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농구리그 | ||
구분 | 명칭 | |
프로 | 1군 | 한국프로농구 / 한국여자프로농구 |
2군 | 한국프로농구 D리그 / WKBL 퓨처스리그 | |
실업 | 농구대잔치 | |
혼합 | 프로-아마 농구 최강전 / 박신자컵 | |
아마추어 | 대학 | |
중고교 | 중고농구 주말리그 KBL 총재배 / WKBL 총재배 / 연맹회장기 / 대통령기 / 전국체전 | |
사회인 | 전국직장인농구리그 | |
†1 2009년까지 개최. 2010년 한국대학농구리그 출범이후 폐지 †2 남성부와 여성부가 분리 개최 |
1 개요
한국 남자 농구의 대학 팀들이 벌이는 리그.
과거 한국의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이 최소한의 공부를 하지 않고, 운동에만 전념하다가 정작 프로팀에 미지명된 후,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사례가 나타나자 이를 막기 위해 학업과 운동의 병행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고, 결국 축구를 시작으로 야구에서도 주말리그가 도입되었다. 농구 역시 비슷한 움직임이 있었는데, 전국 각지에 흩어지고, 팀 수가 많지 않은 고교 이하는 어렵지만, 대학은 비교적 위치가 모여있기 때문에 가능했다.[1]
여기에 KBL 출범 이후,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진 아마추어 농구를 살리기 위한 방편으로 대학 농구도 미국의 NCAA와 같은 형태의 리그전을 도입해서 선수들의 프로 적응력을 높이고, 기량을 향상시키며,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고, 아울러 리그전과 PO를 통해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리그제 도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그 결과 2010년부터 리그전이 도입되었다. (2009년 이전까지는 연간 2~3차례 단일대회로서 대학농구연맹전이 개최되었다. 그래서 시즌 3관왕, 4관왕 같은게 가능했다.)
총 12개 대학이 참가해서 벌이며, 정규시즌은 3월에 개막해서 9월에 마무리하며, 10월에 PO를 거쳐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시즌 중간의 각 대학 시험기간에는 경기를 열지 않는다. 그리고 2012년부터 올스타전이 도입되었다. PO는 8강 PO로 8강, 6강 및 4강까지는 단판, 결승전은 3판 2선승제로 치뤄진다.[2]
전반적으로 리그제 자체의 취지에는 모두 공감하고, 어느 정도 정착된 편이지만, 아직 대중적인 인기를 끌지는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대학이 전국에 흩어지지 않고 수도권에 몰려 있으면서 관심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지 못한 탓도 있고, 농구의 인기가 1990년대에 비해 확연히 떨어진 것도 한 원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학농구리그 출범 이후, 선수들이 많은 경기 경험을 통해 성장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을 볼 때, 경기력적인 측면에서는 실패라고 보기는 어려울 듯. 그리고 2013년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활약했던 김종규, 김민구, 이종현 등이 출전한 2013년 플레이오프는 관중몰이에도 제법 성공했다.
스폰서인 KB국민은행의 지원으로 2014년부터 대학생 서포터스 활동인 "KB국민은행 대학농구리그 스포츠마케팅 서포터즈"가 시작되어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각 대학별로 대학생(타대학생도 가능)들로 이루어진 서포터스는 장내 아나운서, 이벤트 진행, 경기 홍보와 선수단 홍보를 맡아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14년 대학생 올스타전 경기에서는 대학생 서포터스들의 기획과 참여로 관중들의 호평을 받은 바 있다.
2015년부터 여자대학부도 리그제를 도입하였다.
2 참가팀 (가나다순)
남대부 1부
남대부 2부
여대부
3 역대 우승팀
3.1 남자대학부
3.1.1 대학농구리그
2009년 이전의 결과는 대학농구연맹전 항목 참조
회차 | 연도 | 우승 | 준우승 | 챔피언결정전 MVP | 정규리그 1위 | 정규리그 MVP | 신인상 |
1 | 2010 | 중앙대 | 경희대 | 함누리(중앙대) | 중앙대 | 김선형(중앙대) | - |
2 | 2011 | 경희대 | 연세대 | 박래훈(경희대) | 경희대 | 김민구(경희대) | 이승현(고려대) |
3 | 2012 | 경희대 | 중앙대 | 김종규(경희대) | 경희대 | 김민구(경희대) | 허웅(연세대) |
4 | 2013 | 고려대 | 경희대 | 이종현(고려대) | 경희대 | 김종규(경희대) | 이종현(고려대) |
5 | 2014 | 고려대 | 연세대 | 이승현(고려대) | 고려대 | 이승현(고려대) | 허훈(연세대) |
6 | 2015 | 고려대 | 연세대 | 강상재(고려대) | 고려대 | 문성곤(고려대) | 변준형(동국대) |
7 | 2016 | 연세대 | 고려대 | 천기범(연세대) | 고려대 | 이종현(고려대) | 유현준(한양대) |
3.2 여자대학부
회차 | 연도 | 우승 | 준우승 | 챔피언결정전 MVP | 정규리그 1위 | 정규리그 MVP | 신인상 |
1 | 2015 | 용인대 | 광주대 | 최정민(용인대) | 용인대 | 조은정(용인대) | 최정민(용인대) |
2 | 2016 | 광주대 | 수원대 | 강유림(광주대) | 광주대 | 김진희(광주대) | 홍채린(광주대) |
4 팀별 우승횟수[3]
4.1 남자대학부
우 승 | ||
고려대학교 | 3회 | 2013, 2014, 2015 |
경희대학교 | 2회 | 2011, 2012 |
중앙대학교 | 1회 | 2010 |
연세대학교 | 1회 | 2016 |
4.2 여자대학부
우 승 | ||
용인대학교 | 1회 | 2015 |
광주대학교 | 1회 | 2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