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인 의미
- 底水 : 저수지 할 때의 그 저수. 물을 가둬둔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
2 후한 말의 인물
沮授
(? ~ 200년)
기주(冀州) 광평군(廣平郡) 사람. 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때 저수의 자가 공명이라는 설이 퍼졌으나 사실이 아니다.
저(沮)씨가 흔한 성씨가 아니기 때문에 저송의 후손[1]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2.1 생애
2.1.1 원소를 따르기 전까지
젊을 때부터 큰 뜻을 품었고 권모술수에 뛰어났다고 한다. 처음에는 기주별가를 지냈고, 이후 두 현에서 현령(縣令)을 지냈다. 훗날 기주목 한복의 휘하에서 별가·기도위로써 그를 섬겼다.
191년, 한복이 원소에게 기주를 양도하려고 하자 다른 모사들과 더불어 이를 만류하였으나 한복은 듣지 않았다. 결국 원소가 기주를 차지하자, 저수는 그대로 원소를 섬겼다.
2.1.2 원소 휘하에서
저수는 기주·청주·유주·병주 4주(州)를 평정한 뒤 장안에 황제를 맞이하고 낙양의 종묘를 부활시킨다는 전략을 원소에게 설명하여 원소에게서 극찬을 받은 뒤, 감군·분위장군에 임명되었다.
195년, 저수는 원소에게 헌제를 맞이할 것을 진언했으나, 곽도 및 순우경이 이에 반대하였다. 원소도 동탁이 옹립했던 헌제를 맞이하는 것에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저수의 진언은 수용되지 못했다. 이것은 삼국지 위서 원소전의 주석을 인용한 헌제전, 후한서 원소전에 나온다.
또한 저수는 원소가 장남 원담을 청주자사로 임명한 것에 대해 이것은 훗날 화를 키울 것이라며 그만둘 것을 주장하였으나, 원소는 듣지 않았다.[2]
2.1.3 관도대전
이후 조조에 대한 전략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는데, 저수와 전풍은 지구전 전략을 주장했으나 곽도와 심배는 단기전 전략을 주장했다. 원소는 결국 곽도와 심배를 지지했다.
또한 이때 곽도가 저수의 위세가 굉장하다는 것을 참언하였고, 이로 인해 감군의 지위와 권한은 3명의 도독이 다스리는 체제로 분할되어 저수·순우경·곽도가 도독으로 임명되었다.
200년, 관도 전투가 시작되기 직전 저수는 원소의 패배를 예상하고 동생 저종을 비롯한 일족에게 재물을 나눠주었다.
전투가 시작되자 원소는 곽도·순우경·안량에게 명하여 백마에 주둔한 동군태수 유연을 공격하게 했다. 저수는 안량은 용맹하지만 도량이 좁아 단독 작전에는 부적절하다고 원소에게 진언하였으나 거절당했다. 저수의 말처럼 안량은 백마에서 판단을 그르쳐 적중에 고립되고 말았고, 이윽고 조조군 진영에 있던 관우에게 죽임을 당했다.
또 원소가 황하를 건너 연진으로 향하자 저수는 병을 이유로 지휘권을 반납하였기 때문에 원소는 분노하여 저수 휘하의 군을 곽도에게 배속시켰다.
조조군이 관도로 퇴각하자 저수는 재차 지구전을 진언했다. 원소는 거절했으나 조조와 교전을 벌여 전세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순우경이 병량의 호위를 맡았을 때 저수는 순우경만으로는 위험하니, 장기에게 별동대를 인솔하게 하여 수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원소에게 진언했으나 원소는 이것도 거절했다. 순우경은 오소에서 조조에게 습격당해 궤멸당했고(허유가 원소를 배반하고 조조에게 원소군의 진중 상황을 상세히 보고하였다.) 이로 인해 원소군은 무너지고 말았다.
저수는 황하를 건너는 것이 늦어져 조조군에게 생포되었다. 조조는 저수에게 자신의 밑으로 들어올 것을 권하였으나 저수는 거절하였고, 이후에도 조조는 그를 후하게 대접하였으나 저수는 탈출하려 하였다. 결국 저수는 조조에게 처형당하였다.[3]
2.2 평가
일반적인 저수의 이미지는 문약한 참모의 이미지였으나, 실제로는 감군 및 도독을 맡았던 것을 보더라도 매우 탁월한 전략안을 가진 군사령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장군에서 문관으로 와전된 케이스.
원소가 한복의 관료들을 숙청할 때, 숙청되지 않은 몇 안되는 관료다. 또한 관도대전에서 순욱이 원소 휘하 인재들의 안 좋은 점을 평할 때 언급되지 않았다!!! 저수의 지위를 생각할 때 순욱이 깜박했을 리는 없다. 어쩌면 정말로 깔게 없어서 안 깠을지도. 이 때 순욱의 평한 인재들은 딱 순욱의 평이 원인이 되어 최후를 맞은 만큼 저수에 대해 내릴 부정적인 평가가 없어서 언급을 생략했다면... 흠좀무.
한복 휘하에서부터 저수의 진언은 이상할 정도로 거의 무시당한다. 이 문서만 봐도 6번(한복에게 무시당한 것까지 합하면 7번)이나 무시당한다. 결과적으로는 그의 말이 대부분 옳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삼국지의 인물들 중에서도 가장 주인복이 없는 인물.
