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선업체

1 개요

2004년 7월 시행된 서울특별시 대중교통 개편에 따라 설립된 컨소시엄 회사 4개를 부르는 명칭

2 주간선업체, 주간선버스 도입 계획

당시 시내버스 개편안을 살펴보면 직행좌석버스, 좌석버스, 일반시내버스로 구분되던 시내버스광역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로 나누고, 주요 도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해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는 등의 방안이 들어가 있었는데, 이외에도 주간선버스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주간선버스는 1~7권역에서 0권역(중구, 종로구)을 잇는 노선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주로 이용하고, 중요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버스 개념으로 도입될 예정이었다. 급행버스인 만큼 다른 버스보다 1~200원정도 높은 요금을 받을 에정이었고, 번호는 100번에서 700번으로 각 권역 간선버스를 대표하는 노선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주간선버스를 운행하기 위해 기존 버스회사에서 버스를 현물출자해 구성하는 컨소시엄 업체를 만들기로 했고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회사는 경영상태, 친절도 등을 고려해 선정했다. 이 과정을 통해 생긴 주간선업체는 다음과 같다.

계획대로라면 주간선버스는 다른 간선버스, 지선버스를 타고 온 승객이 환승해 도심까지 빠르게 가는 급행버스 목적에 충실하게 운행하고, 주간선업체도 이런 주간선버스를 운행하면서 높은 수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됐다. 환승객들을 충분히 수용하기 위해 굴절버스도 도입했다. 하지만...

3 개편 이후

개편안이 공개되자 주간선버스를 이용하게 될 승객들은 정류장 수가 적어 불편하다고 오히려 정류장 수를 늘려달라는 민원을 날리기 시작했다. 요금이 비싸다는 점도 민원대상중 하나였다. 결국 서울시청은 민원을 수용해 주간선버스를 전 정류장 정차로 바꾸고, 요금을 더 받는 계획도 취소했다. 그 결과 주간선버스와 보조간선버스의 차이가 없어졌고, 주간선업체 역시 컨소시엄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버스회사와 다른 점이 없어졌다.

게다가 실제로 개통한 주간선버스도 예상보다 수익이 저조해 지속적으로 개편안에서 칼같이 날아갔고, 폐선된 노선을 대체해 신설된 노선은 이 노선이 간선버스가 맞나 싶을 정도로 굴곡이 심한 노선도 생기는 등 사실상 주간선버스, 주간선업체 도입은 실패로 끝났다. 그리고 옆동네보라색 버스에서도 비슷한 일들이 많이 일어났다

여기에 야심차게 도입했던 이베코사 굴절버스는 정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데다가 대륙성 기후에 맞지 않는 냉난방 출력으로 인해 점차 애물단지로 전락해버렸고, 결국 예비차로 간신히 연명하다가 대부분 면허 말소되어 팔려나갔다.

이러다보니 2010년 주간선업체의 컨소시엄 계약기간 만료가 다가오면서 컨소시엄 계약이 끝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1]가 있었다. 다행히도 계약이 연장되었으나 인가대수가 줄어들어 주간선업체에 출자했던 회사들이 주간선업체에서 차(정확히는 차량 면허)를 빼 일부 노선에 공동 배차를 하기 시작했다.[2] 차와 더불어 버스 기사들까지 본래 주간선업체에서 해당 업체에 출자한 회사로 자동으로 빠지기도 했다.

현재 주간선노선의 공통점은 첫차가 4시로 고정되고 회차지막차도 0시 이후로 설정되어있다...고 설명하였지만 273번 노선 첫차가 4시가 아니라 4시 10분이 되는 병크가 발생하였다(...)
  1. 컨소시엄 계약이 끝나면 회사가 해산되는데, 이렇게 되면 버스 기사들이 실직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2. 500(군포교통), 670(보성운수), 262(북부운수), 2016(대원교통)이 있으며, 370, 260도 해당되었으나, 370은 대원여객으로 양도되었고, 260은 영인운수가 662번으로 분할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