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와의 연합에 대해서는 폴란드-리투아니아 문서를, 러시아와의 동군연합에 대해서는 폴란드 입헌왕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폴란드의 역사
Historia Polski
고대중세~근세근대현대








폴란드 왕국폴란드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
독일령




포젠독일령



2


폴란드 망명 정부
3


오스트리아령크라쿠프오스트리아령나치 독일령폴란드
인민
공화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러시아령입헌왕국러시아령소비에트령
리투아니아의 역사
Lietuvos istorija
고대중세 ~ 근세근대현대
발트족폴란드 왕국폴란드-리투아니아폴란드 분할러시아 제국독일 제국근대 왕국제1공화국소비에트소비에트
공화국
제2공화국
중세
대공국
나치 독일
폴란드 왕국
Królestwo Polskie
국기국장
1635년 연합시절 당시 왕국 영토(빨간색)
1025~1795
위치동유럽
수도그니에즈노,
크라쿠프, 바르샤바
정치체제군주제
국가원수폴란드 왕
언어폴란드어, 라틴어
종교가톨릭
주요사건1025년 볼레스와프 1세 대관식
1385년 크레보 합병 성사
1569년 루블린 합병 성사
1648년~1667년 대홍수
1795년 폴란드 분할
성립 이전슬라브 족
성립 이후폴란드-리투아니아,(1569년),
멸망 이후폴란드 분할

1 개요

1025년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 지역에 존속한 왕국이었다. 1569년부터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크레보 합병을 체결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을 결성, 오늘날 폴란드, 발트해 전역,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지를 지배하였다. 1795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왕국, 러시아 제국 삼국이 폴란드 분할을 단행하면서 멸망하였다.

2 상세

2.1 피아스트 왕조

피아스트 왕조는 966년 미에슈코 1세(Mieszko I)가 주변 지역을 통합하고 기독교(가톨릭)를 받아들이면서 개창한 왕조이다. 미에슈코는 세례를 받기 전부터 폴란드를 가톨릭 국가로 만들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그 예 중 하나로 가톨릭 국가인 보헤미아의 공주 도브라바(Dobrava)를 왕비로 맞아들였다. 미에슈코의 가톨릭 수용 이후 그의 신하와 국민도 집단적으로 세례를 받아 폴란드는 가톨릭화 되었다. 미에슈코의 치세 때 폴란드에는 로마 교황청 직속 선교 주교구가 설치되었다. 폴란드는 독자적인 주교구를 가짐으로써 왕국의 위상을 높임과 동시에 대외적으로 보다 자유롭게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미에슈코 1세의 사망 이후 992년 미에슈코의 맏아들인 볼레스와프 1세(Bolesław I)가 제위에 오른다. 그는 '용감왕'이라는 별칭을 가졌던 왕으로 그의 제위 동안 폴란드는 국가 권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심지어 1018년에는 볼레스와프 1세의 사위 스바트폴크(Svatpolk)가 장인의 지원을 등에 업고 키예프 대공국의 지위 계승전에 뛰어들어 키예프를 잠시 점령하기도 하였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토 3세와 친분이 있었기 때문에 황제의 생전 동안 신성 로마 제국과의 외교도 안정적이었다. 그러나 오토 3세가 사망한 후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제위 계승 분쟁이 일어났고 볼레스와프 1세는 헨리 2세의 반대파를 지지하였다. 이때문에 신성 로마 제국과 폴란드의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고 전쟁으로까지 발전하였다. 1004년부터 1008년까지 산발적으로 지속전 이 전쟁은 부지신(Budziszyn) 회담으로 종결되었다.1024년 볼레스와프 1세와 대립각을 세우던 헨리 2세가 붕어하자, 교황의 동의를 얻어 그니에즈노에서 대관식을 치러 공식적으로 폴란드의 국왕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볼레스와프 1세는 대관식 1년 뒤인 1025년 사망하였다.

