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의 포지션 분류 | |||
가드 | 포인트 가드 (PG, 1번) | 슈팅 가드 (SG, 2번) | |
포워드 | 스몰 포워드 (SF, 3번) | 파워 포워드 (PF, 4번) | |
센터 | 센터 (C, 5번) | ||
플레이 스타일에 따른 분류 | |||
듀얼 가드 (1번+2번) | 스윙맨 (2번+3번) | 코너맨 (3번+4번) | |
스트레치 포워드 (3번+4번) | 포인트 포워드 (1번+3번,4번) | 빅맨 (4번+5번) | |
프론트 코트 (3번+4번+5번) | 식스 맨 | 트위너 |
Tweener
1 소개
정식 명칭은 아니나 흔히 쓰는 표현으로 두 포지션 중 어느 한 쪽도 믿고 맡기기 어려운 어정쩡한 선수를 말한다. 간단히 말해 두 포지션에서 이도 저도 아닌 선수에게 붙이는 부정적인 표현.
가장 흔한 트위너(3.5번)가 키가 작은 파워포워드형 타입이다 보니 트위너하면 포워드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듀얼가드, 스윙맨도 사실 트위너에 가까웠으나 현대 농구에서 입지가 상승한 케이스. 낮은 레벨에서는 충분히 빅맨이나 가드 등으로 고정된 포지션으로 활동할 수 있지만, 선수층이 두텁고 사이즈가 상향평준화되는 리그서부터는 프런트코트에서 뛰기엔 높이가 떨어지거나 백코트로 뛰기엔 볼관리, 슈팅거리나 1:1 능력을 갖추지 못해 도태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선수가 피트 마이클. 미국에서 활동하기엔 심각하게 사이즈가 떨어지는 선수지만 미국 무대 밖에서는 정통 포지션에서 뛸 수 있는 사이즈에 기량까지 갖춰서 최고의 용병으로 활약한 케이스. 여담으로 역대 최고의 3점슈터도 대학교 2학년땐 트위너로 평가받았었다.
한국에서 대표적 트위너인 전희철은 고교 시절부터 골밑 몸싸움을 대단히 싫어하고 중거리-외곽슛 위주의 플레이를 선호했다. 그러나 키 때문에 고교-대학 시절 내내 울며 겨자먹기로 센터나 파워포워드를 보아야 했다. 성장기에는 인사이더로 뛰다가 막상 프로로 오고 나서 외국인 선수들한테 밀리고 애초에 선호하던 스몰 포워드 자리는 센터로 굳어버린 몸이 적응 못하며 트위너가 된 전형적인 케이스.[1]
반대로 키 큰 3번 타입들이 운동능력의 한계로 3번/4번 어디에도 적응 못해 도태되는 경우도 많다. 정훈 같은 경우는 이런 이유로 프로에 적응하지 못한 경우.
2 재평가?
그러나 2015년 현재 NBA에서는 트위너의 재발견이 이뤄지고 있다. 지역방어 도입에 따른 픽앤롤, 혼즈 오펜스의 대중화 등으로 빅맨의 야투 능력이 중요시되고, 또 경기 페이스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5번에 비해 스피드가 빠르고 3번에 비해 몸이 좋으니 스몰라인업의 5번, 빅라인업의 3번 역할을 동시에 맡을 수 있는 선수들이 대우받기 시작하는 것. 물론 이를 위해선 플로어를 넓힐 수 있는 3점슛, 중장거리 야투나 픽앤롤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수비능력 등이 뛰어나야 한다. 키 큰 3번 타입 역시 모션오펜스가 대중화되면서 볼없는 움직임에 특화돼 골밑 커팅이나 3점슛, 속공 등으로 15~20점 등을 올려줄 수 있고 긴 기럭지를 활용해 수비에 장점을 가진 선수들이 늘어나고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선수가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드레이먼드 그린, 후자의 선수가 댈러스 매버릭스의 챈들러 파슨스다.
방식은 다르지만, 15-16시즌 추일승 감독의 고양 오리온스 역시 포워드 농구를 구사하면서 한국형 트위너 포워드들의 새로운 활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정통빅맨이 아닌 애런 헤인즈와 가드인 조 잭슨을 기용하면서 골밑을 전담하는 대형 빅맨 기용을 포기하는 대신, 최진수, 김동욱, 이승현, 장재석 등 194cm~203cm 내외의 슈팅력을 갖추고 있고 활동량이 좋은 포워드나 포워드/센터들을 동시에 기용하면서 포워드 농구를 펼친 것. 15-16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이 포워드들은 수비에서는 적극적인 디나이와 협력수비, 공격리바운드 참여를 통해, 공격에서는 유기적인 2:2 플레이와 외곽슛 등을 통해 자신들보다 20cm 이상 큰 KCC의 하승진이 포함된 상대방의 빅맨 라인업을 압살하고 있다. 수비에서도 상대편의 에이스 가드인 안드레 에밋을 마크함으로써 조 잭슨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굉장히 큰 이득. 미국이나 한국이나 트위너 포워드가 살아남는 법은 슈팅력과 활동량, 다양한 수비기여도인 듯 하다.
과거의 한국 같으면, 대표팀에서나 소속팀에서나 한기범에게 5번을 맡기고 자신은 내외곽을 넘나들었던 김유택, 한국 농구사의 가장 대표적인 파워포워드인 전희철, 고교에서는 빼어난 슈터였고 프로에서 반쯤은 가드였던 현주엽 등 지금은 당연히 파워포워드, 심지어 스몰포워드로 분류될 수 있는 선수들도 센터라고 했는데, 페인트존은 흑형의 것이 돼버린 KBL 출범 이후에는 이런 유형의 선수를 포워드로 분류하게 되었다.- ↑ 그러나 골때리는 건, 그 당시 1인 신장 205cm, 2인 신장 합계 398cm라는 제한이 존재하던 용병 선발의 가장 이상적인 조합 또한 트위너였던 것이 아이러니. 한마디로 2미터 조금 넘는 센터 용병과 190대 중반의 트위너를 언더사이즈 4번으로 조합해 빅맨진을 꾸려서 골밑을 용병으로 도배하는 것. 이런 방식의 수혜자가 바로 KBL의 전설 중 1명인 조니 맥도웰. 192cm정도밖에 안 되는 키지만 몸빵과 스킬로 KBL의 골밑을 휘젓고 다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