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7M 렛푸

제2차 세계대전의 일본군 항공병기
육군 전투기Ki-27 97식 전투기,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100 5식 전투기
육군 쌍발 전투기Ki-45 토류, Ki-102 5식 습격기
육군 폭격기BR-20 시코그나, Ki-21 97식 중폭격기, Ki-30 97식 경폭격기, Ki-32 98식 경폭격기, Ki-49 돈류, Ki-51 99식 습격기, Ki-67 히류
함재기함상전투기A5M 96식 함상전투기, A6M 0식 함상전투기, A7M 렛푸
함상공격기B5M 97식 2호 함상공격기, B5N 97식 함상공격기, B6N 텐잔, B7A 류세이
함상폭격기D3A 99식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함상정찰기C6N 사이운
노획 항공기LaGG-3, F2A 버팔로, B-17, P-51 머스탱, P-40 워호크
해군 소속 육상공격기/폭격기G3M 96식 육상공격기, G4M 1식 육상공격기, P1Y 깅가,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G8N 렌잔
해군 소속 국지전투기N1K-J 시덴, J1N 겟코, J2M 라이덴
해군 소속 수송기L2D,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해군 소속 수상기F1M 영식수상관측기, E13A 영식수상정찰기, N1K 쿄후, M6A 세이란, E16A 즈이운
특공기MXY-7 오카, Ki-115 츠루기
프로토타입J4M 센덴, J7W 신덴, J9Y 깃카, 나카지마 Ki-87, Ki-88^, 다치카와 Ki-94, Ki-201, Ki-200 슈스이, R2Y 케이운, J6K 진푸^
페이퍼 플랜A8M 리후쿠, G10N 후가쿠*, 와쿠세이 함상폭격기, Ki-162
대잠 초계기Q1W 토카이
*엔진만 몇기 만들어졌다. ^목업으로만 존재함.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Mitsubishi A7M 17th experiment carrier fighter Reppu 'Sam'
三菱 A7M 一七試艦上戦闘機 烈風

400px

1 개요

일본군 해군의 시제 함상 전투기로, F6F 헬캣F4U 콜세어에 대항하는 새로운 함상 전투기로서 고출력 엔진을 장착하여 속도와 무장 방호력 등을 올리면서도 기동성 면에서 우위를 갖는 것을 목표로 했다.

A7M2 렛푸 11형 기준으로 제원은 다음과 같다.

전장 : 10.98m
전폭 : 14.00m
전고 : 4.29m
주익면적 : 31.30m²
자체중량 : 3,266kg
전비중량 : 4,720kg
최고속도 : 630km/h (고도 6,600m)
상승고도 : 10,900m
항속거리 : 통상 1,600km (30분 전투+2.5시간 비행)
프로펠러 : VDM 정속 4발 프로펠러
엔진 : 미쓰비시 Ha-43-11 복열 18기통 공냉식 성형엔진, 상승 2,200마력
무장 : 주익에 20mm 99식 2호 기총 2정, 13.2mm 3식 기총 2정

2 상세

겐다 미노루를 필두로 한 해군측은 낮은 익면하중과 그로 인한 격투전 성능의 유지를 지나치게 개발진에게 강조했고, 때문에 프로토타입은 육군의 Ki-84 하야테와 같은 호마레 엔진을 사용했으면서도 육군의 하야테는 2차대전 후반기에도 상위권에 들어가는 성능의 전투기지만[1] 렛푸의 프로토타입은 말 그대로 우주 쓰레기급으로 만들어진데다 어떤 면에서는 A6M보다 못하기까지 했다.

산타크루즈 해전 당시 엔터프라이즈호넷을 대파시켰던 일본군 파일럿 시가 요시오[2]는 전쟁 말기 시덴과 렛푸의 개발에 테스트 파일럿으로 참가하면서 시덴에게는 비교적 높은 평가를 내린 반면, 렛푸에게는 "이따위 물건을 만들려는 놈들의 머릿속이 궁금하다"라고 혹평하기도 했다. 날개가 길어 선회성능은 좋으나 움직임이 둔하고, 덕분에 단순한 속도의 문제를 떠나서 느려터진 기체라는 평가였던 모양.