원소전의 주석에 따르면 역사가 손성은 전풍, 저수의 지모는 옛 전한의 건국공신 장량, 진평에 필적할만한 것이다라고 극찬하였다. 사실 4주 평정까지는 순조로왔던 원소가 건안 4년 이후 저수의 진언을 특히 무시하면서부터 그의 추락이 시작되었다. 관도 전투에서도 저수의 진언을 받아들였다면 승패는 역전할 가능성이 높았다는 말도 있었다.
2.3 미디어 믹스
2.3.1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10,11 |
삼국지 12,13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전형적인 참모격으로 나오며, 지력은 80대 후반~90대 초반으로 전풍에 이어 보통 2위인데, 통솔도 70후반에서 80초반으로 참모 중엔 그럭저럭 높은 편이어서 전투에는 오히려 전풍보다 더 효율적일 때가 있다. 원소 세력에서 전풍이 지력1위 컨셉으로 굳어졌다면 저수는 정치력 1위 컨셉으로 굳어졌다.
삼국지 5에서는 지력 90에 정치80이상으로 군사를 맡을 수 있고 무력도 61이 되서 전장에서 아에 못쓸 장수는 아니다. 특히 특기로 강행을 가지고 있어서 업에서 사방의 도시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속공으로 싸우는 입장에서 상당히 까다롭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79/31/93/92의 S급 문관. 통솔이 어느정도 되기 때문에 부대장 역할도 할 수 있다. 교사, 혼란, 덫을 가지고 있으며 모략계 병법 숙련도는 400. 교사를 활용한 상태이상 방지, 혼란이나 덫을 활용한 공격이 모두 가능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79/37/88/90/76에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는 사기 캐릭터. 원소군에 있을 때도 전풍과 투탑이지만 한복군에 있을 때는 그야말로 에이스이다. 내정 쪽으로도 농업,기술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쓸모가 많으며 영웅집결에선 한복군 소속으로 나온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78/35/90/89/74의 A급 이상의 능력치이며, 한복군에 소속될 때는 장합과 더불어 구세주의 포지션에 있다.그래서인지 장합의 통/무를 저수의 지/정에 Ctrl+C,V한 느낌이다. 그러나 특기가 없다(!) 원소군 모사들은 웁니다 지력 90대로 무특기인 인재는 지력 93의 전풍과 더불어 유이하다.저희가 무슨 잘못이 있다고...
삼국지 12에서는 주군 원소에게 조조와의 싸움에서 지구전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강직한 모습이 일러스트로 나왔다.그리고 휴고니즘에 걸렸다. 전법은 전법봉인. 통솔도 높은 편이라 전장에서 상당히 무섭다. 다만 참군으로써의 비책은 혈공 하나밖에 없는 것이 아쉬울 뿐. 참군은 곽도나 허유 등에게 맡기고 전장에서 열심히 굴려주자.
삼국지 13에서는 매력만 삭제되고 11때와 동일한 능력치이다. 책사치고는 통솔이 괜찮은 편이고 병종적성도 괜찮은 편인데 보유전법은 병력을 일부 소모해서 임의의 진으로 워프하는 위병이다. 전투용으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쓸일이 없어서 애매한 편. 거기에 스킬도 설파7과 병기1을 제외하곤 아무것도없다. 능력치 자체는 상당히 좋아서 내정에 써먹기에도 좋지만 스킬 유무의 차이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은근 나는 편인지라 서럽다. 덤으로 중신특성도 없다. 11이후 간만에 푸대접을 받는 작품인 듯. 병종적성은 창병B.기병.궁병이 A이다.하지만 병기특기의 존재로 성수비시엔 존재의 유무차이가 크고 내정아이템 한.두개정도 쥐어주고 굴리면 훌륭한 A급 내정요원도 될수있다.저수로 플레이하는 경우라면 최대한 빨리 인연을 맺어 전법을 바꾸어 주도록 하자.
2.3.2 영걸전 시리즈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공손찬의 구원군으로 참가하는 계교 전투에서 등장하며, 레벨 8의 궁병로 나온다. 능력치는 무력 60, 지력 85, 통솔력 71로 준수하며, 책략만 조심하면 쉽게 퇴각시킬 수 있다.
그 뒤 유비가 조조의 공격을 피해 원소 휘하에 있을 때 회의장에서 볼 수 있으며, 곽도가 여남으로 도망가는 유비를 추격하러 가는 것을 무시하다가 갑자기 연주 전투에서 5턴째에 장합과 함께 지원군으로 등장한다. 츤데레? 여기서는 레벨 23의 연노병으로 나오며, 플레이어가 도주해야 할 남쪽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상당히 성가신 상대이다. 전투 이후에는 등장이 없으며, 원소군의 핵심 인물 중 하나임에도 왜인지 곽도나 봉기, 심배에 비해 비중이 적어 아쉬움을 남긴다.
삼국지 조조전에서는 책사 계열로 등장하며, 백마 전투부터 나온다. 지력이 94로 상향되었으나, 무력이 52, 통솔력이 68로 하향되었다. 연진 전투때까지는 원소군의 주력으로 활약하나, 관도 전투 직전에 전풍의 편을 들었다가 감옥에 갇혀 참전하지 못하고 이후 연의에서처럼 조조의 회유를 거절하고 처형되었다.여기서 조조가 저수에게 가족을 돌봐주겠다고 하고서는 업 전투때 저곡이 조조군에게 퇴각처리 당하면 죽는다는게 함정
여담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순욱이 자결하고 대신 저수가 아군이 된다는 루머가 있었다. 심지어 그 후에 나오는 아들 저곡까지 영입이 된다나 뭐라나... 당연히 그런 거 없다.
2.3.3 삼국전투기
저수(삼국전투기)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