볼레스와프 1세 사망 이후 그의 차남인 미에스코 2세가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장남 베스프림(Bezprym)과 그의 동생 오톤(Otton)도 왕권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폴란드 왕국은 내분에 빠졌다. 베스프림은 미에스코 2세의 반대파들을 규합하였고 신성 로마 제국과 키예프 대공국같은 외세의 지원도 받으며 왕과 대립각을 세웠다. 결국 미에스코 2세는 1031년 신성 로마 제국과 키예프가 동시에 공격하자 프라하로 망명하여 왕위는 베스프림에게 넘어갔다. 그러나 베스프림은 외세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라를 제대로 통합하지 못했고, 결국 신성 로마 제국의 신하가 되고만다. 폴란드 왕국이 통치하고 있던 모라비아가 보헤미아(체코)로 넘어가고, 슬로바키아는 헝가리 왕국이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베스프림은 집권 수 개월 만에 그의 추종세력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베스프림이 죽자 프라하로 망명했던 미에스코 2세가 다시 복권되었다. 그러나 그의 복권 시기 폴란드의 국력이 약화됐기 때문에, 그는 기존의 신성 로마와의 군신관계를 받아들여야 했다. 또한 영토 일부를 동생 오톤과 사촌 디트릭(Dytryk)에게 분할하여 통치하게 하였다. 이후 오톤이 살해당하고 미에스코 2세도 1034년 사망하게 된다.

혼란스러운 정국 속에 미에스코 2세의 아들 카지미에슈 1세(Casimier I)가 축출되기에 이른다. 카지미에슈 1세는 이후 신성 로마 제국과 키예프 대공국의 지원을 받아 마조프쉐 지방에서 세력을 형성하던 미에츠와프를 굴복시켰다. 그의 시기 때 주요 사건으로는 폴란드의 수도가 그니에즈노에서 크라쿠프로 천도된 것이다. 카지미에슈 1세 때부터 크라쿠프는 폴란드의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다.

카지미에슈 1세가 1058년 사망하자, 그의 장남 볼레스와프 2세가 왕위에 올랐다. 그의 치세 때 폴란드는 더욱 발전하였으며 각종 분야에서 눈부신 업적을 남겼다. 그는 베네딕트 수도원과 주교구를 건설하여 보헤미아의 침입 때 파괴된 교회의 재건에 힘썼다. 또한 교황과 신성 로마 황제 사이에서 권력 갈등이 심화되자 그는 교황의 편을 들어 신성 로마의 영향권에서 탈피하는 한편, 1076년 수월하게 대관식을 올릴 수 있었다.
볼레스와프 2세는 보헤미아와 협상하여 기존에 바치던 조공을 폐지했으며, 헝가리 왕국과 키예프 대공국의 왕위 계승 문제에도 개입하여 자신의 지지 인물을 왕좌에 올려놓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볼레스와프 2세를 두려워한 폴란드의 귀족들은 그를 축출하였다. 볼레스와프는 헝가리 왕국으로 망명하여 1081년 사망하였다.

1241년 바투[1]가 이끄는 몽골군의 침입으로 레그니차 전투(Battle of Legnica)가 발발하였다. 폴란드는 주변 국가들과 함께 연합군을 결성하여 몽골군의 침입에 맞써 싸웠으나 패배하였다. 연합군의 총사령관인 슐레지엔의 헨리크 2세(Henryk II Pobożny)는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몽골군은 이후에도 1259년, 1286년 폴란드를 침입하였고 이 때문에 폴란드의 전국토가 황폐화되었다. 분열된 폴란드를 다시 통합한 것은 1320년 왕위에 오른 브와디스와프 1세(Władysław I)였다. 그는 1304년부터 차례차례 폴란드 지역을 봉합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딸을 헝가리의 왕 카를 로베르트와 결혼시킴으로써 헝가리와의 관계를 공고히하는 동시에 보헤미아(현 체코)를 견제하였다.

브와디스와프 1세의 아들 카지미에슈 3세는 대왕이라 호칭되는 위대한 왕이었다. 그는 보헤미아, 튜튼 기사단과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구축했으며 1340년~1349년 동안 루스 지역의 할리츠 공국을 정복하였다. 1351년에는 마조프쉐를 합병하면서 폴란드 왕국은 루스 동쪽 지역을 상당부분 차지하게 되었다.

2.2 야기에우워 왕조

폴란드-리투아니아 문서를 참고할 것.

2.3 멸망

폴란드 분할 문서를 참고할 것.

3 참고 문헌

  • 정병권, <폴란드사 (세계각국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4 관련 문서

  1. 후에 킵차크 칸국을 수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