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px
프로이센의 정체성이라고까지 할 수 있는 흑백 컬러. 이는 오스트프로이센, 베스트프로이센, 포젠(전 쥐트프로이센), 호엔촐레른 등 프로이센의 색깔이 강한 주의 깃발까지 이어진다. 비록 포젠 주는 폴란드인의 인구비율이 독일인보다 더 높았다고 해도, 그만큼 프로이센 정부에서 더 신경을 쓰고 그 지역의 독일화 작업에 박차를 가한 곳이니...
당 항목은 제2제국시대를 기준으로 작성되어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대에 변경된 지역을 추가해두었다. 이미지 출처는 위키피디아.
목차
1 오스트프로이센
문장 : 프로이센 왕국의 상징인 검은 독수리. | 위치 : 북동부. 러시아 접경지대. |
튜튼기사단에서 이어지는 프로이센 본령이자 프로이센의 발원지. 주도는 쾨니히스베르크(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1829년에서 1878년까지는 베스트프로이센을 흡수해 프로이센 주였지만 이후 재분할. 폴란드 3차분할시 네만강 서부 리투아니아 지역을 흡수하여 신동프로이센으로 칭했으나 이 지역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 독일.폴란드 원정의 패배 이후 바르샤바 공국에 흡수되는 형식으로 빼았긴다. 이 지역은 빈 회의이후 러시아령 폴란드 왕국으로 흡수된다.
프로이센 공국과 초기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까지 맡고 있었지만 곧 베를린으로 천도. 하지만 대관식만큼은 꼭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치를 만큼 프로이센이나 독일로선 역사적 의미가 큰 지역이기도 하다. 1차대전 이후 폴란드에 할양 예정이었으나 여기를 끝까지 지키고 대신 베스트프로이센을 내줬을 정도(대신 북동부의 메멜 지역이 신생 리투아니아 공화국에 할양되어 현재까지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도스 지역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결국은 2차대전 패전 후 나머지 지역마저 러시아와 폴란드에게 분할점령당해 현재까지 이른다. 북동부는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도스 지역, 북부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자치주, 남부는 폴란드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주.
단 러시아에 점령당한 북부인 칼리닌그라드 자치주에선 러시아계 현지 주민들의 자발적인 독일 환수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고, 독일에서도 칼리닌그라드를 중심으로 프로이센 시대 문화재를 관리하거나 독일 영사관을 따로 설치하고 BMW 공장을 대대적으로 유치하는 등의 공을 들이는 중. 어차피 당장은 러시아 영토로 굳어있지만, 앞으로의 행보에 따라 어떻게 될지는 모른다. 남부인 폴란드령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주에도 독일인이 약간이나마 남아있기도 하고...
사실 동프로이센은 7년 전쟁 중인 1757년~1763년 사이에도 러시아군에 점령당한 적이 있다. 1757년 12월 31일에 러시아의 옐리자베타 1세는 주도(州都) 쾨니히스베르크를 러시아에 편입한다는 칙령을 내리기도 했다.
순번 | 한글 지명 | 독일어 지명 | 비고 |
쾨니히스베르크 구역 | |||
A | 쾨니히스베르크 | Königsberg | 청사 소재지, 시 |
01 | 바르텐슈타인 | Bartenstein | |
02 | 브라운스베르크 | Braunsberg | |
03 | 피쉬하우젠 | Fischhausen | |
04 | 게르다우엔 | Gerdauen | |
05 | 하일리겐바일 | Heiligenbeil | |
06 | 하일스베르크 | Heilsberg | |
07 | 쾨니히스베르크 | Königsberg | 군 |
08 | 라비아우 | Labiau | |
09 | 메멜 | Memel | |
10 | 모룽겐 | Mohrungen | |
11 | 프로이시쉬 아일라우 | Preußisch Eylau | |
12 | 프로이시쉬 홀란트 | Preußisch Holland | |
13 | 라스텐부르크 | Rastenburg | |
14 | 벨라우 | Wehlau | |
굼비넨 구역 | |||
A | 인스테르부르크 | Insterburg | 시 |
B | 틸지트 | Tilsit | 시 |
01 | 앙게르부르크 | Angerburg | |
02 | 다르케멘 | Darkehmen | |
03 | 골다프 | Goldap | |
04 | 굼비넨 | Gumbinnen | 청사 소재지 |
05 | 하이데크루크 | Heydekrug | |
06 | 인스테르부르크 | Insterburg | 군 |
07 | 니더룽 | Niederung | |
08 | 올레츠코 | Oletzko | |
09 | 필칼렌 | Pillkallen | |
10 | 슈탈루푀넨 | Stallupönen | |
11 | 틸지트 | Tilsit | 군 |
12 | 라그니트 | Ragnit | |
알렌슈타인 구역 | |||
A | 알렌슈타인 | Allenstein | 청사 소재지, 시 |
01 | 알렌슈타인 | Allenstein | 군 |
02 | 요하니스부르크 | Johannisburg | |
03 | 뢰첸 | Lötzen | |
04 | 뤼크 | Lyck | |
05 | 나이덴부르크 | Neidenburg | |
06 | 오르텔스부르크 | Ortelsburg | |
07 | 오스트로데 | Osterode | |
08 | 뢰셀 | Rößel | |
09 | 젠스부르크 | Sensburg |
1.1 프로이센
위치 : 북동부. 동서프로이센의 병합체. |
1824년 프로이센 왕국대부터 1878년까지 독일 제국 초기까지의 형태. 오스트프로이센의 주도로 베스트프로이센을 병합한 식이기 때문에 주도는 쾨니히스베르크.
