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군함 | |||||||||||||||||||||||||||||||||||||||||||||||||||||||||||||||||||||||||||||||||||||||||||||||||||
전투함 | |||||||||||||||||||||||||||||||||||||||||||||||||||||||||||||||||||||||||||||||||||||||||||||||||||
구축함 | 이소카제급,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 아키즈키급, 마츠급 | ||||||||||||||||||||||||||||||||||||||||||||||||||||||||||||||||||||||||||||||||||||||||||||||||||
사쿠라급, 카바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 |||||||||||||||||||||||||||||||||||||||||||||||||||||||||||||||||||||||||||||||||||||||||||||||||||
잠수함 | L급, 해중형,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 ||||||||||||||||||||||||||||||||||||||||||||||||||||||||||||||||||||||||||||||||||||||||||||||||||
경순양함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중순양함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 |||||||||||||||||||||||||||||||||||||||||||||||||||||||||||||||||||||||||||||||||||||||||||||||||||
전함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 호쇼, 류조,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지요다), 신요, 다이요급, 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 아카기, 카가,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 ||||||||||||||||||||||||||||||||||||||||||||||||||||||||||||||||||||||||||||||||||||||||||||||||||
연습함 / 포함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제1호형 어뢰정,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미국 | 독일 제국 | ||
러시아 제국 | 영국 | ||
2차 세계대전 | |||
미국 | 일본 제국 |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폴란드 | 프랑스 | ||
스웨덴 | 핀란드 | ||
중화민국 | 만주국 | ||
냉전 | |||
소련 | 동독 | ||
현대전 | 미국 | 일본 | |
대한민국 | 인도 | ||
중화민국 | 러시아 | ||
영국 | 중국 | ||
프랑스 | 태국 | ||
독일 | 이탈리아 | ||
스페인 | 호주 | ||
북한 |
1 개요
태평양 전쟁 개전 직전의 일본군이 항공전력을 보강하기 위해 계획한 항공모함. 히류의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여기에 히류의 준동형함이었던 소류에서 히류보다 우수했던 요소들을 추가하여 반영했다. 덕분에 근본적으로는 히류의 개량형이지만 완성되고 난 이후의 외형은 소류에 가깝다.
1941년 8월에 일본군 해군의 전력 정비 계획인 마루5계획(マル5計画)을 마루급계획(マル急計画)으로 변경하며 히류의 개량형 항공모함을 만드는 계획이 세워졌는데, 기존 항공모함에 비해 비교적 빠르고 쉽게 건조할 수 있는 간이양산형 중형 항공모함을 만드는 것이 핵심 사안이었다. 최종적으로 기준배수량 22400톤에 만재배수량 22800톤, 길이 227.4미터에 너비 27미터, 최고속력 34노트를 갖추게 되었고, 함재기 탑재량은 65기가 되었다. 대공 화기를 상당히 충실히 갖춰서, 연장 12.7cm 대공포 6기와 3연장 25mm 기관포 22기와 단장 25mm 기관포 30기를 장착했다. 3번함인 카츠라기에 이르러서는 25mm 기관포 대신 다연장 대공 로켓포로 교체하기도 하였다.
2 상세
원래는 네임쉽인 운류만 건조하고 끝날 예정이었으나, 미드웨이 해전에서 항공모함 4척을 잃는 큰 타격을 받은 뒤 부족한 항공전력을 메꾸기 위해 카이마루5계획(改マル5計画)을 올려 16척을 더 만들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일본군의 고질적인 자원 부족 문제와 전황 악화 등의 사정으로 인해 이름이 붙여질 정도로 건조가 진행된 함선은 2번함 아마기부터 7번함 쿠라마까지 고작 6척밖에 되지 못했고, 그나마도 최종적으로 건조가 완료된 것은 3번함 카츠라기까지 달랑 2척밖에 되지 못한데다 완성 시기가 이미 연합군 쪽으로 승기가 완전히 기운 전쟁 말기였던지라 제대로 활약할 기회가 전혀 주어지지 않았다.[1]
히류나 소류 등과 비교해 보면, 함교를 좌현 중앙부분에서 우현 앞부분으로 옮기고, 함재기용 엘리베이터를 2기로 줄인 대신 신형기의 스펙에 맞춰 크기를 늘리고 운용속도를 올렸으며, 유폭 대비 방어와 어뢰 방어를 상승시킨 대신 포격 방어를 하락시킨 등의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기본 설계의 개선으로 인해 히류/소류 등과 비교해서 생산성 또한 상승했다.
