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문서 : 언어 관련 정보
목차
1 개요
子音同化
Consonant assimilation
공존할 수 없는 두 자음이 서로 충돌해서 원래와는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 몇몇 언어에서 간혹 생기며, 대표적인 언어는 당연히 한국어. 편의상 한국어의 자음동화를 다룬다.
대개 불파음 vs 평파열음·평마찰음·평파찰음, 불파음 vs 비음, 불파음 vs 탄음, 설측음 vs 비음, 비음 vs 탄음의 구도로 배틀이 펼쳐진다.
또한 앞소리는 그대로인데 뒷소리가 바뀌면 순행동화, 앞소리가 바뀌고 뒷소리가 그대로이면 역행동화, 둘 다 바뀌면 상호동화라고 분류한다.[1]
2 자음 동화의 예 - 접하는 자음별 분류
2.1 불파음 vs 평파열음·평마찰음·평파찰음
불파음 ㄱ, ㄷ, ㅂ + 평파열음 ㄱ, ㄷ, ㅂ | → | 불파음 ㄱ, ㄷ, ㅂ + 경파열음 ㄲ, ㄸ, ㅃ |
불파음 ㄱ, ㄷ, ㅂ + 평마찰음 ㅅ | → | 불파음 ㄱ, ㄷ, ㅂ + 경마찰음 ㅆ |
불파음 ㄱ, ㄷ, ㅂ + 평파찰음 ㅈ | → | 불파음 ㄱ, ㄷ, ㅂ + 경파찰음 ㅉ |
불파음은 터지려는 소리를 억지로 누르는 것이기 때문에 바로 평파열음이나 평파찰음, 평마찰음이 올 경우 막아놨던 것이 터지면서 경음(된소리)이 되어 버린다. 오묘한 한국어의 세계 앞의 자음은 그대로이고 뒤의 자음이 바뀌었으니 순행동화.
ex > 식기 → 식끼, 박수 → 박쑤, 국자 → 국짜 쉣깃업 → 제끼랍
불파음 뒤에 '거센소리'라 불리는 유기파열음(ㅋ, ㅌ, ㅍ)과 유기파찰음(ㅊ)이 올 경우는 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유기파열음과 유기파찰음이 불파음보다 강하기 때문. '박카스', '약탈', '옥포', '박차' 등의 단어를 생각해 보자. 각각 [박까스], [약딸], [옥뽀], [박짜] 등이 아닌, 표기 그대로 [박카스], [약탈], [옥포], [박차]로 발음된다. 동남방언 화자의 경우, 'ㅆ'이 들어갈 자리를 'ㅅ'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ㅅ'을 유기마찰음 [sʰ]로 발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s]으로 발음한다면 불파음 ㄱ, ㄷ, ㅂ를 만났을 때 [s͈]로 경음화되겠지만, [sʰ]라면 여타의 유기음인 ㅋ, ㅌ, ㅍ, ㅊ가 경음화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대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그래가 차가 박살이 나가
한편, 한국 한자음 중 ㄹ 받침인 한자에 후행하는 ㄷ, ㅅ, ㅈ가 된소리가 되는 것도 원래는 ㄹ 받침이 아닌 ㄷ 받침이었던 흔적이다.
갈등(葛藤) - [갈뜽], 불소(弗素) - [불쏘], 발주(發注) - [발쭈]
여담으로 아래에 나오는 '동화 현상 이름에 따른 분류'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학교에서 배우는 국어 과정에서도 이를 된소리되기(경음화)라고 별도로 분류하고 있다.
