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특수전사령부/여단

틀:군관련

독수리 부대
200px
第1空輸特戰團
1st Special Forces Group

1 개요

1957년에 육군에서 정식 특수부대를 창설하기로 계획하고 육군본부 특전감실의 주도로 부대 창설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한국전 때 활약한 제8240부대(KLO부대와 각종 유격부대들을 통합한 부대) 출신 장교들과 부사관들 등 베테랑 대원들을 창설요원으로 차출하고 백문오 대령을 초대 지휘관으로 하여 특전사의 모체 부대인 제1전투단(제7725부대)이 1958년 4월 1일에 창설되었다. 이 창설요원들은 1958년 4월 15일부터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중인 미 육군 특전단의 제1특전단 교육대에서 공수교육과 특수전교육을 위탁교육 받았다. 이듬해인 1959년 10월 1일 부대명을 제1공수특전단(1st Special Forces Group (Airborne))으로 개칭한다. 예하에 2개의 특전대대를 두었다.

1960년대에 각종 대간첩 작전에 투입되어 무장공비들을 사살했고, 베트남 전쟁 때 ‘파월 맹호부대’와 ‘파월 백마부대’’에 배속되어 각종 특수임무를 수행했다.

1969년 1월 27일과 2월 17일 동해안 경비 사령부 예하로 각각 제1·2유격여단이 창설됐는데 1969년 8월 18일에 이 제1·2유격여단과 제1공수특전단을 통합하여 육군특수전사령부를 창설한다. 이후 1972년 8월 20일 제1공수특전단은 제1공수특전여단으로, 제 1·2 유격여단은 각각 제3·5 공수특전여단으로 개칭됐다. 이후 동해안 경비 사령부는 1982년 제7군단에서 1983년 제7기동군단으로 개편 되었다. 제5공수특전여단의 경우 2000년 '특수임무단'으로 개편되었으며 2010년 파병 전담 부대인 국제평화지원단으로 한 번 더 개편되었다.

2 현존부대

2.1 제1공수특전여단

침투 훈련 중인 제1공수특전여단 대원들
일기당천 천하제일 우리는 무적 검은베레모

얼룩무늬 독수리는 충성과명예 단결에 산다
펼쳐라 날아라 동서남북 가리지말고
안되면 되게하는 제1공수특전여단
천하를 주름잡는 제1공수특전여단
 
-1여단가

독수리 부대
200px
第1空輸特戰旅團
1st Special Forces Brigade

1958년 4월 1일에 육군본부 직할 '제1전투단'으로 창설되었고, 1959년 10월 1일 제1공수특전단으로 개편되었다. 1969년 8월 18일 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면서 특수전사령부 예하로 배속되었다. 그리고 대령이 지휘관인 '단급' 부대에서, 준장이 지휘관이고 예하의 특전대대도 4개로 늘어난 '여단급' 부대로 증편되었고, 그에 따라 부대명도 1972년 9월 20일에 기존의 제1공수특전'단'에서 제1공수특전'여단'으로 개칭된다.

베트남 전쟁 당시 특수전사령부 창설 이전 시절때부터 제1공수특전단 대원들이 파월 맹호부대백마부대에 배속되어 파병돼서 각종 특수작전을 수행하였다.
1968년 울진 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때 투입되어 공비들을 사살하였다. 1969년에도 북한이 흑산도로 간첩선을 남파하자 육해공군 합동작전으로 간첩선을 침몰시켰고, 상륙한 무장공비들은 1공수특전단 대원들과 경찰의 합동작전으로 전원 사살되었다.
1974년 전군 최초로 천리행군을 실시한 부대이기도 하다.
또한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의 명령으로 1여단 소속 64명의 특전대원으로 이루어진 결사대가 조직되어 보복작전에 투입되어 북한 초소 4곳을 파괴하였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참가하였고, 1979년에도 12.12 군사반란 당시 여단장 박희도의 명령으로 국방부를 무력점거하기도 하는 등 쿠데타와 군사정권 창출에 동원되기도 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과거 제1공수특전여단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처음 창설되던 1950년대엔 행정구역 위치상 경기도 김포군 소속이어서 별명으로 '김포 공수특전단', 혹은 줄여서 김포공수단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런데 1960년대에 서울시 영역 확장으로 인해 부대 주둔지의 행정구역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소속으로 편입되었고, 1977년엔 영등포구에서 강서구가 따로 신설되어 분구해 나가면서 그 후론 강서구 소속이다. 즉 부대 위치는 원래 처음 만들어졌던 곳에서 지금까지도 쭉 그대로이지만, 소속 행정구역은 경기도 김포군 -> 서울시 영등포구 -> 서울시 강서구로 바뀌어온 것. [1]

2.2 제3공수특전여단

미 육군 특전부대 제1특전단과 연합 훈련 중인 제3공수특전여단 장병들
번개같이 날쌘기상 비호용사들

하늘과 산과 바다 주름잡는다
검은베레 우리 앞에 누가 맞서랴
비호가 가는 곳엔 승리뿐이다
굳세게 뭉쳐서 싸워이기자
무적의 비호부대 특전 3여단
 
-3여단가

비호 부대
200px
第3空輸特戰旅團
3rd Special Forces Brigade

1969년 1월 18일 동해안 경비 사령부 예하 제1유격여단으로 창설되었으며, 1969년 8월 18일 특수전 사령부가 창설되면서 특수전 사령부 예하로 배속되었고, 1972년 9월 10일 제3공수특전여단으로 개칭된다.