2 베스트프로이센
문장 : 특유의 검을 든 독수리가 상징. | 위치 : 북동부. 동부 주 각 지역의 브릿지 역할을 하며 발트해와도 접한 요지. |
폴란드 왕국령 프로이센이 전신. 주도는 단치히(현재 폴란드 그단스크). 1829년에 오스트프로이센 주에 흡수되어 프로이센 주로 존재했었지만, 1878년 재분할되어 독립.
1차대전 이후 단치히를 포함한 상당부분을 신생 폴란드 공화국에 할양되어 존립 자체가 흔들리게 되는데, 남은 지역의 서부는 포젠 주에서 남은 극히 미미한 지역과 합쳐 포젠-베스트프로이센 변경주로 재창설. 그나마도 1938년에 포메른 주와 브란덴부르크 주에 분할흡수된다.
이후 제3제국 시대에 단치히-베스트프로이센 제국령으로 반짝 부활하긴 하지만 2차대전이 끝나면서 다시 망했어요. 현재는 폴란드 포모르스키에 주와 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주[1]로 분할되어있다. 독일어로 고치면 포메른 주가 되는데, 정작 프로이센의 포메른 주는 현재 폴란드의 서포메른 주... 어?!
순번 | 한글 지명 | 독일어 지명 | 비고 |
단치히 구역 | |||
A | 단치히 | Danzig | 시,청사 소재지 |
B | 엘빙 | Elbing | 시 |
01 | 베렌트 | Berent | |
02 | 단치거 회헤 | Danziger Höhe | 군 |
03 | 단치거 니더룽 | Danziger Niederung | 군 |
04 | 디르샤우 | Dirschau | |
05 | 엘빙 | Elbing | 군 |
06 | 카르트하우스 | Karthaus | |
07 | 마리엔부르크 | Marienburg | |
08 | 노이슈타트 | Neustadt | |
09 | 프로이시쉬 슈타르가르트 | Preußisch Stargard | |
10 | 푸치히 | Putzig | |
마리엔베르더 구역 | |||
A | 그라우덴츠 | Graudenz | 시 |
B | 토른 | Thorn | 시 |
01 | 브리센 | Briesen | |
02 | 도이치 크로네 | Deutsch Krone | |
03 | 플라토브 | Flatow | |
04 | 그라우덴츠 | Graudenz | 군 |
05 | 코니츠 | Konitz | |
06 | 쿨름 | Kulm | |
07 | 뢰바우 | Löbau | |
08 | 마리엔베르더 | Marienwerder | 청사 소재지 |
09 | 로젠베르크 | Rosenberg | |
10 | 슐로하우 | Schlochau | |
11 | 슈베츠 | Schwetz | |
12 | 슈트라스부르크 | Strasburg | |
13 | 슈툼 | Stuhm | |
14 | 토른 | Thorn | 군 |
15 | 투헬 | Tuchel |
2.1 포젠-베스트프로이센
위치 : 동부. 폴란드접경지대. |
1차대전 이후 베스트프로이센 주와 포젠 주의 대부분이 폴란드에 뜯겨나갔지만, 그나마 독일에 남은 일부분을 병합해 꾸린 변경주. 다만 포젠인데 포젠이 없고 베스트프로이센인데 단치히가 없는 지극히 안습한 형태였다내가 고자라니 주도는 슈나이더뮐(현재 폴란드 피와).