2.2 불파음 vs 비음
불파음 ㄱ, ㄷ, ㅂ + 비음 ㄴ, ㅁ | → | 비음 ㅇ, ㄴ, ㅁ + 비음 ㄴ, ㅁ |
비음은 상상외로 강하다. 웬만한 파열음은 골로 보낼 정도라 비음과 맞짱떠서 이기는 음가는 아래에 나오는 탄음, 설측음이 전부. 불파음을 비음으로 바꿔버리는 파괴력이다. 앞의 불파음이 바뀌고 뒤의 비음이 그대로이므로 역행동화. 이 경우 불파음이 비음으로 바뀌면서도 조음 위치는 변화가 없다. (ㄱ → ㅇ, ㄷ → ㄴ, ㅂ → ㅁ)
ex > 어두육미 → 어두융미, 맏누이 → 만누이, 법망 → 범망, 고객님 → 고갱님 , 학문 → 항문 [2], 송석문 → 송성문
여기서 이메일을 알려줄 때 애로사항이 생기기도 하는데, 한국어로 둘 다 [한메일]로 읽는 hanmail.net과 hotmail.com이 그것. 구두상으로 (특히 전화로) 이메일을 알려줄 때,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은 hanmail로 알아듣기 때문에 hotmail 사용자는 현기증이 절로 난다(...). 이왕이면 정확하게 설명해 주자. 사실 '핫'과 '메일' 사이를 한 박자 끊어서 비음화를 막으면 간단하다. 그래도 정 불안하면 '한메일이 아니라 핫! 메일'이라고 하면 된다.
2.3 불파음 vs 탄음
불파음 ㄱ, ㄷ, ㅂ + 탄음 ㄹ | (→ | 불파음 ㄱ, ㄷ, ㅂ + 비음 ㄴ) | → | 비음 ㅇ, ㄴ, ㅁ + 비음 ㄴ |
탄음 /ɾ/는 약간 특이한 녀석인데, 불파음과 부딪쳐서 상호동화, 즉 동귀어진을 해 버린다(...) 부딪치자마자 둘 다 비음이 되어 버리는 진정한 의미의 치킨 게임 플레이어.
사실 음운론적으로는, 일단 뒤의 탄음 ㄹ이 비음 ㄴ으로 바뀐 후, 이 비음 ㄴ에 힘입어 앞의 불파음 ㄱ, ㄷ, ㅂ이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뀐다고 보는 편이 옳다. 이 경우도 불파음이 비음으로 바뀔 때 조음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위 표와 아래 예시에서의 중간 괄호 부분 참조.
ex > 백로 (→ 백노) → 뱅노, 디귿리을 (→ 디귿니을) → 디근니을, 왕십리 (→ 왕십니) → 왕심니
북한 문화어발음법에서는 동화의 순서를 달리 보아, 불파음 ㄱ, ㄷ, ㅂ이 탄음 ㄹ을 만났을 때, 앞의 불파음이 탄음 ㄹ에 힘입어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뀐다고 보았다. 탄음 ㄹ은 비음이 아니므로 일단 이 ㄹ이 비음 ㄴ으로 바뀌어야 해석의 순서가 자연스러울 텐데, 왜 탄음 ㄹ이 앞의 불파음들을 곧바로 비음으로 동화시키는지는 불명.[3] 북한식으로 위 예시들을 재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ex > 백로 → 뱅로, 디귿리을 → 디근리을, 왕십리 → 왕심리
거기다 북한 문화어에서는 이 '뱅로, 디근리을, 왕심리'가 '뱅노, 디근니을, 왕심니'로 바뀌지도 않는다고 본다. 발음하려면 좀 힘들 텐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 "비음 vs 탄음" 참조. 참고로 이 점은 일본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다. 'ン' 뒤에서 'ラ'행의 음이 동화되지 않는다.
2.4 설측음 vs 비음 중 ㄴ
설측음 ㄹ + 비음 ㄴ | → | 설측음 ㄹ + 설측음 ㄹ |
ㄹ과 ㄴ의 대결 구도로 병림픽배틀이 펼쳐진다. 대부분 ㄹ의 승리로 끝나 ㄹㄴ→ㄹㄹ 조합이 된다. 자연히 순행동화.
ex > 해질녘 → 해질력[4],
2.5 비음 vs 탄음
비음 ㄴ + 탄음 ㄹ | → | 비음 ㄴ + 비음 ㄴ |
비음 ㄴ + 탄음 ㄹ | → | 설측음 ㄹ + 설측음 ㄹ |
비음 ㅁ, ㅇ + 탄음 ㄹ | → | 비음 ㅁ, ㅇ + 비음 ㄴ |
비음 ㄴ, ㅁ, ㅇ 중 일단 첫번째인 ㄴ과 ㄹ의 병림픽배틀 2탄[5]을 보자. 일단 ㄴㄹ→ㄴㄴ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순행동화.
ex > 생산량 → 생산냥
그런데 ㄴㄹ→ㄹㄹ로 되는 경우도 있다. 역행동화.
ex > 신라 → 실라
또한 지하철역에서 영문표기를 할 때도 n,l로 표기하지 않고 ll로 표기한다. 선릉역은 seolleung, 신림역은 sillim으로 표기하는 것도 마찬가지.
