪽은 모두 오사카시 공공시설들로 가로막혀 있어 부대수익을 노리고 개장한 쇼핑몰들은 전철역 빼면 유동인구가 나올 수가 없는 키즈강변 쪽에 설치해야 했다.[5] 설상가상으로 주변 도시에서의 접근성도 좋지 않아 2009년 한신난바선 돔 앞 치요자키역이 개통된 후에야 나라, 아마가사키, 니시노미야, 고베 등 킨키권 도시들에서의 직통 교통편이 마련되었다.[6][7] 그나마 연결되는 철도노선인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은 고작 4량편성(....)으로 다니는 꽤나 한산한 노선이다.
  • 여기에 긴테쓰 버팔로즈의 환상적인 성적도 흥행 시망에 큰 역할을 담당했는데, 긴테쓰 버팔로즈는 50년의 팀 역사를 통틀어 1950년 양대리그 편성 이래 5~60여년간 존재한 팀 중 유일하게 일본시리즈 우승을 못 해본 팀, 유일하게 시즌 100패를 달성한 팀 등의 기록으로 일본 프로야구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안그래도 경쟁이 치열한 킨키권에서 이렇듯 성적이 엉망이니 킨키권의 인기는 한신 타이거스에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근데 정작 한신도 80년대 후반~90년대엔 성적 개판이었딘 건 함정(...) 오릭스가 긴테쓰를 병합해 오릭스 버팔로즈로 출범한 이후에도 오사카 돔 홈구단의 흥행성적은 그다지 신통치 않은 상황이다.[8] 그나마 오릭스가 돈 많은 회사라 버티는 것이지...

이런 총체적 막장의 근원은 애초에 오사카 돔이 시장 수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 즉 오사카 돔은 어디까지나 도쿄에 돔이 생겼는데 오사카에도 하나쯤 있어야 한다능!이라는 식의 지역감정에서 건설 요구가 제기되고 서부 재개발이라는 균형발전 논리에 입각해 부지가 선정된 것이지 도쿄돔이나 후쿠오카돔처럼 상업적 흥행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수반된 것이 아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연계교통도 별로인 도시 서쪽 끝 낙후지역의 연약지반 공장부지에 무식하게 높은 구장을 우겨넣고 흥행 씹망팀을 집어넣는 식의 막장 행보가 가능했던 것이다(...). 물론 긴테쓰 버팔로즈가 이전에 사용하던 후지이데라 구장이 시설도 열악하고 그렇다고 리모델링을 하자니 주민들이 관람객 유입과 야간 조명/소음공해 등을 이유로 반대하는 등 여러모로 안습한지라 신구장이 필요하기는 했지만, 문제는 버팔로즈는 일본 제일의 인기를 자랑하는 교진이 아니었고 오사카돔 부지도 연계교통과 넓은 부지가 잘 갖춰진 코라쿠엔 경기장 부지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결국 오사카 돔 관리주체였던 제3섹터 회사 오사카 시티 돔은 2004년 홈구단 긴테쓰 버팔로즈의 병합과 함께 파산을 신청하며 오사카의 대표적인 재원낭비 사례로 두고두고 까이는 신세가 되었고[9], 현재의 오사카 시티 돔은 오릭스 측에서 지분 90%를 보유하고 있다. 별 생각 없이 화려함만을 쫓은 돔드립의 최후를 잘 보여주는 사례. 근데 이웃나라의 돔구장 에서도 이런 일들이 생겼다.