포젠 주와 베스트프로이센 주에서 남은 부분을 그러모은 주다보니 영토도 서로 쪼개지고 지극히 불안정한 상황이었는데, 그나마도 1938년이 되면 포메른, 브란덴부르크, 슐레지엔 주로 분할흡수당하게 된다(...).
3 브란덴부르크
인도네시아 국기 아닙니다. 모나코 국기는 더더욱 아닙니다. 브란덴부르크 주기 맞습니다.
문장 : 브란덴부르크의 상징은 붉은 독수리. | 위치 : 중부. 베를린을 둘러싼 경기도같은 역할.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령이 전신으로 프로이센 공국과 같은 호엔촐레른 가문. 이후 명맥이 끊긴 프로이센 호엔촐레른 가문을 대신해 프로이센의 통치권까지 얻지만, 신성 로마 제국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제국 영외였던 프로이센을 영토 이름으로 대표하게 된다. 주도는 포츠담. 단 1827년부터 1843년까진 베를린이 주도였고, 1차대전 이후 2차대전 종료시까지도 베를린 내 샤를로텐부르크 지역에서 주도 역할을 맡게 된다. 위치가 위치인 만큼 베를린과는 서울과 경기도같은 관계. 2차대전 이후 서부는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로 남고 동부(노이마르크 지방)는 폴란드 루부스키에 주가 되었는데, 아무리 독일인들이 강제이주로 쫓겨났다지만 루부스키에 주에 남아있는 독일인 인구는 극히 희박하다. 독일 접경이라는 것이 오히려 독일인 이탈을 가속화시킨 듯.
순번 | 한글 지명 | 독일어 지명 | 비고 |
포츠담 구역 | |||
A | 브란덴부르크 | Brandenburg | |
B | 샤를로텐부르크 | Charlottenburg | 1920년 베를린에 흡수 |
C | 에버스발데 | Eberswalde | |
D | 리히텐베르크 | Lichtenberg | 1920년 베를린에 흡수 |
E | 노이쾰른 | Neukölln | 1920년 베를린에 흡수 |
F | 포츠담 | Potsdam | 청사 소재지 |
G | 라테노브 | Rathenow | |
H | 쇠네베르크 | Schöneberg | 1920년 베를린에 흡수 |
I | 슈판다우 | Spandau | 1920년 베를린에 흡수 |
J | 빌머스도르프 | Wilmersdorf | 1920년 베를린에 흡수 |
K | 비텐베르게 | Wittenberge | |
01 | 앙게르뮌데 | Angermünde | |
02 | 베스코브-슈토르코브 | Beeskow-Storkow | |
03 | 위테르보크-룩켄발데 | Jüterbog-Luckenwalde | |
04 | 니더바르님 | Niederbarnim | 1920년 베를린에 상당부분 할양 |
05 | 오버바르님 | Oberbarnim | |
06 | 오스트하벨란트 | Osthavelland | 1920년 베를린에 상당부분 할양 |
07 | 오스트프리그니츠 | Ostprignitz | |
08 | 프렌츨라우 | Prenzlau | |
09 | 루핀 | Ruppin | |
10 | 텔토브 | Teltow | 1920년 베를린에 상당부분 할양 |
11 | 템플린 | Templin | |
12 | 베스트하벨란트 | Westhavelland | |
13 | 베스트프리그니츠 | Westprignitz | |
14 | 자우흐-벨치히 | Zauch-Belzig | |
프랑크푸르트 구역 | |||
A | 코트부스 | Cottbus | 시 |
B | 포르슈트 | Forst | |
C | 프랑크푸르트 | Frankfurt/Oder | 청사 소재지 |
D | 구벤 | Guben | 시 |
E | 란즈베르크 | Landsberg | 시 |
01 | 칼라우 | Calau | |
02 | 코트부스 | Cottbus | 군 |
03 | 크로센 | Crossen | |
04 | 구벤 | Guben | 군 |
05 | 쾨니히스베르크 | Königsberg | |
06 | 란즈베르크 | Landsberg | 군 |
07 | 레부스 | Lebus | |
08 | 루카우 | Luckau | |
09 | 뤼벤 | Lübben | |
10 | 메제리츠 | Meseritz | |
11 | 오스트슈테른베르크 | Oststernberg | |
12 | 슈베린 | Schwerin | |
13 | 졸딘 | Soldin | |
14 | 조라우 | Sorau | |
15 | 슈프렘베르크 | Spremberg | |
16 | 베스트슈테른베르크 | Weststernberg | |
17 | 췰리하우-슈비부스 | Züllichau-Schwiebus |
4 포메른
문장 : 포메른의 상징인 붉은 그리폰. | 위치 : 북부. 발트해 연안지대. |
포메른 공국이 전신. 그 후 스웨덴령 포메른 지역까지 병합하며 최종적인 포메른 주가 되는데 정작 독일에 남아있는 영토는 스웨덴령 포메른 지역 뿐이다. 주도는 슈테틴(현재 폴란드 슈체친). 2차대전 이후 독일-폴란드 국경선이 된 오데르-나이세 선을 기준으로 해도 슈테틴은 독일 영토에 남아있어야 했는데(오데르강 서안에 위치해있다) 위대하신 강철의 대원수님 덕분에 폴란드로 팔려가게 된다. 소련이 먹어버린 폴란드 동부에 대한 보상으로 발전한 항구도시인 슈테틴까지 끼워팔기로 폴란드에 넘겨버린 것. 지못미 슈테틴, 지못미 독일. 독일에 남아있는 서부는 구 메클렌부르크 대공국 지역군[2]에 통폐합되어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폴란드로 넘어간 중동부는 폴란드 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 주, 즉 서포메른 주로 되어있다.
