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바토레

Il trovatore

파일:/img/img link7/814/814000 2.jpg
파일:/img/img link7/815/814368 1.jpg
파일:/img/img link7/818/817726 2.jpg
왼쪽부터 차례로 플라시도 도밍고, 레온타인 프라이스, 셰릴 밀른즈.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오페라. 제목은 중세 유럽음유시인을 가리키는 것. 리골레토, 라 트라비아타와 함께 베르디 중기 작품 '빅3'라고 불리며 인지도는 국내보다 외국쪽에서 더 높은 편. 국내에서 잘 올려지지 않은 이유는 인지도 탓도 있겠지만, 주연 배역을 잘 부를 수 있는 소프라노, 테너, 바리톤, 메조 소프라노가 국내에서는 많이 없어서라고 할 수 있다.[1]

리골레토가 카바티나와 카발레타 없이 아름다운 선율이 연이어서 나오는 것이라 하면, 일 트로바토레는 베르디의 초기작 나부코조반나 다르코같은 레치타티보-카바티나-단절부-카발레타의 구조로 이뤄져있다. 즉, 다시 벤 칸토 스타일로 돌아갔다는 얘기. 물론, 초연 당시 후퇴한 작풍을 재탕했다는 것과 대본이 워낙 막장이라는 혹평도 있었지만 매력적인 저음 캐릭터[2]와 정열적인 음악으로 많은 찬사를 받았으니 조반나 다르코알치라같은 졸작으로 분류되지 않은게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겠다.(....)

결론은, 스토리 보단 음악을 듣는 것이 좋고, 스토킹의 제왕이라 불리는 루나 백작과 이 오페라 최고의 얀데레 중증 집시엄마 아주체나의 어마무시한 존재를 느끼는 걸로 감상하는 것이 편할 것이다.

1 작곡 계기

2 대본의 취약성

3 4성부의 주역들

4 여러가지 이야기

  • 80년대 중반 국제오페라단 국내공연 때, 배경을 베르디 활동 당대의 것으로 고친 연출이 등장했다. 집시소굴에는 이탈리아의 삼색기가 걸쳐져 있었고, 루나 백작과 그의 군대는 오스트리아 군복 비슷한 디자인의 의상을 입고 나왔다.
  • 옛날에는 루나 백작에게 동정심을 가진 여성관객들이 거의 없었으나[3] 러시아바리톤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가 2000년 초반부터 이역을 맡으면서 동정심과 단숨에 뿅가죽네 상태가 돼버린 여성관객들팬들이 많이 늘어났다고 한다. 국내든 외국에서든 모두 해당되는 사항. 이유인즉슨 그의 섹시하고도인상적인 은발비주얼과 광기마저 느껴지는 뛰어난 연기[4]덕분이라고.. 역대 최고로 섹시한 은발의 루나 백작님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돈 카를로 다음으로 좋아했던 베르디 오페라라고 한다. 1956년과 1977년 두 번에 걸쳐 EMI에서 음반 녹음한 것과 짤츠부르크 패스티벌 극장과 빈 국립 가극장에서 일 트로바토레를 무대위에 꽤 많이 올렸다는 것이 그 증거.[5] 뿐만 아니라 돈 카를로에서 그랬던것처럼 연출과 무대 디자인도 카라얀 자신이 직접 담당했으니 이 작품에 얼마나 하악거릴정도로 애착을 가졌는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 이탈리아테너 故살바토레 리치트라[6]가 2000년 라 스칼라 공연때 '저 타오르는 불꽃을 보라'에서 맨끝에 하이C(높은 '도'음)을 부르지 않은 바람에 관객들의 야유가 많이 터졌다. 이는 지휘자 리카르도 무티그 고집불통 성격답게 카덴짜에서 심하게 제지한 것이 그 이유였다.
  • 이 오페라 2막 서두에 나오는 합창곡 '집시의 날은 누가 밝히나'는 흔히 '대장간의 합창'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 프로야구 팬들에게는 아주 익숙할 것이다. 한화 이글스 선수가 홈 구장에서 안타를 치면 장내에 울려 퍼지는 노래가 바로 이 곡이다.

5 등장인물 소개

  • 루나 백작 (Count di Luna)[7] : 아라곤의 귀족이자 군대 지휘관 (바리톤)
  • 만리코 (Manrico) : 우르젤 공작 군대의 젊은 지휘관 겸 음유시인 (테너)
  • 레오노라 (Leonora) : 아라곤 공작부인의 젊은 시녀 (소프라노)
  • 아주체나 (Azucena) : 만리코를 양육한 집시 여인 (메조 소프라노)
  • 페란도 (Ferrando) : 루나 백작이 중용하는 늙은 장교 (베이스)
  • 이네스 (Ines) : 아라곤 공작 부인의 시녀이자 레오노라의 친구 (소프라노 또는 메조 소프라노)
  • 루이츠 (Ruiz) : 만리코 군대의 장교 (테너)

6 스토리

6.1 1막

첫 장면부터 루나 백작이 사는 성의 성문 앞에서 시작된다. 여기서 루나 백작의 병사들이 모여서 술을 마시고 있는데, 계속 일어나는 전쟁 때문에 망준한을 보내고 있던 것이다. 그 때, 늙은 장교 페란도가 나타나서 병사들을 격려하고, 백작 가문에서 내려오는 공포스런 옛날 이야기를 해준다. 이 오페라에서 유일하게 나오는 베이스 카바티나 "선대 백작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네(Di due figli vivea)" 이다.

