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Westpreußen
영어:West Prussia
폴란드어:Prusy Zachodnie
주기(州旗) | 주장(州章) |
서프로이센의 위치 | |
국가 | 독일 -> 폴란드 |
주도(州都) | 단치히 |
목차
1 개요
구 독일 제국의 동부 지역을 이루고 있던 곳. '서'프로이센이라는 명칭 때문에 서부 지역일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간혹 보이는데 조심하자. 어디까지나 동프로이센보다 서쪽에 있어서 서프로이센이라는 명칭이 붙었을 뿐 우리나라 광역시의 서구가 서쪽에 있지 않고 중심부에 있는 경우와 비슷하다
2 역사
2.1 초기
본래 서프로이센 지역은 튜튼기사단의 통치를 받는 지역이었지만, 1466년 튜튼기사단의 지배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킨다. 폴란드의 도움을 받은 덕에 반란을 수월히 성공으로 이어졌고 이 일대는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영토로 편입되면서 독자적인 하나의 지역으로의 역사가 시작된다. 반면 쾨니히스베르크를 비롯한 오늘날의 동프로이센 일대는 튜튼기사단을 지지했으며, 이후 종교개혁 시기 튜튼기사단이 개신교로 개종하고 세속주의를 채택함에 따라 프로이센 공국으로 재탄생했고 서프로이센과 다른 길을 걷기 시작한다. 이후 1618년부터 프로이센 공작이 브란덴부르크 공작의 지위도 겸하게 됨에 따라 서프로이센은 본의 아니게 동프로이센을 월경지로 만들어버린다.[1]
2.2 프로이센 왕국 서프로이센 주(Provinz Westpreußen)
프리드리히 대왕은 1772년의 1차 폴란드 분할을 통하여 서프로이센 영토를 수복하고 프로이센의 오랜 숙원이던 동프로이센과 브란덴부르크의 연결에 성공한다.[2] 물론 발트해로 나가는 통로가 차단된 폴란드에게는 재앙과 같은 일이었다
서프로이센을 수복한 계몽군주를 자처했던 프리드리히 대제는 지금 관점에서도 꽤나 온건한 통치를 이 지역에서 펼쳤다. 물론 각종 통치 시스템은 프로이센적인 색채로 뒤덮였지만, 폴란드의 국교였던 가톨릭을 프로이센의 프로테스탄티즘과 평등하게 대우해줬던 것은 물론이거니와 폴란드어 역시 여전히 학교에서 교육하는 것이 허락되었다.[3] 심지어 프리드리히 대제는 본인이 폴란드어를 배웠거니와 그의 후계자들에게도 폴란드어를 배울 것을 권장하기도 했다.[4]
다만 프리드리히 대제가 정말 폴란드인들을 존중해서 온건책을 펼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말이 많다. 최근에는 프리드리히 대제가 폴란드 정부를 '오스만투르크 빼고는 유럽에서 가장 쓰레기같은 정부'라고 혹평하고사실이잖아 근데 폴란드인들을 '더러운 유인원'으로 씹은 것(...)이 밝혀지면서 그냥 민심을 다스리기 위한 차원에서 펼친 정책이었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굳어지고 있다. 그런데 프리드리히 대제는 독일어도 더러운 언어라며 궁중에서 프랑스어만 쓴 사람인데
이후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로이센이 프랑스에게 쳐발리면서 일시적으로 서프로이센 지역은 바르샤바 공국의 일부로 편입되기도 하지만,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로는 당연히 도로아미타불. 참고로 1824년부터 1878년까지는 동프로이센과 통합되어 프로이센 주가 되기도 하였다.
한편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에 불어닥친 민족주의 광풍에 발맞추어 프로이센 역시 이 일대의 주민들을 적극적으로 독일의 다른 지역들 처럼 만들기로 결심했고, 그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독일인들이 이 곳으로 이주해오는 한편 독일화가 거세진다. 1871년 프로이센이 주도하는 독일 제국이 수립된 이후로는이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5]
이런 독일의 노력 탓인지 20세기 초반이 되면 상당히 동화가 진척되어서 전체 인구의 40% 이상이 독일인이었으며, 독일어를 제1언어로 구사하는 사람은 인구의 70%정도였다. 하지만 1차대전 이후 연합국이 민족자결주의와 더불어 폴란드 회랑을 내세우면서 이 지역은 폴란드에게로 넘어간다. 그에 따라 123년만에 다시 동프로이센은 독일본토와 분리된 월경지가 되었고, 이는 독일인들을 가장 격분케 한 전후조치 중 하나였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립 이후로도 독일은 공공연히 폴란드와의 국경 승인을 거부했고, 아예 1933년 히틀러가 집권한 이후에는 대놓고 폴란드를 향한 적의를 숨기지 않았다.