순번 | 한글 지명 | 독일어 지명 | 비고 |
슈테틴 구역 | |||
A | 슈타르가르트 | Stargard | |
B | 슈테틴 | Stettin | 청사 소재지 |
01 | 앙클람 | Anklam | |
02 | 카민 | Cammin | |
03 | 데민 | Demmin | |
04 | 그라이펜베르크 | Greifenberg | |
05 | 그라이펜하겐 | Greifenhagen | |
06 | 노이가르트 | Naugard | |
07 | 피리츠 | Pyritz | |
08 | 란도브 | Randow | |
09 | 레겐발데 | Regenwalde | |
10 | 자치히 | Saatzig | |
11 | 우에케르뮌데 | Ueckermünde | |
12 | 우제돔-볼린 | Usedom-Wollin | |
슈트랄준트 구역 | |||
A | 슈트랄준트 | Stralsund | 청사 소재지 |
B | 그라이프스발트 | Greifswald | 시 |
01 | 프란츠부르크-바르트 | Franzburg-Barth | |
02 | 그라이프스발트 | Greifswald | 군 |
03 | 그리멘 | Grimmen | |
04 | 뤼겐 | Rügen | |
쾨슬린 구역 | |||
A | 콜베르크 | Kolberg | 시 |
B | 쾨슬린 | Köslin | 청사 소재지, 시 |
C | 슈톨프 | Stolp | 시 |
01 | 벨가르트 | Belgard | |
02 | 드람부르크 | Dramburg | |
03 | 부블리츠 | Bublitz | |
04 | 콜베르크-쾨를린 | Kolberg-Körlin | 군 |
05 | 쾨슬린 | Köslin | 군 |
06 | 뷔토브 | Bütow | |
07 | 라우엔부르크 | Lauenburg | |
08 | 노이슈테틴 | Neustettin | |
09 | 루멜스부르크 | Rummelsburg | |
10 | 쉬펠바인 | Schivelbein | |
11 | 슐라베 | Schlawe | |
12 | 슈톨프 | Stolp | 군 |
5 슐레지엔
문장 : 프로이센의 것과 대동소이한 슐레지엔 독수리. 가슴의 흰 반달무늬와 주황색 배경이 특징이다. | 위치 : 동부. 러시아 및 오스트리아 접경지대.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 즉위시 프로이센 왕이었던 프리드리히 2세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끼어들어 점령한 지역. 왕실 직속령으로 있다 나폴레옹 몰락 후 1815년 빈 회의를 거치며 주로 승격된다. 주도는 브레슬라우(현재 폴란드 브로츠와프). 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오펠른 구역이 오버슐레지엔 주를, 나머지 지역이 니더슐레지엔 주를 이루기도 했다. 현재는 최서단 극히 일부지역만이 독일 작센 자유주와 브란덴부르크 주에 편입되어있고, 나머지는 폴란드의 루부스키에, 돌노실롱스키에, 오폴스키에, 실롱스키에 주로 사분할되어있다.
2차대전 이후 대거 강제이주를 거치면서도 그나마 독일인들이 남아있는 지역으로, 오폴스키에 주(옛 오버슐레지엔 지방)에는 독일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0%에 육박할 정도. 루카스 포돌스키나 미로슬라프 클로제 등 소위 폴란드계 독일대표 축구선수들이 이 슐레지엔 출신. 국적이 폴란드라서 그렇지 혈통은 독일인이다.