페란도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대강 이렇다. 지금 백작의 아버지였던 선대(先代) 백작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이는 현재의 루나 백작 이고, 둘 째 아이는 '가르시아'라는 아들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가르시아는 요람에 누워서 지낼만큼 너무 어렸는데, 하루는 한 집시 노파가 다가와서 아이를 뚫어지게 본 것이었다. 그 후 선대 백작의 둘 째 아들 가르시아는 열병에 걸려서 의원들이 아무리 치료를 해도 낫지 않자, 선대 백작은 그 집시 노파의 저주 때문이라 생각하고, 그 노파를 잡아오게해서 화형시켰다. 그런데, 노파가 화형 당할 즈음에 요람 속에 있던 아이는 사라져 버렸고, 노파를 화형시킨 잿더미 속에서 타버린 아이의 시신이 발견되었다는 것이었다. 이봐, 격려하는 도중에 그런 하드고어한 얘기를 하면 겁에 질린 병사들한테 오히려 역효과가 나지않나?



1978년 빈 국립 가극장에서 페란도역을 맡은 호세 반 담. 포스가 지대로 느껴진다.

7 명반과 영상물

일 트로바토레는 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자주 올려진 레퍼토리 였지만, 90년대 이후로 각 배역을 부를 수 있는 가수들이 많이 없어져서 희귀 레퍼토리가 되어버렸다. 그 때문인지 최근에 나온 일 트로바토레 음반이나 영상물은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일 트로바토레 음악에 접근하려면 예전에 나온 음반이나 영상물을 접하는 것이 훨씬 이로울 것이다. 문제는 명반과 졸연이 나와있다는 것인데, 나무위키에 작성하는 각 음반과 영상물은 거의 대부분 호평을 받은 것만 언급하는 것을 밝힌다.

Giuseppe+Verdi+Il+Trovatore+533759.jpg

1956년에 젊은 카라얀의 지휘 아래 녹음된 음반이다. 말년의 그와는 달리 매우 열정적이고 파워풀하게 지휘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음반에서는 카라얀보다 전설적인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의 존재가 더 눈길을 끈다. 사실 칼라스는 이 오페라를 크게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그녀의 드라마틱한 표현와 벨칸토 창법이 역할에 잘 들어맞는다. 만리코 역의 명테너 주세페 디 스테파노도 훌륭한 노래를 들려준다. 파네라이의 루나 백작이나 바르비에리의 아주체나도 좋은 가창을 들려주나 여기에 소개된 다른 음반들보다 뛰어나다고 할 수는 없다.


61xQGx200wL._SY355_.jpg

1976년에 리처드 보닝의 지휘 하에 조안 서덜랜드, 루치아노 파바로티, 메를린 혼, 잉그바르 빅셀이 각가 4명의 주역을 맡아 녹음한 음반이다. 유명한 베르디 바리톤인 잉그바르 빅셀을 빼고는 모두 벨칸토 오페라에서 활약을 한 가수들이라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다. 그러나 베르디의 근원이 벨칸토 오페라고, 그의 후기 오페라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오페라들이 벨칸토 창법을 요구하므로 딱히 엇나간 캐스팅은 아니다. 오히려 '히스테릭한 일 트로바토레'들에 질리고 '벨칸토 오페라로서의 일 트로바토레'를 듣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서덜랜드는 50대에 들어 목소리에 무게가 실려 훌륭한 레오노라를 들려준다. 특히 유명한 아리아 'D'amor sull'ali rosee(사랑은 장미빛 날개를 타고)'에서는 그녀의 특기인 트릴을 마음껏 뽐낸다. 파바로티의 만리코나 메를린 혼의 아주체나, 잉그바르 빅셀의 루나 백작도 가창과 극적인 표현을 모두 적절히 갖춘 노래를 들려준다.


