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아포칼립스

1 개요

포스트 아포칼립스 등의 종말물의 일종. 좀비 아포칼립스와 흡사하지만 발생 가능성으로 치면 아주 높은 편. 즉 완전히 허구라는 것을 가정하고 접근할 수 있는 좀비 아포칼립스와는 달리 분명 낮지만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대로 파고들 경우 아주 어두운 작품이 되기 쉽다.

전염병으로 인해 대다수의 사람이 죽고 소수의 사람만이 살아남는 구도를 그리고 있다. 이런 경우는 대체로 전염병이 일파만파 퍼진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의 전염병 아포칼립스 작품들은 유행성이나 범유행성 전염병을 다루어 전염병이 국가 규모 이상으로 퍼지는 경우가 많다.

전염병의 특성상 사회 혼란이나 재난 상황에서 퍼지기 쉬워서 다른 아포칼립스 상황과 겹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좀비 아포칼립스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허구의 존재인 좀비와는 다르게 전염병 자체는 현실에 존재하는 것이며, 인류 역사 상에서도 흑사병이나 스페인 독감처럼 여러 번 일어난 적이 있는 재난인데다,[1] 아예 생물재해라는 재해의 일종으로 여겨진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염병 아포칼립스를 다루는 작품들은 대부분 고증이 철저하며 무거운 분위기인 경우가 많다.

꼭 사람만 전염병에 걸리라는 법은 없고 동물이나 식물도 전염병에 걸릴 수 있는 만큼, 사람들은 멀쩡한데 다른 생물종들이 전염병으로 절멸 위기에 놓이는 상황도 있다. 예를 들어 동물들은 멀쩡한데 식물들이 전염병으로 죄다 멸종해 버리면 먹이사슬이 붕괴해 다른 생물들도 극심한 피해를 입고 절멸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인간은 종의 다양성이 상당히 넓은 관계로 단일 전염병으로 특정 지역이라면 몰라도 전 세계의 종 전체가 전멸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2] 반면 농작물이나 가축의 경우 상업화된 농업과 축산업으로 인해 종자가 극도로 특화되어 있는 관계로, 전염병 대유행 한방에 특정 종이 전멸해버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예를 들어 바나나라든가 등. 실제로 바나나는 20세기 중순에 한번 전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하여 종자 자체가 멸종되었던 적이 있다, 지금 먹는 바나나는 물론 그 후에 새로 보급된 다른 바나나다.

2 전염병 아포칼립스를 그린 작품

2.1 영화

2.2 만화/애니메이션

  • 노네임드: 가상세계에서 현실세계로 나가보니...
  • 악마의 바이러스: 에볼라 출혈열을 다루는 아동용 만화.

2.3 소설

  • 28 - 정유정
  • 눈먼 자들의 도시: 실명하게 되는 가상의 증상을 전제하였고 접촉한 사람에게 옮겨간다는 것으로 보아 전염병 아포칼립스와 흡사하지만 의학적인 근거가 있다기 보다는 남미 특유의 (그리고 작가의 특징인) '환상적 리얼리즘'에 가깝다. 즉 작품의 실명은 메타포인 셈.
  • 데카메론 - 보카치오
  • 메이즈 러너 시리즈
  • 페스트 - 알베르 까뮈
  • The Stand - 스티븐 킹 : 70년대 작품으로 현대적인 의미로서의 전염병 아포칼립스물의 효시격 되는 작품. 특히 세계가 괴멸되어가는 과정을 그린 초반부의 묘사가 일품이다.

2.4 게임

3 전염병 아포칼립스가 우려되었던 현실의 사례

4 이야깃거리

  1. 창작물처럼 세계 단위로 종말이 찾아온 적은 없지만, 마을 단위로는 현대까지 셀 수 없이 많이 있었고 재수 없으면 도시나 국가 단위까지 갔다.
  2. 물론 전염병이 변이하여 돌연변이가 탄생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지만, 이건 아예 새로운 질병이니 단일 질병은 아니다.
  3. 원작 명은 감염 열도. 일본에 치명적인 전염병이 퍼지는 상황을 다룬 영화.
  4. 다만 이쪽은 전염병과 좀비 둘을 적절히 섞어놓은 것에 가깝다. 작중 좀비가 등장하고 물리면 감염되는 것도 기존의 좀비물과 똑같으나, 감염 원인이 곰팡이의 포자이고 공기 중에 떠다니는 포자의 흡입만으로도 감염이 되기에 작중 주인공들은 특수 마스크를 상시 휴대하고 다닌다.
  5. 다른 작품과는 달리 플레이어가 전염병 아포칼립스를 일으키는 게임이다. 원안이 된 게임은 위의 Pandemic 시리즈일 가능성이 높다. 병원체 종류와 이름 선택, 증상과 전염 경로, 전염성/심각성/치사성 등의 골조가 같다.
  6. 감자마름병이 아일랜드에 퍼지면서 식물들이 말라죽어 식량난이 일어난 케이스. 위에서 설명한대로 사람을 제외한 다른 종에게 퍼지는 전염병으로 인해 전염병 아포칼립스가 일어난 상황이다.
  7. 이 경우는 인간 외의 다른 동물들에게 감염되어 변이될 수 없었기 때문에 완전히 근절된 케이스.
  8. 사실 이건 현실에서 발병한 게 아니라 게임 내의 잘못된 시스템 때문에 일어난 사건. 게임 속이지만 실제 전염병 아포칼립스와 거의 흡사한 상황을 보여줬으며, 뉴스와 인터넷 포럼, 의학 저널에 실릴 정도로 유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