순번 | 한글 지명 | 독일어 지명 | 비고 |
브레슬라우 구역 | |||
A | 브레슬라우 | Breslau | 청사 소재지, 시 |
B | 브리크 | Brieg | 시 |
C | 슈바이드니츠 | Schweidnitz | 시 |
01 | 브레슬라우 | Breslau | 군 |
02 | 브리크 | Brieg | 군 |
03 | 프랑켄슈타인 | Frankenstein | |
04 | 글라츠 | Glatz | |
05 | 그로스 바르텐베르크 | Groß Wartenberg | |
06 | 구라우 | Guhrau | |
07 | 하벨슈베르트 | Habelschwerdt | |
08 | 밀리치 | Militsch | |
09 | 뮌스터베르크 | Münsterberg | |
10 | 남슬라우 | Namslau | |
11 | 노이마르크트 | Neumarkt | |
12 | 노이로데 | Neurode | |
13 | 님치 | Nimptsch | |
14 | 욀스 | Öls | |
15 | 올라우 | Ohlau | |
16 | 라이헨바흐 | Reichenbach | |
17 | 슈바이드니츠 | Schweidnitz | 군 |
18 | 슈타이나우 | Steinau | |
19 | 슈트렐렌 | Strehlen | |
20 | 슈트리가우 | Striegau | |
21 | 트레브니츠 | Trebnitz | |
22 | 발덴부르크 | Waldenburg | |
23 | 볼라우 | Wohlau | |
리그니츠 구역 | |||
A | 괴를리츠 | Görlitz | 시 |
B | 리그니츠 | Liegnitz | 청사 소재지, 시 |
01 | 볼켄하인 | Bolkenhain | |
02 | 분츨라우 | Bunzlau | |
03 | 프라이슈타트 | Freystadt | |
04 | 글로가우 | Glogau | |
05 | 골드베르크-하이나우 | Goldberg-Haynau | |
06 | 괴를리츠 | Görlitz | 군 |
07 | 그륀베르크 | Grünberg | |
08 | 히르쉬베르크 | Hirschberg | |
09 | 호위어스베르다 | Hoyerswerda | |
10 | 야우어 | Jauer | |
11 | 란데스후트 | Landeshut | |
12 | 라우반 | Lauban | |
13 | 리그니츠 | Liegnitz | 군 |
14 | 뢰벤베르크 | Löwenberg | |
15 | 뤼벤 | Lüben | |
16 | 로텐부르크 | Rothenburg | |
17 | 자간 | Sagan | |
18 | 쇠나우 | Schönau | |
19 | 슈프로타우 | Sprottau | |
오펠른 구역 | |||
A | 보이텐 | Beuthen | 시 |
B | 글라이비츠 | Gleiwitz | 시 |
C | 카토비츠 | Kattowitz | 시 |
D | 쾨니히스휘테 | Königshütte | |
E | 오펠른 | Oppeln | 청사 소재지, 시 |
F | 라티보어 | Ratibor | 시 |
01 | 보이텐 | Beuthen | 군 |
02 | 코젤 | Cosel | |
03 | 팔켄베르크 | Falkenberg | |
04 | 그로스 슈트렐리츠 | Groß Strehlitz | |
05 | 그로트카우 | Grottkau | |
06 | 힌덴부르크 | Hindenburg | |
07 | 카토비츠 | Kattowitz | 군 |
08 | 크로이츠부르크 | Kreuzburg | |
09 | 레오프스쉬츠 | Leobschütz | |
10 | 루블리니츠 | Lublinitz | |
11 | 나이세 | Neiße | |
12 | 노이슈타트 | Neustadt | |
13 | 오펠른 | Oppeln | 군 |
14 | 플레스 | Pleß | |
15 | 라티보어 | Ratibor | 군 |
16 | 로젠베르크 | Rosenberg | |
17 | 뤼브니크 | Rybnik | |
18 | 타르노비츠 | Tarnowitz | |
19 | 토스트-글라이비츠 | Tost–Gleiwitz | 군 |
5.1 니더슐레지엔
위치 : 구 슐레지엔 주의 중서부. |
1차대전 이후 분할된 슐레지엔 주의 중서부. 주도는 브레슬라우. 1938년 오버슐레지엔을 흡수해 슐레지엔 주로 재통합했다 1941년에 재분할. 2차대전 이후엔 서부 일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폴란드에 할양되어 루부스키에, 돌노실롱스키에, 오폴스키에 주로 각각 뜯겨나가있다.