결국 ㄴㄹ의 선택지는 ㄴㄴ도 있고 ㄹㄹ도 있는 셈.[6]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예외사항도 많지만, 일단 생산량 등 형태소와 형태소끼리의 결합 경계면에서는 ㄴㄴ이, 신라 등 한 형태소 내부에서는 ㄹㄹ이 된다고 본다. 이에 따르면 신라면의 경우, '신+라면'으로 해석되므로 [신나면]으로 발음된다고 보아야 한다.[7] 물론 '신라면'은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고유명사이므로, 표준으로 규정한 발음 자체는 없다.과장하자면 '신라면'을 '무파마'라고 읽어도 표준에 어긋난 게 아니라 카더라 광고 CM송 등에서는 '신'과 '라면' 사이를 살짝 끊어 읽음으로써 ㄴ과 ㄹ 모두를 놓치지 않는(…) 듯. 농, 심↘, 시-ㄴ, 라, 면↗!
나머지 비음 ㅁ과 ㅇ의 경우, ㄹ이 버틸 수가 없어서(...) 비음 ㄴ으로 변한다. 순행동화.
ex > 원심력 → 원심녁, 망락 → 망낙
참고로 북한 문화어의 경우 위에서 든 탄음 ㄹ이 비음을 만났을 때의 비음화, 즉 ㄴㄹ→ㄴㄴ, ㅁㄹ→ㅁㄴ, ㅇㄹ→ㅇㄴ을 인정하지 않는다. 1988년에 개정된 '문화어발음법'에는 '선렬[8], 법령, 용광로, 식료품'의 발음을 [선녈], [범녕], [용광노], [싱뇨품]이 아닌 [선렬], [범령], [용광로], [싱료품]으로 제시해 두었다. '법, 식' 등이 [범, 싱]으로 발음되는 다른 자음동화는 인정하면서도[9] ㄹ의 비음화만큼은 인정하지 않은 것.[10] 문화어 용법에서는 ㄹ이 ㄴ으로 되는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기에, ㄹ이 모든 글자에서 초성일 때의 음가를 무리하게 지키려다 이렇게 된 듯.
참고로 ㄴㄹ의 역행동화 'ㄹㄹ'의 경우는 ㄹㄹ로 발음해야 할 것을 ㄴㄴ으로 발음하는 등 유독 잘못 발음하는 사람이 많다. 진짜로 ㄹㄹ 발음이 안 돼서 그런 것일 수도, 아니면 앞글자의 'ㄴ'을 살려 읽으려는 심리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3 자음 동화의 예 - 동화 현상 이름에 따른 분류
자음동화 현상들을, 동화 현상 이름에 따라 재분류한 것이다. 동화 현상 이름을 지을 때는 동화된 결과에 주목하여 짓는다. 즉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음'이 '비음'으로 동화되는 현상을 이른다.
3.1 비음화
- ㄴ, ㅁ 앞에서 원래의 음운인 ㄱ, ㄷ, ㅂ이 각각 ㅇ, ㄴ, ㅁ으로 변함(역행동화)
- ex > 국물→궁물, 맏며느리→만며느리[11], 밥물→밤물, 속는다→송는다, 잡념→잠념,
학문→항문
- ex > 남루→남누, 종로→종노
- (바로 위에 언급되어 있듯이) ㄱ, ㄷ, ㅂ의 뒤에서 원래의 음운인 ㄹ이 ㄴ으로 먼저 변한다 → 그리고 먼저 변한 뒤의 ㄴ의 영향을 받아 원래의 음운 ㄱ, ㄷ, ㅂ이 각각 ㅇ, ㄴ, ㅁ으로 변한다(상호동화)[15]
- ex > 백로(→백노)→뱅노, 협력(→협녁)→혐녁
3.2 설측음화(유음화)
- ㄹ의 뒤[16]에서 원래의 음운인 ㄴ이 ㄹ로 변함(순행동화)
- ex> 칼날→칼랄
- ㄹ의 앞에서 원래의 음운인 ㄴ이 ㄹ로 변함(역행동화)
- ex> 신라→실라, 난리→날리
3.3 격음화
예삿소리인 ㄱ, ㄷ, ㅂ, ㅈ이 ㅎ을 만나면 서로 합쳐지면서 거센소리인 ㅋ, ㅌ, ㅍ, ㅊ로 바뀐다. 앞으로도, 뒤로도 합쳐질 수 있다.