2.3 후신(?) : 포젠-서프로이센 변경주와 서프로이센 관구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폴란드 제2공화국은 발트해로 나가는 통로('폴란드 회랑')을 얻을 수 있었다. 서프로이센 주의 주도였던 단치히와 그 주변은 단치히 자유시라는 이름의 국제연맹 관할구역이 되었으나, 특히 독일인들이 많이 거주하던 일부 지역(플라토, 슐로샤우, 도이치 크로네)은 바이마르 공화국에 잔류할 수 있었다.
역시 독일인들이 많이 거주해 바이마르 공화국에 잔류했던 포젠 주 일부 지역들(슈나이더뮐 시, 네체크라이스, 봄스트, 프라우슈타트, 슈베린, 메세리츠)을 합쳐, 바이마르 공화국은 1922년 7월 1일에 '포젠-서프로이센 변경주(Grenzmark Posen-Westpreußen)'를 출범시킨다. 주청 소재지는 슈나이더뮐(Schneidemühl).
포젠-서프로이센 변경주의 영역. 북쪽 덩어리 가운데 남쪽 끝 네체크라이스와 주도 슈나이더뮐을 제외한 곳이 구 서프로이센 주였던 지역이다. 비록 찌꺼기(...)만 남았지만, 동프로이센으로 가는 프로이센 동방철도가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었기에 나름 중요한 곳이었다.
그러나 나치가 집권하면서 1938년, 이 변경주를 포메른과 브란덴부르크에 분할 합병시켜버린다.
한편 동프로이센에 가까우면서 독일인들이 다수였던 서프로이센 지역(엘빙, 마리엔부르크, 슈툼, 마리엔베르더, 로젠베르크)은, 1922년 7월 1일부로 동프로이센 주가 관할하는 '서프로이센 관구(Regierungsbezirk[6] Westpreußen)'가 된다. 관구청 소재지는 마리엔베르더였다.
2.4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급기야 1938년 이후로 독일은 폴란드에게 단치히로 가는 철도에 대한 치외법권을 요구했고 폴란드가 이를 거부하면서 2차대전이 발발한다. 어찌보자면 서프로이센은 2차대전의 도화선이었던 셈. 폴란드 침공 이후 이 일대는 다시 독일의 영토로 편입되지만 전쟁은 독일의 패배로 끝났고 이 일대는 다시 폴란드의 영토로 돌아옴과 동시에 이 일대에 거주하던 독일인들은 모두[7]는 독일 본토로 추방된다.
3 외부 링크
4 관련 항목
- ↑ 아이러니컬하지만 역사학자들은 월경지가 오히려 폴란드의 쇠락에 큰 힘을 보탰다고 평가하곤한다.
양면전쟁의 위험성 - ↑ 단순히 영토 수복이라는 상징성 뿐만이 아니라 국토가 연결되면서 같은 시기 예카테리나 대제의 지도 하에 무섭게 성장하고 있던 러시아를 유사시 손쉽게 견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프로이센에게 1차 폴란드 분할은 하나의 쾌거였다.
- ↑ 다만 제1언어는 물론 독일어였다.
- ↑ 실제로 이후 프로이센의 국왕들은 한동안 폴란드어를 배웠다. 프로이센의 국왕 중에서 폴란드어를 구사할 줄 몰랐던 유일한 인물은 빌헬름 2세.
- ↑ 각종 세제 혜택이나 국책사업을 독일인들에게 수주해줬다. 그 외에도 독일인들에게 서프로이센에서의 각종 사업 권유 및 허가를 집중적으로 주었다.
- ↑ 현 또는 관구로 번역되며, 주와 시·군 사이의 중간 계층의 행정 구역이다.
- ↑ 단순히 전쟁 기간 중에 이주해온 사람 말고도 전쟁 이전부터 살던 토박이들도 싹다 추방시켜버렸다. 뮌헨협정 당시 주데텐란트의 사례에서 보이듯이 민족과 국경선을 일치시키지 않으면 결국 또다시 문제가 생길 거라는 판단을 연합국들이 내렸기 때문. 여담이지만 그 덕분에 폴란드는 원래 제2공화국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자국민을 포함해 독일인, 유대인, 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 등이 사는 다민족국가였지만 전쟁 후에는 99% 폴란드인만이 사는 단일민족국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