꽤 유명한 사진. 지팡구에도 나온다.
2번함 아마기는 구레 항을 방어하다가 전복되어 전후 스크랩 처리되었으며, 처분 직전에 촬영한 위의 사진이 유명하다. 3번함 카츠라기는 1944년 10월 15일에 일본군 최후의 항공모함으로 취역했으나 역시 구레 군항 공습때 파괴되었고, 최소한의 유지보수만 한 뒤에 전후 패잔병 귀환선으로 활용된 뒤 해체되었다.
탑재기 수도 57기로 늘리면서 A7M 렛푸나 B7A 류세이 등의 후기형 함재기에 맞춘 여러 가지 스펙 업그레이드를 실시한 설계를 했다. 다른 항모에 비해 급조임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사이즈는 갖췄기에 그정도 수의 함재기 운용은 가능했으나 해당 함재기들의 추가 개발이 한없이 미뤄지면서 원래 계획된 함재기를 단 한 기도 싣지 못했던 안습한 사연마저 가지고 있다. 그나마 1번함인 운류가 MXY-7 오카를 육상기지에 수송하는 임무를 맡아 몇 기 정도 싣고 다니긴 했는데, 이건 혼자 이륙도 못하니 함재기라고 보통 부르지도 않고(...) 그냥 대형 수송선이나 마찬가지 취급을 받으며 발진기록을 하나도 남기지 못하고 최후를 맞이했다.
3 운류급 항공모함 계획안 리스트
- 마루급계획
- 302호: 1번함 운류(雲龍): 1944년 8월 6일 취역. 1944년 12월 19일에 오카를 비롯한 육상기지로의 물자운반 임무 도중 SS-395 레드피쉬의 뇌격을 받고 침몰했다.
- 개마루5계획
- 5001호: 2번함 아마기(天城): 1944년 8월 10일 취역. 구레 군항 공습 때 전복되어 전후 스크랩 처분되었다.
- 5002호: 시나노를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계획이 잡히며 5005호와 함께 초기 단계에서 건조 중지.
- 5003호: 3번함 카츠라기(葛城): 1944년 10월 15일 취역. 전후 패잔병 귀환선으로 쓰인 후 스크랩 처분되었다.
- 5004호: 4번함 카사기(笠置): 1945년 1월 1일에 완성도 84% 단계에서 건조 중지. 전후 스크랩 처분되었다.
- 5005호: 시나노를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계획이 잡히며 5002호와 함께 초기 단계에서 건조 중지.
- 5006호: 5번함 아소(阿蘇): 1944년 11월 1일에 완성도 60% 단계에서 건조 중지. 구레 군항 공습으로 그나마 남아 있던 작업물조차 못 쓰게 되었다.
- 5007호: 6번함 이코마(生駒): 1944년 11월 17일에 완성도 60% 단계에서 건조 중지. 이후 기록 불명.
- 5008호: 7번함 쿠라마(鞍馬): 이코마의 건조 개시 직후에 건조 계획이 잡혔으나 전황의 악화로 이름만 지어질 정도의 초기 단계에서 건조 중지.
이하 쿠라마보다 건조 계획이 늦게 잡힌 5009호부터 5016호까지는 이름조차 지어지지 못하고 초기 단계에서 건조가 중지되었다.
4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
- 네이비필드에서 일본 3차 항모로 등장한다.
정규항모 트리인 호쇼 - 류조 라인이 아닌, 기동항모 트리인 준요 라인으로 이어지는 트리로 가야한다
- 함대 컬렉션에 네임쉽 운류와 2번함 아마기, 3번함 카츠라기가 의인화되어 등장한다. 함대 컬렉션/항공모함 항목 참조.
- 스트라이크 위치스 극장판에서도 짤막하게 출현. 주인공 일행을 유럽행 당시 이동수단으로 나왔다.
- ↑ 같은 기간 미국은 운류급보다 더 대형인 에식스급을 24척이나 완성시키고 있었다. 그것도 몇몇 함들은 1년 정도의 건조기간을 소비한 끝에 준공되었다는 기록마저 있으니, 운류의 건조 기간 2년은 일본의 실력이 매우 낮았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