결국 17시 함상전투기의 계획은 취소되고 호리코시 지로 이하 미츠비시의 개발진들은 있던 제로센이나 개량하라는 소리를 듣게 되었다. 개발진은 겨우 높으신 분들을 뜯어말린 후 개량을 계속해서, 익면하중의 적절한 상승과 그로 인해 줄어든 날개, 강력한 Ha-43 엔진[3] 장착에 의한 속도 증대 등을 통해 그럭저럭 헬켓을 약간 능가하는 최고 시속 630km/h라는 성능을 얻어냈고, 이 성과를 접한 해군은 즉각 이를 해군 함상전투기 렛푸(烈風) 11형으로 채용하고 양산을 지시한다.

그렇게 만들었어도 렛푸는 여러 모로 부조화가 넘쳐나는 기종이라는 건 변하지 않았고 이미 때는 1945년 6월이었다. 시제기 겸 양산기로 8기가 생산되었다는 자체가 용한 일이었으며, 더군다나 렛푸가 좀 더 빨리 생산되어 전선에 투입되었다 해도 1944년 말에 이미 해군 항공기 계열 중에서도 마왕으로 불린 F4U-4가 미해군에 전달되고 있었다. 막강한 속도와 상승력을 겸비하고 무시무시한 고속기동성과 엄청난 에너지 잠재력을 다 갖춘 대전 궁극의 프롭기를 렛푸 정도의 성능으로 대체 어떻게 상대한단 말인가. 끔살 확정.

설상가상으로 기존에 상대하던 F6F-5조차 45년 테스트에선 650km/h를 넘긴다. F4U-1? 이미 전쟁 발발전 프로토타입 시절에 650km/h를 넘기고 44년 에는 693km/h를 기록하고 있었다.[4] 유일하게 내세워 볼만한 선회력도 날렵한 F8F-1이 배치되고 있었으므로 의미가 없다. 그리고 이미 미국은 제트기를 찍어내고 외장 연료탱크만 전달되면 태평양에 투입할 예정이었다. 즉 어떻게 나오더라도 불타는 일본 전투기 대열에 신나게 합류할 운명이었던 것이다. 일단은 제로센을 타는것보다는 나을테지만...

애초에 멀리 외국까지 가지 않아도 일육군의 하야테와 일해군의 시덴카이같은 전훈을 제대로 반영한 고성능 기체들에 비해서도 부족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속력만 봐도 하야테는 687km/h(단, 이는 미국에서 같은 92옥탄 연료를 넣은 상태에서 일본이 측정한 6000m에서의 660kph보다 높게 나온것이다.), 시덴카이는 658km/h의 속력을 낸다.

3 A7M3-J 렛푸카이


400px
A7M3-J 렛푸카이라는 개량형도 계획되었다. 지상기지 기반으로 사용하려 했으며, 상당한 고각으로 배치된 폭격기 요격용 5식 30mm 기관포가 특징. 사진에는 안보이지만 기체 중간에 독일의 슈레게무지크(Schrägemusik)[5]와 비슷하게 장비된 기관포도 2기이며 날개에도 4기가 달려있다고 한다. 기본형과 같은 엔진으로 648km/h의 속력을 내서 화력에 비해 속력은 그럭저럭 우수한 편.

렛푸카이를 기반으로 다시 20식 갑전투기라는 전투기가 개발될 예정이었다고 한다.

4 여담

2013년 4월. 호리코시 지로의 유품을 정리하던 유족들이 개량형인 렛푸 카이(烈風 改)의 설계도를 찾았다고 한다. 위에서 언급된 A7M3-J가 바로 이것. 기사 링크

5 미디어에서 등장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는 일본 7티어 전투기로 등장한다. 특징으로는 아래쪽의 워썬더와는 다르게 티어 대비 성능이 너무 약하다는 점. 7티어인 덕택에 P-51D 머스탱이나, F4U-4 커세어같은 준수한 기체들을 주로 만나며 잊을만하면 8티어인 Me 262도(...) 만날수 있다. 너무 구려서 7탑에서 한 팀에 이거 두대 뜨면 그 팀은 거의 진다.
  • 월드 오브 워쉽에서 9, 10티어 항공모함인 다이호, 하쿠류의 함재기로 나온다.하쿠류는 차후 A8M으로 교체되며 기존의 종이비행기들과는 차원이 다른 강력함을 보유한 것이 특징.동티어 미 항모들을 나락으로 빠뜨린 원인 중 하나.
  • 함대 컬렉션에서는 모르는 아이에게 먹혔다... 개발 가능한 최상위 함상전투기로 오랫동안 군림하고 있다. 어이없게도 실제로 더 고성능인 시덴카이 함재기 버전보다 더 강하게 나오는데 아마 제로센의 뒤를 잇는 정통 함상전투기 라인이란 이유로 성능을 추켜세워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적은 확률이지만 개발 가능한 이유로 더욱 더. 그리고 특별 이벤트 보상으로 랫푸카이를 한 번 풀었던 적이 있다. 아카기와 야마토가 사실 어떤 항모의 주식이라 한다

