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명승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전 · 현직 정치인을 다루고 있습니다.

정치적 · 이념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어 문서를 열람할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개인적인 감정으로 인한 문서의 악의적 서술 · 편집은 민사 · 형사 상 소송이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틀:12.12의 주역들


高明昇
1935년 ~

대한민국 육군제3야전군사령관
9대 최세창10대 고명승11대 신말업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이다.

1935년 전라북도 부안군 출생. 육군사관학교 15기. 동기인 민병돈, 이진삼, 김상구 등과 하나회에 가입하였다.

1979년 12.12 군사반란청와대 대통령경호실 소속으로 반란에 직접 가담했다. 역시 하나회 멤버인 당시 경호실장 직무대리 정동호 준장과 함께 무단으로 출동하여 육군본부 헌병 경호대장 구정길 중령 예하의 헌병 병력을 강제로 제압하고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이 머물된 국무총리공관을 접수했다.

이 공로에 힘입어 전두환 정권 때 15기의 선두주자로서 승승장구했으며 군사 정권에서 요직 중에 요직인 수도경비사령관, 국군보안사령부 사령관을 모두 역임했다.[1] 5공화국 내내 승승장구한 전두환계 군맥에 속했으나, 같은 전두환계이자 육사 동기 민병돈 특전사령관과 함께 1987년 6월 항쟁 때 전두환이 내린 군 유혈 진압 명령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전두환은 퇴임 직전, 퇴임 이후 자신의 세 확보를 위한 조치 중 하나로 고명승을 대장 진급시키며 군사 정권의 요직인 제3야전군사령부 사령관에 임명했다. [2] 전두환은 그 외에도 군사정권의 핵심 요직들에 자신의 직계 군맥들(박희도 참모총장 유임, 최세창 합참의장 임명, 고명승 3군사령관 임명, 최평욱 기무사령관 임명, 김진영 수경사령관 임명)을 깔아놓고 노태우에게 이임했다.

상왕으로 군림하려는 전두환의 태도에 노태우가 분노했을 것은 당연지사였고 노태우는 취임 후 첫 정기인사에서 박희도를 경질하는 것을 시작으로 천천히 이들을 제거하고 자신의 군맥(9.9 군맥)으로 채워넣는다. 전두환의 직계 고명승은 경질되지 않고 3군사령관으로서 2년 임기를 채웠지만 이후 영전하지 못했고 육군참모총장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3군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게 된다. 5공 내내 선두주자였던 그가 전역한 후 6개월 뒤, 5공 내내 한직을 멤돌았으나 6공에서 승승장구한 노태우계 군맥의 직계인 육사 동기 이진삼이 육군참모총장이 되었다. [3]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전라북도 부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이희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김진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2.12 군사반란에 가담했음에도 당시 다른 가담자들과 달리 기소되지 않아서 논란이 되었다. 한편 이 때 그의 비서를 지낸 김종규는 이후 민선 부안군수를 재임중이다.
  1. 수경사령관과 기무사령관은 군사 정권에서 실세 자리이기 때문에 두 자리를 모두 역임하는 건 실세 of 실세라는 뜻
  2. 3군사령관은 야전군사령군 중 수도권을 방위하며 군사정권의 기반이 되는 핵심 요직이다.
  3. 같은 하나회였지만 노태우계였기 때문에 5공 내내 소외되었던 이진삼은 동기인 고명승보다 중장은 1년, 대장은 1년 반이 늦었지만 마지막에 참모총장이 되며 역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