파일:/img/img link7/820/819106 1.jpg
파일:/img/img link7/818/817264 1.jpg

1978년 빈 국립 가극장에서 열린 실황이다. 이 작품에 엄청나게 하악거릴정도로 애착을 가졌던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지휘봉을 잡고, 플라시도 도밍고가 만리코를, 라이나 카바이반스카가 레오노라, 피에로 카푸칠리가 루나 백작을, 피오렌차 코소토가 아주체나, 호세 반 담이 페란도를 맡았으니, 심히 미친 캐스팅이라 할 수 있겠다.(...)[8]

플라시도 도밍고의 만리코는 이미지에서나, 연기에서나 찌질한 마마보이 주인공 역할을 잘 소화해냈다. 그 유명한 카발레타 "저 타오르는 불꽃을 보라!(Di quella pira)" 끝부분에서 고음처리가 만족스럽지 못한것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괜찮은 편이며, 특히 마지막 부분에 죽어가는 레오노라의 진실을 듣고 슬퍼하는 장면과 그로 인해 화가 난 빡친 루나 백작에게 사형에 처하기 전 아주체나에게 작별 인사하는 씬은 가히 압권이라 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만리코역은 플라시도 도밍고가 아닌 프랑코 보니졸리가 캐스팅하기로 되어있었다. 하지만, 보니졸리가 리허셜 도중 카라얀과 충돌을 일으키는 바람에[9] 도밍고가 대타로 오게 되었는데, 오히려 비쥬얼과 연기에선 보니졸리보다 더 호평 받았다는 카더라 통신이 전해진다.(...)

피에로 카푸칠리의 루나 백작은 그를 소개하는 해당항목에서도 얘기했지만, 역대 바리톤들 중에서 가장 미성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으면서, 성악적으로 가장 안정되어 있고 연기에서도 확실한 발군으로 꼽히고 있다.[10] 절제해야할 부분은 확실하게 절제하고, 감정을 표현해야할 부분을 제대로 처리해주니 과연 성악도들의 모범이 될 만한 노래를 들려준다. 루나 백작의 카바티나 "그녀의 빛나는 미소(Il balen del suo sorriso)"를 들어보면 카푸칠리의 진가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는데다, 간지와 스토킹의 제왕 포스가 절절히 솟아오를 정도로 소름이 쫘악 돋는다.[11]
  1. 그나마, 루나 백작의 경우 한양대 성악과 교수 고성현이 자주 맡는 편이다.
  2. 바리톤 배역의 루나 백작과 메조 소프라노 배역의 아주체나는 일 트로바토레 최고의 인기 캐릭터로 꼽힌다. 그에 비해 만리코와 레오노라는 페이크 주인공 내지 공기캐 취급(...). 특히, 만리코는 "전혀 주인공 답지 않은 주인공"이라는 평가가 많다. 하긴, 성격부터 찌질한 마마보이에 가까우니까
  3. 옛날 바리톤들이 맡은 루나 백작은 비주얼이 너무 아저씨같아 보인다 카더라. 지못미. 때문에 루나 백작이 단순한 악역이나 개그캐(!!!)로 보였다고하는 이들도 많았다고 전해진다.(...)
  4. 2011년 4월 메트로폴리탄 일 트로바토레 실황을 보면 안다.(...)[1]
  5. 캐스팅 선택도 굉장히 초호화 성악진으로 구성했었다. 자세한 설명은 명반과 영상물 참조.
  6. 2011년 9월 5일 애쿠스 타다가 사고로 사망하였다.
  7. 여기서 루나(Luna)라는 뜻은 이탈리아어로 달을 의미한다. 한글해석대로 부르게되면 달빛의 백작님이 된다.(...)
  8. 이러한 캐스팅이 선택되어진 이유는 1960년대부터 70년대 후반까지 성악가 선택에 있어 반칙왕이라 불렸던 카라얀 덕분이기도 하다는 의견이 대다수. 카라얀 무서워
  9. 당시 카라얀과 보니졸리한테 왜 충돌이 일어났냐면 그 유명한 카발레타 "Di quella pira"에서 였는데, 만리코역을 많이 맡은 보니졸리는 이 카발레타의 맨끝에 나오는 하이C음(높은 '도'음)을 길게 끌고 싶어했고, 카라얀은 성악가가 카덴짜를 사용하거나, 길게 끄는 것을 싫어하는 성격답게 보니졸리의 의견을 강하게 반대했었다. 이 땜에 두 사람은 서로 다퉜고(...), 빡친 보니졸리는 리허셜 도중에 하차했으며, 그로 인해 카라얀이 보니졸리의 대역으로 도밍고를 데려온 것. 아이러니하게도 카라얀이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EMI에서 일 트로바토레 전곡반을 녹음하려고 했을때는 보니졸리를 다시 기용했다. 보니졸리만큼 만리코를 잘 부르는 사람이 없다는 주변의 의견에서 그리 되었다고.(...)
  10. 물론, 너무 미성이라서 "레오노라를 전혀 스토킹하지 않을 거 같다."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이는 미국과 일본쪽 얘기.
  11. 루나 백작이 카발레타 부르기 전에 "레오노라, 그대는 나만의 것! 오로지 내 것이 되어야만 해!(Ah no, non fia D'altri Leonora!...Leonora e mia!)"라고 외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서 카푸칠리의 노래와 연기는 가히 스토킹의 제왕 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