--

  • 전함소녀에서도 등장한다. 문제는 앞서 말한 성능 문제가 있음에도 대공 9 회피 2라는 걸출한 성능을 가진 5성 전투기로 나와서 논란이 있다. 태평양의 끝판왕인 F4U 콜세어가 대공 9 이외에 다른 옵션은 없다는 것이 더 논란을 일으켰다.
  • 워 썬더에선 1.53 패치 이후 렛푸의 시제기 A7M1이 3랭크 프리미엄 전투기로 등장하였다. 특징은 티어 대비 성능이 너무 강력하다는 점에 있는데 F6F 헬캣보다도 BR이 낮아 훨씬 만만한 적을 상대하게 된다(...), 1.55 패치 이후 킨세이를 18기통화 시킨 Ha-43 엔진으로 교체한 A7M2 렛푸 11형이 일본 해군 정규트리 3랭크 함재기로써 등장하였는데 앞서 언급한 시제기와의 성능차도 크지 않은 주제에 배틀티어는 훨씬 높다.
  • 야후 재팬에서 서비스 중인 웹게임 편대소녀에서는 4성 기체로 등장. 4성에 속한 기체 중에선 압도적으로 높은 회피능력과 준수한 명중, 무장률을 갖고 있는 우수한 기체지만 장갑(체력)이 타 기체의 70%가 될까말까인지라(장갑 1400인데 2단계 아래인 2성의 상위기체들 체력이 1650이다) 파일럿 선택이 중요한 기체다.
  1. 2000마력급에 시속 680km를 넘는다. 영국의 호커 템페스트와 비교해도 거의 대등한 수준이다.
  2. 카가준요의 비행대장이었고, 시나노가 완성되었다면 시나노의 비행대장이 될 예정이었던 인물이다. 343 해군항공대에 비행대장으로 있을 당시 부대에 카미카제 명령이 떨어지자 '너희 윗사람 중 한명이라도 특공에 동승할 사람이 있다면 카미카제 명령에 동의하겠다'라는 식으로 맹반발. 결국 이후로 343 항공대에는 한번도 카미카제 명령이 떨어지지 않았다. 실력과 인품 모두 훌륭해 상관과 부하 모두로부터 신뢰받는 인물이었으나. 343 해군항공대의 아웃사이더(…)였던 사카이 사부로에게는 '지휘관으로서는 너무 물러터진 인간'이라고 까였다.
  3. 대전중 일본제 항공기용 엔진 중 그나마 가장 쓸만했던 미츠비시 킨세이(1500마력)를 18기통으로 잡아늘린 것. 역시 사카에를 18기통으로 잡아늘린 호마레와 비슷한 경우인데, 과연 제대로 된 성능을 냈을지는 의문이다. 단순히 실린더 수만 늘린게 아니라 "최고의 엔진"을 만든답시고 별별 신기술들을 집어넣기 때문인데, 태평양전쟁 발발전부터 개발에 착수한 호마레조차 도입된 신기술들의 미성숙으로 인해서 양산품에서조차 온갖 문제점이 속출한 판이었는데, 마비상태로 치닫는 1944년의 일본 공업계에서 신기술이 대폭 투입된 새로운 항공기용 엔진이 제대로 양산이 되었을지는 의심스럽다.
  4. 더 중요한 사실이 있는데, 헬캣이나 콜세어나 급강하시 속도는 최하 800km/h를 넘기는 기종들이다. 650km/h니 693km/h니 하는 속도는 전부 급강하기동시의 속도가 아니다! P-51D? P-47N? 이쪽은 급강하시 음속을 돌파했다는 루머도 있을만큼 급강하시 속도가 빠르다.(단, 저 음속 돌파 루머는 음속에 다가가면 갈수록 프로펠러가 항력덩어리로 작용하는 래시프로기들 특성상 말 그대로 루머다. 어디까지나 그만큼 빠르게 느껴진다고 받아들여야 한다.)
  5. Bf110에 사용된 것으로, 발사방향이 위쪽을 향하게 설치된 기관포. 폭격기 요격에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