5.2 오버슐레지엔
위치 : 구 슐레지엔 주의 남동부. |
1차대전 이후 분할된 슐레지엔 주의 동부. 주도는 오펠른(현재 폴란드 오폴레)에서 1941년에 카토비츠(현재 폴란드 카토비체)로 변경. 카토비츠 지역은 1차대전 직후 폴란드인들의 무력시위로 폴란드에 병합되었다 2차대전 시에 독일이 탈환했던 곳. 1941년에 슐레지엔 주에서 재분리되며 주도가 카토비츠로 변경되었으나, 2차대전 이후 다시 폴란드에 할양된다. 현재는 체코령이 된 남부 일부분을 제외하면 폴란드 오폴스키에, 실롱스키에 주가 되어있는데, 슐레지엔 주 항목에서 설명되었듯 독일인 대추방 이후에도 독일인이 상당수 남아있는 지역. 애초에 이 지방은 독일인과 폴란드인의 경계가 모호했고, 종교적으로도 폴란드처럼 가톨릭이 우세했으니...
6 포젠
문장 : 흰 독수리는 폴란드의 상징이었다. 즉 프로이센 안의 폴란드를 상징. | 위치 : 동부. 러시아 접경지대. |
폴란드 분할 당시에 프로이센이 점령한 쥐드프로이센(남프로이센)이 전신. 이후 나폴레옹에게 영토를 빼앗겨 나폴레옹의 괴뢰국 바르샤바 공국으로 분리되었다가 나폴레옹 몰락 후 구 쥐트프로이센의 1/3을 프로이센의 괴뢰국인 포젠 대공국으로 영향권 내에 흡수하고, 이후 1848년 정식으로 포젠 주로 병합한 사연이 복잡한 주. 주도는 포젠(현재 폴란드 포즈난). 최후까지도 봉건적인 대농장주 위주로 경제활동이 이뤄지던 농업주였다.
프로이센의 주일 당시에도 애초에 폴란드인이 인구의 과반수였다. 비스마르크의 주도로 이 지역의 독일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 독일인의 인구가 늘어나고 영내 폴란드인들도 독일인화 되긴 했지만 그보다 더 늘어나는 폴란드인 인구 ...결국 1차대전 직후 곧장 폴란드인들의 분리독립 사보타지가 일어나 결국 신생 폴란드에 제일 먼저 할양된 곳이기도 하다. 2차대전 대에는 독일이 재점령해 포젠 제국령(직후 바르텔란트 제국령)으로 부활했지만 패전하며 얄짤없이 다시 폴란드행. 현재는 폴란드 비엘코폴스키에 주와 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주로 존재한다.
순번 | 한글 지명 | 독일어 지명 | 비고 |
포젠 구역 | |||
A | 포젠 | Posen | 청사 소재지, 시 |
01 | 아델나우 | Adelnau | |
02 | 비른바움 | Birnbaum | |
03 | 봄스트 | Bomst | |
04 | 프라우슈타트 | Fraustadt | |
05 | 고스틴 | Gostyn | |
06 | 그레츠 | Grätz | |
07 | 야로친 | Jarotschin | |
08 | 켐펜 | Kempen | |
09 | 코쉬민 | Koschmin | |
10 | 코스텐 | Kosten | |
11 | 크로토쉰 | Krotoschin | |
12 | 리사 | Lissa | |
13 | 메제리츠 | Meseritz | |
14 | 노이토미쉘 | Neutomischel | |
15 | 오보르니크 | Obornik | |
16 | 오스트로보 | Ostrowo | |
17 | 플레셴 | Pleschen | |
18 | 포젠 오스트 | Posen Ost | 군 |
19 | 포젠 베스트 | Posen West | 군 |
20 | 라비치 | Rawitsch | |
21 | 잠터 | Samter | |
22 | 쉴트베르크 | Schildberg | |
23 | 슈미겔 | Schmiegel | |
24 | 슈림 | Schrimm | |
25 | 슈로다 | Schroda | |
26 | 슈베린 | Schwerin | |
27 | 브레셴 | Wreschen | |
브롬베르크 구역 | |||
A | 브롬베르크 | Bromberg | 청사 소재지, 시 |
01 | 브롬베르크 | Bromberg | 군 |
02 | 차르니카우 | Czarnikau | |
03 | 필레네 | Filehne | |
04 | 그네젠 | Gnesen | |
05 | 호엔잘차 | Hohensalza | |
06 | 콜마르 | Kolmar | |
07 | 모길노 | Mogilno | |
08 | 슈빈 | Schubin | |
09 | 슈트렐노 | Strelno | |
10 | 비르지츠 | Wirsitz | |
11 | 비트코보 | Witkowo | |
12 | 봉그로비츠 | Wongrowitz | |
13 | 츠닌 | Znin |
7 작센
문장 : 특유의 녹색 문양은 작센 왕국과 공유된다. | 위치 : 중부. 튀링겐 지역 및 작센 왕국과 인접. |
나폴레옹 몰락 직후 마그데부르크 공국,알트마르크 지역,마인츠 대주교령,작센 왕국령 점령지 흡수합병하며 설치한 주. 주도는 마그데부르크.