3 공연장

일본의 공연장 규모
라이브 하우스1,000~2,000석Zepp, LOFT, SHELTER, BLITZ, SHIBUYA-AX,
TSUTAYA O-EAST/O-WEST/O-nest/O-crest, WWW,Quattro 등
1,500~10,000석시민회관, 국제회의장 등
무도관7,000~8,000석일본무도관
아레나6,000~30,000석요요기 제1체육관, 요코하마 아레나,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오사카성 홀 등
30,000~50,000석일본 5대 돔구장
도쿄돔, 후쿠오카 돔, 교세라 돔 오사카, 나고야돔, 삿포로 돔
스타디움30,000~72,000석도쿄국립경기장, 닛산 스타디움,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일본 무도관에서 공연한다는 건 일본 음악시장, 일본의 음악계에서 메이저 진입을 의미한다.
돔구장이다 보니 당연히 공연장으로써 활용이 되는데, 위에 언급했다 시피 주변 시설때문에 제약이 많고, 음향시설이 구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1. 원래 오사카 돔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으나 교세라에 명명권을 판매하면서 2006년 4월 1일자로 교세라 돔 오사카로 변경했다. 오사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은 지역 주민들로부터 오사카라는 이름이 안빠졌으면 좋겠다는 청원이 있엇기 때문. 계약기간은 5년이었으며 1차 계약 이후 2011년에 3년간 기간 연장 계약을 했고, 2014년에 다시 2017년까지 계약 연장을 했다. 계약금액은 모두 비공개.
  2. 물론 그 전에 모기업인 긴테쓰 자체가 버블경제시기 무리한 사업확장이 화근이 되어 이 시기에 대대적인 구조조정 압박을 받고 있기는 했다. 게다가 당시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가 오사카돔에서 부담한 금액은 연 11억엔 정도로 알려져 있으니 돔구장 유지비를 제외하고도 상당한 적자가 발생하던 상황. 하지만 오사카돔에서의 적자가 그나마 연명중이던 팀의 마지막 숨통을 끊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3. 오죽하면 일본생명구장을 이용하던 1960년대, 긴테쓰 측에서는 일본생명구장의 열악한 시설과 일정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원래의 본거지인 후지이데라 구장으로의 복귀나 오사카 내에서의 신구장 건설이 아닌 주쿄권으로의 이전을 검토하기도 했다. 나고야 터줏대감인 주니치 드래곤즈 때문에 무산되긴 했지만.
  4. 맨위 사진에도 보면 구장 바로옆에 연두색의 가스탱크가 보인다.
  5. 무려 9개 철도 노선을 낀 현기증 나는 입지를 자랑했던 오사카 구장은 정작 오사카 돔이 개장한 이후인 1998년에 들어서야 철거되기 시작했다. 뭐 오사카 야구장은 애초에 호크스의 후쿠오카 이전과 동시에 철거와 재개발이 결정된 상태였고 버블 크리를 맞아서 그렇지 대주주가 난카이 전기철도인데다가 긴테쓰는 이 근처에 노선이 없긴 했지만.그런데 오사카돔 근처에도 긴테쓰 노선이 없었다는 게 함정 그러니까 망했지 과거형인 이유는 현재 난바역을 기점으로 하는 긴테쓰의 나라선과 한신의 한신난바선이 직결운행중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이 2003년 착공, 2009년 개통(...)
  6. 900만 인구를 자랑하는 오사카부나 1800만 인구의 게이한신 도시권에서 오사카시의 인구 비중은 고작 1/3 수준이다. 오사카가 아닌 효고현에 위치한 고시엔 구장의 흥행이나 사쿠라가와역~신후카에역/이마자토역 사이를 병주하는 한신난바선센니치마에선의 흥행성적을 보면 왜 주변도시 연결망이 흥행에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알 수 있다.
  7. 이렇게 중요한 노선이 2009년에 와서야 개통된 것은 오사카시의 시영 먼로주의(시내 교통망을 오사카시에서 독점하려는 태도), 난바로의 인구 유출을 바라지 않았던 쿠죠 일대 상인들의 님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우리만 이러는 건 아니라 다행....인가?
  8.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돔구장 이용팀들은 연간 평균관중 2만명 이상을 기록한다. 그런데 오릭스는 유일하게 평관 2만명을 못 찍는 판이니 더 이상 설명이 必要韓紙?
  9. 제3섹터 회사란 간단히 말해 우리의 코레일처럼 영리를 추구하는 공기업을 의미하는데 오사카 시티 돔의 경우 오사카시가 대주주로 참여했다. 덤으로 여기에 출자했던 한신 전기철도는 돔구장의 흥행을 위해 한신난바선을 건설했는데 정작 이 제3섹터 회사가 파산했으니(...) 뭐 그래도 한신 타이거스가 몇 경기를 쓸 수 있게 되었으니 이 쪽은 그나마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