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人稙
1862년 7월 27일~1916년 11월 1일.
조선 말기~일제강점기 시절의 신소설 작가, 친일파. 1862년 7월 27일 ~ 1916년 11월 1일. 호는 국초(菊初). 경기도 음죽(陰竹)(현재의 이천시) 출생.
몰락한 양반 집안 출신으로, 일본 관비 유학생 시험에 합격해 도쿄정치학교의 청강생으로 입학한 1900년까지의 행적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 유학 시절 우수한 성적을 기록해 러일전쟁 때 일본 해군의 한국어 통역관으로 종군하면서부터 출세길이 열린다. 전쟁 후 일본 통감부의 추천으로 실세 이완용과 인연을 맺어 이완용의 통역관으로 들어간 것. 이 때부터 친일 행적이 시작됐다.
이후 이완용의 추천으로 일진회의 기관지 <국민신보>의 주필을 맡게 되었고, 이 시절부터 본격적으로 신소설의 집필에 들어간다. 만세보에 〈모란봉〉 등 친일 소설을 연재하고, 1908년에는 원각사라는 서양식 신파극 극장을 만들어 친일 희곡 〈은세계〉를 상영한다. 이 공(?) 때문인지 경술국치 이후 일본 총독부로부터 성균관 대사성직에 임명되어서 죽기 전까지 잘 먹고 잘 살게 된다.
언제 입교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일본의 신종교인 천리교에 입교하여 신앙생활을 하였으며, 1916년에 사망했을 때에도 천리교 예법으로 장례식을 치르었다.
친일에 물들지 않은 비슷한 시기의 신소설가 이해조 선생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언어 강의 때 이 사람의 작품이 나오면 항상 "친일파이긴 하지만, 개화의식을 고취시킨…" 이라는 평가를 받는다고 하지만, 이미 1980~1990년대 교과서에서부터 친일파이니까 개화의식을 고취한다는 것만으론 부족하다. 그래서 "아니 그러자면 이광수는?"이라는 반론도 많았으며, 이해조를 재평가하자는 말도 많았다.
작품 내적으로 주인공의 미국 유학 부분은 "화성돈(워싱턴의 음역)에서 선진 사상을 공부하고 귀국했다." 한 마디로 대충 넘어가는 모습을 보이지만, 이는 앞서 언급한 이해조의 작품을 비롯해 당시 신소설 대부분의 작품에서 유학을 가는 장면은 이런 식으로 묘사된다[1] 당시 유학이라는 개념은 선진국에 갔으니 당연히 선진 문물을 배워서 훌륭한 사람이 되어 돌아온다는 지극히 단편적인 사고였고, 따라서 유학해서 배우는 신학문의 실체와 그 구체적인 실천 과정은 생각하지 못했다. 이는 일반 대중은 물론이고, 당시 집필하던 문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즉 신소설에서의 유학이라는 것은 일종의 수사적 장치처럼 행위의 구조 속에 끼워넣은 것이다.[2]
이인직이 친일파 중에서도 자발적이고 악질 친일파라고 해서 그가 신소설이란 장르의 선구자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어찌 됐든 「혈의 누」는 1906년 6월에 발표됐으며, 이는 최초의 신소설이기 때문이다.("혈의 누"의 후속작이 "모란봉"이다)
그러나 알다시피 신소설은 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시간은커녕 시험 출제에서도 거의 무시해 버리는 장르라서.......친일을 이유로 최근에는 미당까지 아예 무시해 버리는 판에
1916년 11월에 신경병으로 사망했다.
여담으로 이덕일은 한국 학계가 이인직을 선각자로만 묘사할 뿐, 그가 친일파 였다는걸 서술하지 않고 있다고 책에 쓴적이 있는데, 정작 이덕일이 인용한 문구에는 이인직이 친일파라는 서술이 분명히 들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