2차대전 이후엔 구 안할트 공국 지역을 통폐합해 작센-안할트 주가 되어있다(정확히는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구 동독 시절에는 동독 내 모든 주가 통폐합되어 단일체제로 운영되었다). 남부 일부분은 튀링겐 자유주로 편입.
순번 | 한글 지명 | 독일어 지명 | 비고 |
마그데부르크 구역 | |||
A | 아셰르스레벤 | Aschersleben | |
B | 부르크 | Burg | |
C | 할버슈타트 | Halberstadt | 시 |
D | 마그데부르크 | Magdeburg | 청사 소재지 |
E | 크베들린부르크 | Quedlinburg | 시 |
F | 슈텐달 | Stendal | 시 |
01 | 칼베 | Calbe | |
02 | 가르델레겐 | Gardelegen | |
03 | 할버슈타트 | Halberstadt | 군 |
04 | 할덴스레벤 | Haldensleben | |
05 | 예리코브 I | Jerichow I | |
06 | 예리코브 II | Jerichow II | |
07 | 오셰르스레벤 | Oschersleben | |
08 | 오스테르부르크 | Osterburg | |
09 | 크베들린부르크 | Quedlinburg | 군 |
10 | 잘츠베델 | Salzwedel | |
11 | 슈텐달 | Stendal | 군 |
12 | 반츠레벤 | Wanzleben | |
13 | 베르니게로데 | Wernigerode | |
14 | 볼미르슈테트 | Wolmirstedt | |
메르제부르크 구역 | |||
A | 아이스레벤 | Eisleben | |
B | 할레 | Halle | |
C | 메르제부르크 | Merseburg | 청사 소재지, 시 |
D | 나움부르크 | Naumburg | |
E | 바이센펠스 | Weißenfels | 시 |
F | 비텐베르크 | Wittenberg | 시 |
G | 차이츠 | Zeitz | 시 |
01 | 비테르펠트 | Bitterfeld | |
02 | 델리치 | Delitzsch | |
03 | 에카르츠베르가 | Eckartsberga | |
04 | 리벤베르다 | Liebenwerda | |
05 | 만스펠더 게비르크스크라이스 | Mansfelder Gebirgskreis | |
06 | 만스펠더 제크라이스 | Mansfelder Seekreis | |
07 | 메르제부르크 | Merseburg | 군 |
08 | 브케르푸르트 | Querfurt | |
09 | 잘크라이스 | Saalkreis | |
10 | 장거하우젠 | Sangerhausen | |
11 | 슈바이니츠 | Schweinitz | |
12 | 토르가우 | Torgau | |
13 | 바이센펠스 | Weißenfels | 군 |
14 | 비텐베르크 | Wittenberg | 군 |
15 | 차이츠 | Zeitz | 군 |
에어푸르트 구역 | |||
A | 에어푸르트 | Erfurt | 청사 소재지 |
B | 뮐하우젠 | Mühlhausen | 시 |
C | 노르트하우젠 | Nordhausen | 시 |
01 | 하일리겐슈타트 | Heiligenstadt | |
02 | 랑겐잘차 | Langensalza | |
03 | 뮐하우젠 | Mühlhausen | 군 |
04 | 노르트하우젠 | Nordhausen | 군 |
05 | 슐로이징겐 | Schleusingen | |
06 | 바이센제 | Weißensee | |
07 | 보르비스 | Worbis | |
08 | 치겐뤼크 | Ziegenrück |
8 하노버
문장 : 하노버 왕국의 상징인 백마가 계승되었다. | 위치 : 서북부. 북해 연안 및 네덜란드접경. |
1866년 독일 내 주도권을 잡기 위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프로이센이 점령한 하노버 왕국이 전신. 주도는 하노버.
