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군(행정구역) 문서를 참조.

2

3

'무리', '집단'을 뜻하는 한자.
ex) 군단의 심장, 군체의식 모방기

4

임금을 뜻하는 한자. 군주의 '군'은 바로 이 한자를 가리킨다. 또한 2인칭 대명사로서 '그대, 자네'라는 의미도 갖고 있다.

  • 왕족 남성이나 공신들에게 내리는 봉호. 고려전기까지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오등작의 봉호를 내렸으나 몽간섭기 이후부터 제후국의 예법에 맞는 군을 칭호로 내렸다. 왕의 적자(왕비의 아들)는 큰 '대'자를 붙여 대군칭호를 내렸고, 왕의 서자와 손자(대군 및 군의 아들), 공신들에게는 군 칭호를 내렸다. 왕비의 친정아버지 및 특히 공이 큰 공신에게는 부원군 칭호를 내렸다. 중국에서도 군(君)이라는 작위가 있었는데 오등작은 국(國: 제후의 봉토)의 우두머리에게 내리는 것인데 반해, 군의 경우 가(家: '국'에 소속된 대부의 봉토)의 우두머리에게 내리는 작위 중 최고위이다.
  • 일본이나 중국에선 친구나 아랫사람을 친근하게 부르거나, 친구나 손아래 남자를 부를 때 그 사람을 조금 높여 이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일본문화의 호칭관계문제 참고). 용법상 성별을 가리지 않지만, 성별 구별 없이 사용하는 건 2인칭 대명사로 사용할 때 정도로 대체로 어린 남학생이나 젊은 남성에게 붙이는 호칭으로 쓰인다[1][2]. 현대의 한국에선 보통 처방전이나 신문 등 격식을 차려야 하는 공식 문서에서 미성년의 남자에게 붙이는 호칭으로만 사용되는데[3][4], 일제강점기의 영향인지 한국에서도 근대문학부터 60~70년대까지 용법상으로도 자주 사용되었다고 한다. 예를 들면 최서해의 소설 탈출기에서도 주인공 화자가 친구를 '김 군'이라고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탈출기 이외에도, 이 군, 김 군, 박 군 등 문학에서는 상당히 많이 쓰인 편. 2000년대 이후 기준으로는 일상적인 구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편이라고 볼 수 있다. 굳이 구어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나이가 지긋한 교수나, 스승의 입장된 사람이 자신의 밑에서 수학하고 있는 사람을 어느 정도 격식조로 불러 줄 때 쓰는 경우 말고는 드물다. 즉 일반적으로 '교수님 말투' 정도로 인식이 굳어진 상황. 한국의 사교 문화에선, ~군 보다는 금세 통성명을 하고 나이를 밝혀 말을 편하게 하는 경우가 잦으므로, 실제 생활에서 ~군을 들어보는 것은 힘든 상황. 최근 문학 등에서도 현실을 반영해서 잘 쓰이지 않는다. 다만 화자가 자신보다 어린 사람에게 거리를 두고 있다든가, 분명히 격식을 차리고 있다고 표시할 때 '~군'을 붙여 호칭하는 경우는 있다.

예)
임금)폭군, 암군, 성군(군주의 뜻으로 사용시의 예)
일본어)다이 군~/토가시 군~/호시 군?
한국어)김 군, 이 군, 박 군(한국에서도 쓰이는 경우엔 대개 성 뒤에 붙여 사용함)막군

5 불에 구운 것

"구운"이 축약되어 "군"이 된 것으로 보인다.
용례 : 군밤, 군고구마, 군고기

6 쓸모없이 덤으로 붙은 것

용례 : 군더더기, 군식구, 군소리, 군말, 군살

7 대수학에서의 군(群)

군(群, group)
군의 수학적 정의와 수학에서의 응용을 보고 싶다면, 참고.
수학 외의 분야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군론 참고.

8 기동전사 건담 SEED자프트의 수주용 모빌슈트

군(MS) 항목을 참조.

9 일본기저귀 브랜드

가격대성능비로 우수하여 일부 주부들 사이에서는 하기스 못지 않은 인기를 끌었던 제품이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인기가 뚝 떨어졌다.
띄어쓰기를 잘못하면 일본군 기저귀가 된다.

10 Goon

깡패, 불한당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위 항목도 이 단어에서 유래한 이름이라 생각된다.

여담으로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인 구니스, The Goonies 는 작은 깡패들이라는 뜻.
  1. 다만 특이하게도 일본 국회에선 공식적으로 쓰는 호칭이 '성+군'이라고 한다. 참고로 덧붙이자면, 영어에서 남성에게 붙이는 호칭으로 쓰이는 '군'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Mr와 Master가 있다. master의 경우 한국어로 따지면 '도련님'에 가까운 뉘앙스로, 처방전 같은 데서 사용된다. Mr. J. Phillips라는 남자의 아들은 Master J. Phillips라고 적어서 구분한다거나.
  2. 일본어에서 훈독으로는 키미(きみ)라고 읽는다.
  3. 사실 한국에서 사용되는 '군' 역시 사전적 의미를 보면 성별을 가리지 않는다. 하지만 여자에겐 주로 '양'을 사용한다.
  4. 미성년이 아닌 남자에게 쓸 경우에는 결혼식장에 이름을 기재할 때 신랑 이름 뒤에 '군'을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건 여자에게 '양'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