5.18 민주화운동 20일 당시 제7,11공수특전여단과 함께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었다.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침투한 무장공비 6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린 부대로, 대간첩 작전 도중 은폐해 있던 적에게 기습 공격을 받아 한 명이 전사하기도 하였으며 마지막 남은 공비 2명을 사살해 49일간의 대간첩 작전을 종결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6년에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2.3 제5공수특전여단

과거 흑룡부대로 불리웠던 여단. 현재는 파병임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부대로 개편되었다.[2]

자세한 사항은 국제평화지원단으로.

2.4 제7공수특전여단

혹한기 훈련 중인 제7공수특전여단 장병들
우리는 검은베레 특전용사들

불타는 의기정열 가슴에 찼다
하늘로 바다로 어디로든지
거침없이 달리는 천마부대다
천마부대다
 
-7여단가

천마 부대
200px
第7空輸特戰旅團
7th Special Forces Brigade

1974년 10월 1일에 특수전 사령부의 예하로 창설되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17일에 제3,11공수특전여단과 함께 진압부대로 투입되었었다. 1988 서울 올림픽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등 각종 국제 행사에서 다른 특전사 부대와 함께 경호 경비 작전을 수행하였다.

2.5 제9공수특전여단

수색정찰 훈련 중인 제9공수특전여단 대원들
구름을 내려치는 번개와 같이

보아라 피 끓는 사나이 세계
그렇다 너와 나는 베레모 사나이
충성 한가닥에 목숨을 건다
아 아 우리는 9여단 용사
 
-9여단가

귀성 부대
200px
第9空輸特戰旅團
9th Special Forces Brigade

1974년 10월 1일에 특수전 사령부의 예하로 창설되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과거 제9공수특전여단장 출신이다.

12.12 군사반란 당시 서울 근교 부대 중 유일하게 반란군과 협조하지않고 육본 통제하에 있던 부대였다. 반란군을 제압하기 위해 육본의 지시를 받아 경복궁으로 출동하였으나, 반란군과 육본 사이에서 맺어진 일명 '신사협정[3]'으로 인해 중도 회군해버리고 만다. 때문에 만약 그 때 9여단이 회군하지 않고 그대로 경복궁으로 갔더라면 전두환을 위시한 반란군의 쿠데타는 실패로 돌아갔을 것이라는 아쉬움 섞인 목소리도 많다.[4] 물론 그후 12.12가 성공하고 전두환 정권이 들어선 1980년대 이후론 제9공수특전여단 역시 하나회에서 철저히 장악하는 부대가 된다[5]. 비단 9여단 뿐 아니라 사실상 대한민국 전군이 다 하나회에 의해 장악된다.

2015년 9월, 9공수특전여단 故 정연승 원사(추서 계급)가 출근 중 교통사고로 도로 위에 쓰러져 있는 여성을 발견하고 도우려다 신호 위반 차량에 치여 피해 여성과 함께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였었다.

2.6 제11공수특전여단

대테러 훈련 중인 제11공수특전여단 특임대원들
보아라 이 기상 피끓는 충정

일기당천 검은베레 여기 모였다
조국통일 위해서 하늘을 나는
번개같은 황금박쥐 호국의 선봉
무엇이 두려우랴 죽음인들 겁내랴
안되면 되게하는 11공수특전여단
 
-11여단가

황금박쥐 부대
200px
第11空輸特戰旅團
11th Special Forces Brigade

1977년 7월 1일에 특수전 사령부의 예하로 창설되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제3,7공수특전여단과 함께 18일에 진압부대로 투입되었었다.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등 각종 재난 현장에서 다른 특전사 부대들과 함께 인명구조작전을 수행하였으며, 2000년에는 동티모르로 파병되었었다.

2.7 제13공수특전여단

적 건물을 타격하는 훈련을 진행중인 제13공수특전여단 장병들
찬란한 금수강산 푸른창공에

조국에 부름받은 검은베레모
산천을 내 벗 삼아 연마한 정기
일기당천 위용에 승리뿐이다
안되면 되게하라 결사 특공대
우리는 13여단 무적의 용사
 
-13여단가

흑표 부대
200px
第13空輸特戰旅團
13th Special Forces Brigade

1977년 7월 1일에 특수전 사령부의 예하로 창설되었다.

2014년 전인범 사령관의 명령으로 적에게 사로잡혔을 때 각종 고문 등에 대비하기 위해 실시한 '포로체험훈련' 도중 훈련에 참가한 대원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여담으로 배우 박보영의 아버지가 이 부대에서 원사로 전역했다. 또한 역대 특전사 탑팀으로 선정된 적이 가장 많은 여단이기도 하다.
  1. 1여단 근처에 있는 김포공항도 똑같은 경우다. 김포공항이 만들어진 1954년엔 그 위치가 김포군 소속이었기 때문에 이름도 '김포공항'이라고 지어졌지만, 그 후로 범위가 확장된 서울시로 편입되면서 영등포구를 거쳐 70년대에 신설된 강서구 공항동 소속이 되었다.
  2. 국제평화지원단도 여전히 특전사 예하부대이기 때문에 당연히 특전여단의 기본적인 훈련을 모두 받는다.
  3. 서울 내에서의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해 맺어진 협정이었다. 물론 이 협정을 먼저 제시했던 전두환이 순수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을 리가 없었건만 육본은 이를 큰 의심없이 받아들여버린다. 여담으로 이 사건은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도 묘사가 되었다.
  4. 그러나 수기사와 26사단이 출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경사 예하 30, 33경비단과 9사단, 20사단이 반군 주력이라, 9여단이 그대로 돌입했어도 큰 화력이 없는 특수부대의 특성상 반란군측 정규전부대들을 모두 이기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5. 같은 맥락에서 같이 장악되었던 부대가 제9보병사단. 둘 다 9가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