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영운수

홈페이지

파일:Attachment/화영운수/hwayoungtrs.jpg
로고

650px
실제운행차량.[1]

류화영[2], 이화영, 임화영 등과는 관련 없다
火影운수 화영총운수

1 개요

경기도 광명시 소속의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본사는 경기도 광명시 도덕로 13(구 주소는 광명7동 748) 광남네거리 인근에 있으며, 경기도 시흥시 사미길 7(구 주소는 거모동 679-1) 군자JC 인근에 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광명7동 본사는 광명~안양, 서울행 노선들의 차고지이며, 거모동영업소는 1번, 11-3번, 39번과 같은 시흥~광명, 서울행 노선들의 차고지다.

2 역사

이 회사의 모태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확실한 사실이 알려져 있지 않다. 한때는 이름이 유사한 점, 지리적 특징을 이유로 삼영운수에서 분리되었다는 설이 널리 퍼지기도 하였으나 실제로는 1973년에 개설된 평안운수 광명영업소를 전신으로 1979년에 분리 독립했다.[3]

아무튼, 1979년 3개 노선 14대의 버스로 시작한 화영운수는 1980년대 이후 광명시가 위성도시로 급속히 개발됨에 따라 버스 노선도 늘어나 2008년 10월 기준 12개 노선, 현재는 17개노선을 운행 중이다. 한동안 개발이 없었다가 2010년부터 소하동 근처와 광명역 근처가 개발되면서 수요는 더욱 늘어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소하초, 중, 고교 근처는 이미 아파트들이 많이 올라갔다.

3 차량

업체의 차량 전부 자일대우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저상버스가 11-2번에서 2대 운행중이다.[4]또한 경기도 업체중 유일하게 하부 계폐창이 달린 FX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2016년부터 도입된 FX 증차분은 통유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지막 유리창에만 하부 계폐창이 달려 있다. 그리고 초저상버스를 제외한 모든 버스가 디젤차량이다.

4 노선 특성

광명에도 서울 버스가 많이 지나가긴 하나 대부분의 노선이 광명시 북부 시가지와[5] 광명 남부 시가지[6]를 훑고 지나가기만 하지, 광명의 주요 지역 간을 이어주는 버스는 없어서[7] 사실상 화영운수는 광명시 독점 상태.[8] 이와 비슷한 이유로 화영운수의 웬만한 노선은 시계외요금을 받지 않는다.

시청과 유착관계가 있는지라 무슨 일이 있으면 버스 앞면에 안내문을 자주 붙이고 있다. 전에는 광명시내 단수 안내문, 경찰 관련 안내문을 붙이고 다닐뿐더러 한때 경기도 교육감 선거 안내문까지 붙인 적도 있다. 지금은 광명시의 위인인 이원익 선생 축제라든지 광명시의 꽃인 장미를 사랑하자는지의 대놓고 시하고 짝짜꿍(유착) 인증을 하고 있다.[9] 또한 광명시청의 요청에 따라 곧바로 7-1번이라는 노선, 가학광산으로 가는 사실상의 셔틀버스를 신설하는 것도 그러하다. 어찌 보면 바로 옆동네 부천시소신여객과 비슷하다.

그래도 꾸준한 증편 및 노선 신설로 지역 버스동호인한테는 그럭저럭 괜찮은 소리를 듣기는 한다. 옆 동네 시흥의 모 버스업체와 비교된다

각 노선들이 광명시의 모든 중, 고등학교들을 지나다 보니 아침, 저녁 시간대에 통학생으로 만차가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39번 같은 경우엔 경기자동차과학고교 학생의 약 70%가 이용하는 버스인데 물론 학교 앞으로 시흥 26번도 지나가긴 하지만 정왕동쪽으로 가는 버스라서 타는 학생이 매우 드물다. 2014년에 신설된 견제노선 시흥 530번이 있지만 신설된 노선이라 그런지 조금 늦은 첫차시간과(6:30) 엄청난배차(30분)때문에 아침마저 비주류 노선이다.(애초에 여의도~포동 노선은 530번보다 6637, 6513→1→31번 노선이 더 유명하다.) 게다가 학교가 좀 외진 곳에 있어서 걸어가기엔 약간 먼 거리이다. 더구나 배차시간이 약 30분에 달하니...17번의 경우는 5개의 고교(광북, 광명, 소하, 충현, 광명 회계정산)의 통학생들이 이용하는 노선이고, 일부차량이 중형차량이니(BS090) 타 노선의 아침 시간대보다 더욱 심한 막장을 보여준다.

화영운수의 대표 허브(?)역이라 할 수 있는 곳은 개봉역 남부 출구(광명시 방향)로 100번, 17번, 39번, 1번, 22번, 11번이 개봉역이 종점인 노선이다. 그러다 보니 서울인데도 불구하고 경기도 업체인 화영운수 소속 버스가 더 많다. 반대로 북부 출구는 전부 서울시 마을버스. 개봉역이 종점인 이유는 7호선 광명 사거리역과 철산역이 생기기 전의 대부분의 광명 시민들이 서울 시내에 나가기 위해서는 개봉역, 가산 디지털단지역가리봉역등을 이용해야 했는데[10], 광명시 전역에서 이 두 곳을 쉽게 가려면 화영운수 버스를 이용해야 했었고 화영운수의 모든 노선이 이 두 역중 한 역이 종점이었던 것으로 봐서 지하철역으로의 수송이 초기 역할이었던 것 같다.

