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업체
파일:Attachment/다모아자동차/damoatrs.gif
1 개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공영차고지[1]에 본사를, 강서구 강서공영차고지에 영업소를 둔 주간선업체이다. 본사는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파크 7단지 건너편 인근에 있고, 천연가스 충전소도 있다. 이 충전소는 상암동에서 회차하는 노선들과 덕은동에 있는 신촌교통 차량들이 충전을 위해 방문하기도 한다. 2004년 서울특별시의 주간선 노선을 운행할 4개의 주간선업체 컨소시엄 입찰 당시 중부운수 컨소시엄이라는 명칭으로 은평권역 주간선업체 컨소시엄을 구성한 것이 시초이며, 후에 우선 협상자로 선정[2]됨에 따라 지금의 사명인 '다모아자동차'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중부운수, 선진운수, 김포교통, 공항버스, 도원교통에서 출자했다. 대주주는 중부운수이며 중부운수 회장이 다모아 대표이사를 겸하고 있다. 이는 북부운수 사장이 메트로버스 사장을 겸하는 것처럼.
예전엔 차고지를 은평구 수색동과 강서구 방화동(공항버스 차고지, 김포교통 차고지)에 두었고, 2008년 이후 각각 공영 차고지가 신설된 상암동 및 개화동으로 이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당시 161번의 단축 등으로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어느 정도 조용한 편이다.
현대버스만 100% 운용한다. 초기에는 BS106 차량을 270번에 투입했었으나 이후 전량 대차했다. 다른 주간선업체와 마찬가지로 이베코 굴절버스도 있었으나 일부는 매각했고, 일부는 예비차로 남아 있다가 모두 대차되었다.
2 운행 노선
심야버스를 포함한 이 회사의 노선들은 모두 서대문역(농협본사, 강북삼성병원) ~ 종로2가 사이에서 만났으나 9호선 수요 분산용으로 신설된 8663번 때문에 이 특징이 깨졌다. 그래도 정규노선으로써는 유효.덤으로 8663번에는 1대만 보냈으니 더더욱. 어짜피 11월 부터는 이 특징이 다시 산다. 8663 폐지니까.
2.1 주간선버스
- 270 : 상암공영차고지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서대문역 - 종로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청량리역 - 중랑교 - 중랑역 - 상봉역 - 망우역 - 양원역입구[3][4]
- 470 : 상암공영차고지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연세대학교 - 서대문역 - 종각역 - 남산1호터널 - 한남대교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내곡동(안골마을, 내곡2단지)
- 601 : 개화역, 강서공영차고지 - 김포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연세대학교 - 독립문공원 → 경복궁역 → 안국역 → 혜화역 → 종로1~4가 → 서대문역
- 710 : 상암공영차고지 - MBC - 월드컵경기장역 - 마포구청역 - 연세대학교 - 서대문역 - 종각역 - 종로3가역 - (종로5가역, 혜화역 [5]) - 한성대입구역 - 성신여대입구역 - 길음역 - 미아사거리역 - 미아역 - 수유역
2.2 심야버스
- N26 : 개화역, 강서공영차고지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등촌역 - 염창역 - 선유도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 이대역- 아현역 - 충정로역 - 서대문역 - 종로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청량리역 - 중랑교 - 중랑역 - 상봉역 - 망우역 - 중랑공영차고지, 신내역(메트로버스와 공동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