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KXm8cGB.gif 이 크고 아름다운철도 길이를 보라.
1 개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대륙횡단 철도. 통합화물철도 네트워크로서 영어로는 Trans-Asian Railway{TAR} (아시아 횡단철도)라고 부른다.
2 배경
1950년대, 싱가포르와 터키의 이스탄불을 잇는 1만 4천 080킬로미터(미국의 마일로는 8천 750마일)의 철도노선을 잇는 것으로 구상된 것이 그 시초였다. 당시에는 항공운항이 현재와 같이 발달된 상황이 아니었으므로 철도가 주요 장거리 교통수단이었고 이 노선을 바탕으로 유럽과 아프리카까지 차기에 연결하는 것 까지 계획 중이었다. 개통될 경우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물류수송거리와 기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60년대, 70년대, 80년대 해당지역의 정치적, 경제적 불안과 냉전까지 겹치면서 장애를 받게되었다. 그 후 90년대, 냉전이 종식되면서 일부 해당국가들간의 관계가 회복되어짐에 따라서 유라시아 철도 구상 방안도 고개를 다시 들게 된다.
유라시아 철도 계획은 유럽국가들간의 무역증가와 아울러 내륙국가들인 라오스,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몽골과 중앙아시아국가들간의 경제와 교류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제로 이들 중 상당수의 철로구간은 유라시아 내륙대교로 아직도 건제한 까닭에 별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해당국가들이 이용하는 철로궤간이 다른 것이 문제였다. 실례로 터키, 이란, 중국과 대한민국이 사용하는 궤간은 1,435밀리미터의 표준궤간이고, 러시아와 구 소련 연방국가들은 1,520밀리미터, 핀란드는 1,524밀리미터의 광궤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동남아시아국가들은 1천 밀리미터 궤간을 사용 중이다. 이들 연결구간에는 기계화 궤간대차시설을 설치 서로 다른 연결구간을 끊어짐 없이 잇는 것으로 구상중이다.
3 현재 구상 중인 구간
2001년까지 4개 구간이 프로젝트 가능성 구간으로 연구 중이다.
- 북부횡단구간: 유럽과 태평양을 잇는 연결구간으로서 독일, 폴란드, 벨라루스, 러시아,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그리고 대한민국을 잇는 노선이다. 총 4개의 구간 변환점이 있는데 폴란드- 벨라루스국경 구간과 카작스탄 - 중국국경 구간과 몽골과 중국국경 구간등이 궤간 전환구간이다.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주 수송선으로 동아시아에서 모스크바까지를 커버하고 있으며 현재는 북한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블라디보스톡까지는 해상수송을 이용하고 있다. 이 횡단구간이 바로 우리가 말하는 유라시아 철도구간이다. 뭐 이런 일이나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대한민국에서 중국 또는 러시아까지 철도수송이 가능해지긴 하겠지만...
철덕들의 꿈과 희망인데... 왜 남북통일은 없는건가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이후 발생할 문제들 때문인듯
- 남부횡단구간: 유럽과 동남아시아를 잇는 구간으로 터키, 이란,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그리고 미얀마와 태국과 중국 윈난 성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로 통해 연결하는 구간이다. 인도와 미얀마, 미얀마와 태국, 그리고 태국과 캄보디아, 그리고 캄보디아와 베트남, 그리고 태국과 윈난성 사이의 궤도차가 존재하며, 궤도 전환점은 이란 - 파키스탄 구간, 인도 - 미얀마 구간, 그리고 인도 - 중국 구간에서 궤간 전환점이 생길 전망이다. 현재 이란 동부 밤에서 자헤단까지의 구간은 개통된 상태.
- 남아시아 횡단연결망: 이 구간은 대체적으로 쿤밍 - 싱가포르 철도선이 주 구간이다.
- 남-북구 횡단구간: 북유럽과 페르시아 만과의 연결선이다. 핀란드의 헬싱키를 출발, 러시아에서 카스피해를 기점으로 해서 세 구간으로 갈라지는데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와 서부 이란으로 이어지는 서부구간과 페리를 통해 이란으로 연결되는 중부구간, 그리고 카작스탄,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동부 이란으로 연결되는 동부구간등의 세 구간으로 이어지는데 이란의 수도 테헤란과 이란의 반다 아바스 항까지 커버되는 구간이다.
4 협정합의
2006년 11월 10일, 유엔 아시아태평양지역담당 경제사회위원회의 일환으로 유라시아 철도망 협정이 17개 아시안 국가들에 의해 서명되었고 철의 실크로드라는 이명으로 불리게 되기도 한다. 2009년 6월 11일에 발효되었다.
5 참가국가들
현재 참가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 참고로 알 사람은 다 알겠지만 아시아 주요국가 중 일본은 제외되었다. 물론 일본도 이론상으론 충분히 대륙으로 철도를 연장할 수는 있으나[1] 주변국과의 관계여지를 생각한다면 안습[2] 그리고 더불어 유라시아 철도의 1차적 목적인 화물/물류 수송[3] 측면서 보면 일본철도는 철저한 여객위주이며 화물철도는 거의 전멸에 가까울 정도로 안습상황이라 실용적인 면에서 타당성이 떨어지기도 하다.
- ↑ 주요 섬인 혼슈섬과 홋카이도 사이의 해저터널로 철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향후 홋카이도와 바로 위의 러시아 사할린섬을 해저터널로 이은 다음 기존 사할린 철도(광궤로 러시아가 개궤예정)와 시베리아 본토와 해저터널로 연계되면 가능은 하나 비용도 그렇고 러일관계 때문에...
- ↑ 한일해저터널도 러일해저터널도 둘 다 국민정서상 현실화되기는 힘든 상황이다.
- ↑ 엄밀하게 봐도 여객수송 용도로는 여러모로 손해다. 거리도 넘사벽급으로 먼데다 고속철도로 업그레이드 시킨다고 해도 전압과 전력에 대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계층이면 몰라도 신속함이 생명인 여객운송업계 입장에서 볼땐 그다지 매력적이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