2차대전 이후 함부르크 자유시와 브레멘 자유시를 제외하고 기타 영내 지역(올덴부르크, 브라운슈바이히 등)을 통폐합해 니더작센 주가 되어있다. 여러 지역을 통폐합했다지만 니더작센 주의 문장은 하노버의 백마를 그대로 쓴다던가 아무래도 하노버 주의 영향이 가장 센 편이다. 물론 니더작센 주의 주도도 역시 하노버.
9 헤센-나사우
네덜란드 국기 아닙니다. 헤센-나사우 주기 맞습니다.
문장 : 헤센, 나사우, 프랑크푸르트의 상징을 모았다. 헤센과 나사우는 사자, 프랑크푸르트는 독수리. | 위치 : 중서부. 남독일 지역과의 경계선.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헤센-카셀 영주국, 나사우 공국, 프랑크푸르트 자유시를 흡수합병하며 설치한 주. 주도는 카셀. 네덜란드 국기와 헤센-나사우 주기가 같은 것은 나사우 공국때문인데, 애초에 네덜란드 왕실 자체가 나사우 공국에 핏줄을 두고 있기 때문.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카셀과 나사우에 각기 의회가 성립했고, 나치 말기에는 한때 쿠르헤센과 나사우 2개 주로 분리되기도 했다.
2차대전 이후엔 구 헤센 대공국 지역과 통폐합되어 헤센 주가 된다. 일부분은 라인란트-팔츠 주로 편입.
10 베스트팔렌
폴란드 국기 아닙니다. 베스트팔렌 주기 맞습니다.
문장 : 하노버와 마찬가지로 백마가 상징이다. | 위치 : 서부. 하노버와 라인란트 사이. |
빈 회의 이후 나폴레옹의 괴뢰국 베스트팔렌 왕국을 흡수하면서 설치한 주. 주도는 뮌스터. 2차대전 이후 라인란트 북부와 통폐합되고 영내 지역인 구 리페 후국 지역 등도 합쳐 현재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가 되어있다.
11 라인란트
문장 : 프로이센 독수리에 녹색 방패문양 추가. | 위치 : 서부.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프랑스 접경지대. |
빈 회의 이후 프랑스에서 되찾은 니더라인 주와 윌리히-클레베-베르크 주를 1822년에 통폐합하며 만든 주. 주도는 코블렌츠. 2차대전 이후 북부는 베스트팔렌 주와 합쳐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로, 중남부는 바이에른 왕국의 팔츠 지역과 합쳐져 라인란트-팔츠 주로, 남서부는 따로 독립해 자를란트 주로 되어있다. 일부분은 헤센 주와 벨기에로 각각 편입.
12 호엔촐레른
문장 : 흑백체크가 상징. 상단의 병맛나는 개머리는(...) | 위치 : 남부. 뷔르템베르크 왕국에 묻힌 형태. |
뷔르템베르크 왕국과 바덴 대공국 사이에 끼어있는 작은 주. 주도는 지크마링겐. 프로이센의 영토 치곤 생뚱맞게 남부 독일에 홀로 박혀있다. 1849년에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호엔촐레른-헤칭겐 두 공국의 군주가 같은 호엔촐레른 가문인 프로이센 왕에게 통치권을 넘겼기 때문이다[3].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여기가 프로이센 왕실인 호엔촐레른 왕가의 발원지.
2차대전 시기에는 구 뷔르템베르크 왕국 지역과 통폐합되어 뷔르템베르크-호엔촐레른 주가 되었다 2차대전 이후에는 구 바덴 대공국 지역과도 합쳐져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일부가 된다. 즉 독자적인 호엔촐레른의 명의는 사라진지 오래(...).
13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유고슬라비아 국기 아닙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기 맞습니다.
문장 :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의 문장을 합쳤다. 쌍사자가 슐레스비히, 방패문양은 홀슈타인. | 위치 : 북부. 덴마크 접경 및 북해-발트해 연안지대.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프로이센-덴마크 전쟁을 거치며 슐레스비히 공국과 홀슈타인 공국을 흡수합병해 설치한 주. 주도는 슐레스비히였다가 킬로 변경. 1차대전 이후 덴마크계 인구가 많은 슐레스비히 북부 4군(Hadersleben,Apenrade,Tondern,Sonderburg)이 주민투표를 거쳐 덴마크에 할양되고 1937년 뤼베크 자유시를 흡수한 걸 제외하면[4] 꾸준히 일정한 경계선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도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로 고스란히 존재.
14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주에 속해있다가 1881년부터 따로 독립되어 나온 프로이센 및 독일의 수도. 이후 1920년 베를린 대확장을 거치며 오늘날의 영역을 확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