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발

1 '정식발매'의 준말

2 조선 시대의 인물

鄭撥
(1553 ~ 1592)

조선 중기의 무관.

300px-%EC%A0%95%EB%B0%9C%EC%9E%A5%EA%B5%B0.jpg

1553년(명종 8년) 출생했으며 1579년 무과에 급제한 후 해남현감, 거제현령 등의 지방직과 비변사 낭관 등 중앙직을 두루 거쳤다. 관련 기록이 많진 않지만 1589년 1월 비변사에서 무장을 불차채용할때 들어갔고 이순신, 이복남, 박진 등과 함께 이름이 거론되고 동년 7월 30일 국경을 넘어 염탐하던 여진족을 쏘아죽였다는 실록 기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북방에서 경력을 쌓았고 나름대로 유능한 장수로 인정받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임진왜란이 벌어지기 몇달 전에 부산진[1] 첨철제사로 부임하여 부산진성 수비를 맡았다. 1592년 3월 대마도주 요시토시가 길을 빌려달라는 내용이 담긴 투서를 건내고 왜관에 있는 일본인들이 급히 피신하는 것을 보고 수상한 낌새를 느끼고는 부산 앞 바다에 있는 절영도[2]에 주둔하며 군사 훈련과 사냥을 실시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전 날에도 절영도로 사냥[3]을 나갔다 왜 선단이 접근한다는 보고를 들었는데 처음에는 세견선으로 오해하여 경계하지 않았다.

왜군이 육지에 근접해 조총을 쏘아대자 왜침임을 알아차리고 전선 3척을 자침시키고 왜관에 남아있던 왜인들을 구금하는 한편 백성들을 성안으로 소개시켜 농성에 돌입했다. 1592년 4월 14일 새벽.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 제1군이 부산진성으로 밀려들면서 정발이 지휘하는 부산진성 수비군과 격돌. 임진왜란이 시작되었다.

정발과 그가 지휘하는 수비군, 그리고 인근에서 몰려든 피난민들은 그 어떤 지원도 기대할수 없는 상황에서 분전했으나 30배 차이나는 압도적인 수적열세와 조총이라는 신무기의 위력을 이겨내지 못해 4시간여만에 전투는 패배로 끝나고 정발은 전사했다. 검은 옷을 입었다고 흑의장군이라고 부르며, 이는 18세기 화공 변박의 부산진순절도에도 그대로 표현되어 있다.

전사 당시 관직은 정3품 행 절충장군 경상좌도 부산진 수군첨절제사. 전면패주하는 혼란한 상황에서 초기 전황에 대한 파악이 늦어 한동안 전사여부가 확정되지 않았으나 아내 임씨가 진정을 넣고, 임진년 말에 전사가 확인되어 공로를 인정받았다.[4]

정발이 처음 왜 선단이 접근한다는 보고를 받고 이를 세견선으로 오인한 사실은 실록, 난중잡록, 기재사초, 재조번방지, 연려실기술 등 임진왜란 관련 기록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지만 사후 대응에 관해선 차이가 있다. 실록, 난중잡록, 연려실기술은 정발이 궁시를 쏘며 분전했다고 적은 반면 재조번방지에선 술에 취해 첩보를 무시하고 다음날 허겁지겁 성으로 돌아가다 화살 한대 쏘아보지 못하고 목이 잘렸다고 부정적으로 기술했다. 기재사초는 앞단락에서 정발이 허겁지겁 진으로 들어가고 왜군이 성을 포위했다고 적었으면서 바로 뒤이어 정발이 전선에 타고있다 배에 올라탄 왜군에게 죽었다고 적는 앞뒤가 안맞는 서술을 보인다. 정발이 대비를 갖춘다음 용감히 싸우다 전사했다고 적은 사료가 더 많을 뿐더러 개중 난중잡록은 해당 전투 생존자인 가은산 등의 증언을 담고 있어 이쪽의 신뢰성이 더 높다.

사후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동래 충렬사에 배향되었으며, 묘소는 경기도 연천에 있으며 부인 임씨와 합장되어 있다.

현재 부산에선 송상현, 윤흥신(을사사화에서 죽은 윤임의 어린 아들)과 함께 부산을 지켜낸 3대 맹장으로 숭상받고 있으며 정발의 동상이 동구 초량동 초량교차로에 있다. 초량역 5번 출입구와 가깝다. 공교롭게도 지척에 일본영사관이 있다.

김성한의 소설 7년전쟁에서는 어째서인지 송상현보다 18세 연상으로 나온다. 작가가 철저한 고증을 하는 스타일인데 아마도 출생연도인 1553년을 1533년으로 잘못 이해한 듯 싶다. 임란 발발 2달전 다이라 시게마스(平調益)[5]가 마지막 교섭을 위해 부산으로 오는데 이때 정발이 시게마스와 함께 송상현을 찾아간다. 이후 임란이 발발했고 마지막까지 싸우다 애첩 애향과 함께 전사하고 만다.

  1. 지금의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일대.
  2. 지금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3. 겉으로 보기에는 장수 개인의 취미생활같아 보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유해조수 구제로 민심안정의 일환이었다. 당대에는 멧돼지호랑이가 백성들을 크게 괴롭힌 주범들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시기에 사냥은 그 자체가 기동훈련이었다. 조선 전기에 정기적으로 국가 차원에서 실시했던 무예 훈련도 사냥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4. 선조실록 1592년 8월 7일, 11월 25일 기사에서 정발이 정말 죽은게 맞는지 선조가 확인하는 대목이 있다. 전쟁 초기의 혼란으로 파천 직후 조정이 파악한 초기전투는 김해, 밀양, 상주 전투, 탄금대 전투 정도였기 때문이다.
  5. 한국식 한자음은 평조익. 이 소설 초반부에 자주 등장하는 平調信 평조신 이른바 야나가와 시게노부의 사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