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성

國姓

1 개요

예전 동아시아의 왕조 시절 왕가의 (姓)을 지칭하는 것. 다른 일반적인 성씨와는 달리 일반 백성이 함부로 이 성을 일컫지 못하던 시대도 있고, 기본적으로 욕설에 섞어서 사용하면 불경죄에 걸려서 해당인의 목숨이 위태로워지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보호받았다.

다만, 국성을 가졌다고 해서 다 왕족이나 황족 취급을 해주는 것은 아니다. 왕족이나 황족은 따로 세밀한 족보가 있어서 족보에 기록된 사람에 한해서 왕족이나 황족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일반인이 국성을 멋대로 자신의 성씨로 사용하면 불경죄 등으로 처벌받는다.

이런 이유로 인해 시대에 따라서는 왕이 큰 공을 세웠거나 자신이 신임하는 신하에게 이 성을 내림으로써 그 권위를 높이는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한마디로 말해서 다른 신하와는 다르게 왕이 가족처럼 생각하고 있다고 천명하는 수단 중에서 상급의 수단인 셈이다. 물론 이건 신하에게도 영광이므로 충성심 올리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보통 이런 경우에는 해당 성씨를 받은 사람을 국성야(國姓爺) 등으로 불러서 국성을 직접 언급하는 것을 삼간다. 국성야로 가장 유명한 사람은 명나라의 국성야 정성공으로, 네덜란드인들은 그를 국성야의 중국어 방언 발음인 콕싱가(Koxinga)로 불렀고, 지금도 서구에서는 그냥 그의 이름 자체가 콕싱가로 알려져 있다(...) 한국사에서는 왕건김순식에게 왕씨 성을 하사해 왕순식이 된 예 등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반역의 마음을 품은 사람도 국성을 정식으로 하사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충성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자신도 국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후 찬탈을 하더라도 역성혁명이 아니라 왕조 내부에서의 왕위 교체정도로 인정받기 위함이었다. 일단 행위는 동일하지만 왕위 교체 수준이라면 근왕병같은 저항세력도 덜 생기고, 차후 자신의 지위를 인정받기도 쉬워진다.

같은 맥락에서 국경 외부의 야만족이 멋대로 국성을 차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자신의 부족 내부에서 권위를 세우기 위함이 첫째 목적이고, 일이 잘 돼서 해당 국가의 영토를 잠식하면 자신이 침략자가 아니라 빼앗긴 권리를 되찾는 자 수준으로 사실을 왜곡하기 위함이었다. 이 경우로 흉노어부라의 아들 유표와 손자 유연이 한나라의 국성 유씨를 자칭한 것이 있다.

특이하게도 일본의 경우에는 국성이 없다. 정해진 국성이 없는 게 아니라 명목상 지배자인 덴노는 인간이 아닌 신으로 치기 때문에 성씨 자체가 없고 이름만 있다. 일본 극우 측에서는 이게 천손강림의 증거라나 뭐라나..... 현대사회에서는 성씨가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에 확실히 돋보이는 장치이긴 하다. 단, 실질적 지배자였던 막부의 경우 과거 조정의 권위를 바탕으로 지배했던 옛 가문의 성씨를 자칭이던 물려받던 어떤 수단을 통해서도 얻어내는 경우가 있다.

야사 중엔 이항복&이덕형 콤비가 이 걸로 위기를 넘겼다는 이야기가 있다. 임진왜란 때 이덕형이 명나라 장수를 응접하는데, 이덕형이 이산해의 사위라는 걸 안 장수는 '같은 이씨와 혼인하다니, 짐승만도 못한 작자다'라고 크게 화를 냈다. 조선에선 본관이 다르면 성이 같아도 다른 가문으로 여기지만 중국에선 본관이란 개념 자체가 없어서 이런 오해를 한 것. 그러자 이항복이 기지를 발휘해서 '이덕형은 본래 김씨 성인데 큰 공을 세워서 국성인 이씨를 받은 인물'이라고 거짓말했고, 명나라 장수는 '국성을 받을 정도로 훌륭한 인물이라니 큰 오해를 했다'라며 사과하고 예를 갖췄다는 이야기.