- 받침으로 쓰여 불파음화된 ㄱ, ㄷ, ㅂ, ㅈ 뒤에 ㅎ이 오면 ㅋ, ㅌ, ㅍ, ㅊ으로 합쳐짐
- ex> 박하→바카, 탓하다→타타다, 잡히다→자피다, 맺히다→매치다
- 겹받침 ㄵ, ㄺ, ㄼ 뒤에 ㅎ이 오는 경우도 같다.
- ex> 얹히다→언치다, 읽히다→일키다, 밟히다→발피다
- ㅎ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ㄱ, ㄷ,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ㅋ, ㅌ, ㅍ, ㅊ으로 합쳐짐
- ex> 그렇게→그러케, 좋다→조타, 파랗지→파라치
- 어간이 겹받침 ㄶ, ㅀ으로 끝나는 경우도 같다.
- ex> 끓고→끌코, 않다→안타, 잃지→일치
- 다만, '싫증'은 [실쯩]으로 발음됨에 주의. 이는 선행 형태소 '싫'과 후행 형태소 '증' 사이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서 ㅀ 받침의 ㅎ 발음을 탈락시킨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형태로만 보자면 [실ㅎ증]→[실층]으로 발음해야 할 것처럼 보이지만, 사이시옷이 들어가서 [싫ㅅ증]이 되면 ㄹ과 사이시옷 사이에 낀 ㅎ이 탈락하면서 [실ㅅ증]이 되고 사이시옷이 된소리되기를 일으켜 결국은 [실쯩]이 되는 것이다. '손등'을 그냥 글자 그대로 읽자면 [손등]으로 읽을 수 있음에도 실제로는 [손뜽]으로 읽는 것도 이러한 이유이다.
3.4 연구개음화
- 표준발음으로는 인정하지 않는다.[17] 아래 '한국어에서 인정하지 않는 자음동화' 참조.
- ex > 감:기→*강:기, 옷감→옫감→옫깜→*옥깜
3.5 양순음화
- 역시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ex > 젖먹이→젇머기→전머기→*점머기, 꽃밭→꼳받→꼳빧→*꼽빧
위 예시에서 알 수 있듯, ㄴㄹ의 경우, 비음화와 설측음화(유음화) 모두 가능한데, ㄴㄹ→ㄴㄴ이면 비음화, ㄴㄹ→ㄹㄹ이면 설측음화(유음화)라고 보면 된다. 애초에 서ㄹ측음화라고 ㄹ을 강조했다. 물론 그대로 믿으면 좀 곤란하다.
4 한국어에서 인정하지 않는 자음동화
일본어의 경우 발음(ん)이 어느 행 앞에 오느냐에 따라 [n, m, ŋ, ɴ] 중 하나로 소리나고ㅠ촉음(っ)이 어느 행 앞에 오느냐에 따라 [k, s, t, p] 중 하나로 소리난다. 하지만 한국어에선 이 자음 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ex > 감기 → 감기(O) 강기(X), 선물 → 선물(O) 섬물(X), 근거 → 근거(O) 긍거(X)
ex > 접객 → 접깩(O) 적깩(X), 꽃밭 → 꼳빧(O) 꼽빧(X), 갓길 → 갇낄(O) 각낄(X)
즉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자음동화의 예는 비음화와 설측음화(유음화), 연구개음화, 양순음화가 대표적인데, 이 중에서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는 것은 비음화와 설측음화뿐이라는 것이다.[18]
물론 위에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표준발음으로 보았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드라마 너는 내 운명에서는 강호세(박재정)가 '분가'를 '붕가'로 발음하여 화제가 되었었다. 위에서 든 예시인 '근거 → 긍거'와 상통하는 연구개음화 현상이다. "저희 붕가 하겠습니다!", "뭐라고?", "붕가 하겠다구요!"