5 기타

아침 시간대에 탑승객이 워낙 많다 보니 몇몇 정류장에는 화영운수 직원이 직접 나와서 과다탑승 막기, 버스요금 받아주기, 심지어 푸시맨 업무까지 보는 풍경을 볼 수 있다.[11]

또 통학생들 대부분이 이용하는 버스의 업체이다 보니, 화영운수 버스 이용율이 가장 높은 모 고등학교에 장학금을 대 준다는 도시전설이 존재하는데, 실제론 광명시 8개 고등학교에 장학금을 지급한다고 한다. 어떤 의미로 보면 광명시 고등학생들이 화영운수에 대한 의존도를 알 수 있다.[12]

과거 거의 방치 수준인 홈페이지를 뜯어 고쳐서 새로 개설해서 유용하게 쓰고 있다. 하지만 무개념 버스 동호인들이 난데없이 차량 교체 유무, 예비차 운행 유무를 물어보는 바람에 고생 중이라서 오죽했으면 공지사항에 제발 이런 질문은 민원 게시판에 올리지 말고 전화로 해 달라는 말까지 했다. 이곳 역시 다른 버스업체 홈페이지 민원란과 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 셈이다.

여담이지만 11-1번 기사들과 부천버스 소속 기사들이랑 손인사를 자주 해서 화영운수가 부천버스와 계열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지만 계열관계는 아니다. 이외에도 시흥시에서도 경원여객시흥교통 소속 기사들과도 자주 손인사를 한다. 물론 경원여객 계열관계는 아니지만, 과거에 경원, 화영 공동 배차노선이 몇 있던 이력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래로 내려보면 나와있다.

회사가 그리 크지 않아서 버스 동호인들도 어쩌다가 한번 얘기하는 회사이긴 하나 2009년 8월에 광명시~인천(인하대,송도) 구간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인 3001번을 개통[13]한다고 하여 동호인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의외의 회사에서의 의외의 노선이라나 뭐라나...

G-BUS 도입 전에는 파스텔톤의 상당히 밝은 도색을 적용하였다. 밝은 도색의 특성상 먼지가 끼면 상당히 보기 흉해지지만 화영운수는 차량관리가 상당히 괜찮은 편이라 대부분의 차량이 깨끗한 상태로 다녔으며 이는 현재도 마찬가지.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라서 세차가 필요할 정도로 더러운 상태의 화영운수 차량도 가끔 보인다.

이 회사도 어느 정도의 스피드는 있다고는 하나 시흥 영업소 한정이다.[14] 1번 버스의 경우, 100km이상의 속도를 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15](현재는 90km에 리밋) 그리고, 1990년대 초반까지는 경원여객과 함께 반월공단과 영등포역을 왕래하는 시외버스도 운행하였다.[16] 그러나, 현재는 스피드가 많이 줄어, 정속주행을 하고 있다.

88번은 철산동에서 반월공단으로 갔던 노선으로, 경원여객 구 88번 노선과 일치했었다. 지금은 그런 거 없다. 폐선됐으니까.

화영운수에서 운행중인 노선은 광명시 버스 목록을 보자. 여담으로 경기도 버스업체중 G BUS TV에도 가끔 비친다(주로 버스 내에서 이뤄지는 소규모 음악 콘서트가 해당).

광명 버스 3001이 자리잡은 뒤 인천광역시(특히 남구, 연수구 포함 인천 남부 지역)에서도 간혹 노선 신설 관련 민원이 나오기도 한다. 대체적으로 인천 지역~광명역 혹은 구로디지털단지역 노선 신설 요청(...) 9902번 재개통시키면 되겠네

여담으로 이 회사 전 노선이 초승 기본요금제라 환승할 것이 아니라면 하차시에 교통카드를 찍지 않아도 무방하다.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자일대우버스

6.2 과거 보유차량

6.2.1 자일대우버스

  1. 해당 차량은 NEW BS106으로 교체되었다.
  2. 그래서 어떤 버스 동호인들은 류화영운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3. 해당 내용의 출처는 광명시청 블로그.
  4. 중저상버스는 11-1,12번에서 운행 중. 그리고 일부 차량은 자동변속기가 장착 되어있다. 하지만 중저상버스는 2015년 5월부로 모두 NEW BS106으로 대차했다.
  5. 6637, 503, 504, 5535, 5714, 6635 등
  6. 5627, 5633, 505 등
  7. 광명에서 서울, 서울에서 광명으로 갈 때나 유용하지 광명시 주요 지역 간 이동 시에는 유용성이 떨어진다.
  8. 광명시 시내버스 업체는 화영운수 하나밖에 없고 마을버스 업체도 자경마을버스 하나밖에 없다.
  9. 이 행사 모두 광명시와 화영운수가 벌이고 있다.
  10. 2호선 타려면 구로 디지털단지공단
  11. 화영 뿐만 아니라 타 업체도 탑승객이 많은 특정 정류장에 직원을 보내서 관리한다.
  12. 그만큼 많이 타니 버는 돈도 많고 베푸는 돈도 많은 거다.
  13. 경기도 직행좌석버스가 인천에 들어가는건 사실상 이번이 처음
  14. 광명 본사 노선들은 스피드 따윈 없다. 하안동에서 12번, 22번이나 11-2번을 타면 저속으로 까이고 있는 KD보다 더 느리다고 느낄 정도.
  15. 1번 노선 길이가 화영운수 시내노선에서 가장 긴 65km이기에 그랬다.
  16. 시외버스 노선이 시내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할 때에, 화영운수는 도일시장을 거쳐가는 310번을 운행했는데, 어느새 폐선되었다. 310번은 거모동영업소 - 도일시장 - 안산역 - 이후 320번 구간과 동일했지만 추후 경원여객 320번에 흡수 운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