2 한국 역대 왕조의 국성

3 중국 역대 왕조의 국성

고대

남조

  • 송: 유(劉)
  • 제: 소(蕭)
  • 양: 소(蕭)
  • 진: 진(陳)

북조

  • 북위: 탁발(拓跋) → 원(元)
  • 북제: 고(高)
  • 북주: 우문(宇文)
  • 수: 양(楊)
  • 당: 이(李)

중세 이후

  • 송 : 조(趙)
  • 원 : 보르지긴(孛兒只斤)
  • 명 : 주(朱)
  • 청 :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4 베트남 역대 왕조의 국성

고대

  • 어우 락(BC 257 ~ BC 207) : 툭(Thục, 蜀)
  • 남비엣(BC 207 ~ BC 111) : 찌에우(Triệu, 趙)
  • 리(Lý, 李) : 544 ~ 602
  • 응오(Ngô, 吳) : AD 939 ~ 967
  • 다이꼬비엣(大瞿越/대구월, 968 ~ 1010) : 딘(Đinh, 丁)(968~980), 레(Lê, 黎)(980~1010)

다이비엣(大越/대월, 1054~1804)

  • 리(Lý, 李) : 1009 ~ 1225
  • 쩐(Trần, 陳) : 1225 ~ 1400
  • 호(Hồ, 胡) : 1400 ~ 1407
  • 레(Lê, 黎) : 1428 ~ 1527, 1532 ~ 1789
  • 막(Mạc, 莫) : 1527 ~ 1677
  • 떠이선(Tây Sơn, 西山) : 1778 ~ 1802

베트남 제국

  • 응우옌(Nguyễn, 阮) : 1802 ~ 1945

5 류큐 왕국의 국성

  • 쇼(尚) 씨
    • 제 1 쇼씨 왕통 : 1406~1469
    • 제 2 쇼씨 왕통 : 1469~1879

6 프랑스의 국성

  1. 오늘날 남아있는 그들의 후손은 횡성 고씨가 된다.
  2. 오늘날 남아있는 그들의 후손은 부여 서씨가 된다.
  3. 한자가 같은 고구려의 고씨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4. 사실 양씨가 고씨보다 먼저 탐라국의 국성이었다는 설이 있다. 최근 제주 고씨집안과 제주 양씨집안간 고량부가 맞느냐 양고부가 맞느냐 논쟁이 재판으로 번져서(...) 대법원에서 양씨 문중이 승소한 바가 있다... 양을나-1도 고을나-2도, 부을나-3도
  5. 탐라국 말기에 잠시이긴 하지만 문씨가 탐라왕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실제 탐라국의 군주라 할 수 있는 성주星主(성주城主가 아니다!)는 그 때도 고씨에서 맡긴 했었다. 당시 문씨는 고씨가문의 사위가문이었다.
  6. 오늘날 남아있는 그들의 후손은 밀양 대씨와 후에 태(太)씨로 개명한 협계 태씨와 영순 태씨가 된다.
  7. 기록상 헌안왕 혹은 경문왕의 아들이라고 한다. 불길한 징조가 있어 죽이라고 명했지만 유모가 빼돌리는 과정에서 실수로 아기 눈을 찔러 애꾸가 됐다는 이야기는 유명.
  8. 단명한 왕조라서 인지도는 낮지만 의외로 지금까지도 멀쩡히 존속하는 성씨이다. 유명인으로 견미리가 있다.
  9. 단 이는 후의 하나라의 후예인 기(杞)와 관계된 것으로, 사성(姒姓)이 당대에 쓰였을 가능성은 적다.
  10. 후에 이 성씨는 나폴레옹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