5 기타
영어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음동화가 일어나지 않으나, 구어에서는 let me → lemme, give me → gimme와 같은 자음동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 사실 음운론적으로 접근하면 '상호동화'는 상당히 회의적인 개념이다. 즉 둘이 한꺼번이 바뀌는 것보다는, 어느 쪽이든 한쪽이 먼저 바뀌고 나중에 다른 한쪽이 바뀐다고 보는 것이 타당한 분석이라고 여긴다.
- ↑ 이는 화장실 유머 항목에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 ↑ 북한의 바지사장(…)을 지냈던 한글학자 김두봉의 견해가 반영된 듯하다. 김두봉은 비음동화의 환경으로, 기존의 비음인 ㄴ, ㅁ, ㅇ 외에 ㄹ까지 포함시켜 해석했다. 이에 앞서 일제강점기에 조선어를 연구했던 오구라 신페이는 ㄹ이 유성음에 속하므로 무성음 ㄱ, ㄷ, ㅂ을 유성음화시킨다고 본 바 있다.
- ↑ 그래서 옛날에 공포의 쿵쿵따가 유행할 시절엔 해질녘을 역장님으로 받는 사례가 있었는데 당연히 안 된다.
그런데 새벽녘은 그냥 죽어주더라? - ↑ 위 경우와는 등장 순서가 반대.
- ↑ 이 때문에 두 음가를 모두 살려야 하는 only, on-line 등을 발음하기 어렵다(…). 온니/올리? 온나인/올라인?
- ↑
'신라'의 '면'인 경우 [실라면]이 된다. - ↑ 남한 맞춤법에서는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서의 '렬, 률'은 '열, 율'로 적게 되어 있으므로, '선열'로 표기되는 단어다.
- ↑ 위 '불파음 vs 탄음'에서 보았듯이, ㄱ, ㄷ, ㅂ가 ㄹ를 만나 곧바로 ㅇ, ㄴ, ㅁ가 된다고 보았다. ㄹ은 비음이 아닌데도 다른 자음을 비음으로 만든다고 본 것.
- ↑ 이것은 위의 '불파음 vs 탄음'의 해석과도 관계가 있다. 남한 표준어에서는 "ㄱ, ㄷ, ㅂ + ㄹ → ㄱ, ㄷ, ㅂ + ㄴ → ㅇ, ㄴ, ㅁ + ㄴ"로 보지만, 북한 문화어에서는 일단 순서 자체를 다르게 설정하여 "ㄱ, ㄷ, ㅂ + ㄹ → ㅇ, ㄴ, ㅁ + ㄹ"로 보며, "ㅇ, ㄴ, ㅁ + ㄹ → ㅇ, ㄴ, ㅁ + ㄴ"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ㅇ, ㄴ, ㅁ + ㄹ"에서 멈추게 된다.
- ↑ 다만 이 경우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맘며느리가 될 수 있다.
- ↑ ㄴㄹ→ㄴㄴ를 이른다. ㄴㄹ→ㄹㄹ의 설측음화(유음화)도 가능하다.
- ↑ 표기 차원에선 나타나지 않는다. ㄷ받침으로 끝난 음절과 ㄹ 초성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붙는 경우가 없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가 '디귿리을'.
- ↑ 북한 문화어에서는 이 자음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 ↑ 북한 문화어에서는 순서를 다르게 보아, ㄱ, ㄷ, ㅂ가 뒤에 있는 ㄹ의 영향을 받아 ㅇ, ㄴ, ㅁ로 바뀐다고 본다. 그리고 ㄹ이 ㄴ으로 바뀌는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석하면 상호동화가 아닌, 역행동화에서 멈추게 된다. "백로→뱅로, 협력→혐력"
- ↑ 겹받침 중 ㅀ, ㄾ도 포함한다. 이 겹받침의 대표음이 ㄹ이기 때문.
- ↑ 아래 예시에서 * 표시는 그르다는 뜻.
- ↑ 비음화와 설측음화는 필수적인 현상이지만, 연구개음화나 양순음화는 부주의하게 발음하였을 때 나타나는 발음현상, 즉 수의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즉 앞의 두 현상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지만, 뒤의 두 현상은 잘만 발음하면 피할 수 있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