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즈노사할린스크 역

사할린 동선
노글리키 방면
유즈노사할린스크 그루자보이
유즈노사할린스크 코르사코프 방면
볼시이 옐란

파일:Attachment/유즈노사할린스크 역/Eki.jpg
유리궁전 신역사.

파일:Attachment/유즈노사할린스크 역/old.jpg
일제강점기의 구역사.

유즈노사할린스크역

다국어 표기
영어Yuzhno-Sakhalinsk
러시아어Южно-Сахалинск
중국어南萨哈林斯克
일본어駅/豊原 ユジノサハリンスク
주소
사할린 동선
유즈노사할린스크역
사할린유즈노사할린스크시 693961
일반 철도
운영기관러시아 철도
개업일1906년
역등급추가바람

1 개요

러시아 사할린유즈노사할린스크 시에 위치한 러시아 철도 극동 철도국의 이다. 일본(일본 제국 철도부 가라후토 철도국)이 통치하던 당시의 이름은 토요하라역이다.[1]

2 역 정보

1906년 협궤철도가 깔리면서 개업했다. 처음 이름은 유즈노사할린스크의 원래 러시아식 이름인 블라디미롭카 역이었다. 이 역이 있는 사할린 섬 남부는 한때(1905~45년) 일본 땅이었지만[2]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 1945년 8월소련군이 사할린에 진주하고 1946년 4월 1일에 공식적으로 이 역이 소련 국철에 편입되었다.

일제시대 때나 러시아가 통치하는 지금이나 사할린 수도와 같은 유즈노사할린스크의 중앙역. 인구 자체가 적으니 규모도 작지만 그 역할과 위상은 일본 큐슈하카타역이나 홋카이도삿포로역에 비견될 만 하다. 사할린이므로[3] 러시아 본토와 선로가 이어지지 않아서[4] 한 때는 독자적인 사할린 철도국이 있기도 했었고 그 때는 이 역이 본부였지만 2010년에 다시 하바로프스크에 본부가 있는 극동 철도국 산하로 격하, 편입되었다.

한반도부산역에서 철도연락선인 부관연락선을 통해 산요 본선시모노세키역으로 이어졌듯이 이 곳도 과거에는 치하쿠 연락선을 통해 홋카이도소야 본선으로 이어졌었다. 당연히 그 때는 왓카나이역은 일본 최북단 역도 아니었다

3 트리비아

이 역에 본사를 둔 것으로 설정한 JR 가라후토 홈페이지가 있다.(일본어) 물론 이는 장난성으로 만들어진 개인 홈페이지니 실제로 착각하면 곤란하다.[5] 무슨 02년 디씨보다도 못한 조잡한 퀄리티
  1. 이동 유즈노사할린스크의 당시 이름이 토요하라시(豊原市)였다.
  2. 이동 1943년부터는 한반도대만과는 달리 내지로 취급되었다. 외부 식민지가 아닌 일본 열도 본토의 일부라는 뜻.
  3. 이동 사할린의 면적은 72,492km²로 약 7만 8천의 홋카이도나 약 10만km^2인 남한보다 약간 작고 대만이나 큐슈보다는 큰 정도. 단 일본이 통치했던 남부 사할린의 면적은 대만과 거의 같았다.
  4. 이동 그래서 러시아 광궤가 아닌 일본 철도와 같은 케이프 협궤 궤간으로 철도가 깔려 있다. 2020년까지 사할린도 광궤로 개궤해 본토와 같은 열차가 달리도록 할 계획이라고 한다.
  5. 이동 또 그걸 굳이 따지자면 일단 네임서버(JR은 ns.necidc.net, 이 괴랄한 사이트는 ns1.neweb.ne.jp.)부터 다르고, 사이트도 조잡하다(...) 사실 이런 류의 페이지가 몇개 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