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大軍
말 그대로 규모가 '큰 군대' 또는 '군세(군사력)'.
2 大君
2.1 조선 왕조에서 세자를 제외한 왕의 적자에게 내렸던 작위
왕의 적자, 즉 왕비에게 나온 아들에게 내렸던 작위(세자 제외). 왕의 서자인 군과 구별된다. 보통, 왕의 적장자가 세자가 되기 때문에 왕비 소생의 중자들(둘째~막내)이 받게 되는 작위이며, 품계는 무계이다.[1]
세자(보통은 장남)가 있기 때문에 왕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왕위를 물려받기도 한다.[2]
인조 이후로는 대군에 봉해진 왕족이 없다. 이후 왕의 아들들이 대부분 외아들로서 바로 세자가 되거나, 서자 출신이거나, 아예 아들이 없거나(...), 군호도 없는 듣보잡 왕족이었다가 하루아침에 왕이 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언중 및 언론 등에서 대통령의 아들이나 남자 형제를 종종 이에 빗대어 부르기도 한다. 봉하대군, 영일대군 등.
2.1.1 조선 왕조의 대군들
아버지 | 군호 | 어머니 | 비고 |
태조 | 진안대군 | 신의왕후 | 태조의 적장자였으나, 고려 왕조에 충성하며 은둔하며 살았다. |
훗날의 정종. 후궁소생은 있었지만 정비소생은 없었다.[3] 대군이라는 작위는 태종 시기에 등장한 작위이므로 실제 대군이 된적은 없었다. | |||
익안대군 | |||
회안대군 | |||
훗날의 태종. 아래에 있는 이복동생 둘(무안대군, 의안대군)을 죽였다. 대군이라는 작위는 태종 시기에 등장한 작위이므로 실제 대군이 된적은 없었다. | |||
덕안대군 | |||
무안대군 | 신덕왕후 | ||
의안대군 | 잠깐이나마 세자였다. 때문에 | ||
태종 | 양녕대군 | 원경왕후 | 세자였으나, 폐위되면서 양녕대군에 봉해졌다. |
효령대군 | |||
충녕대군 | 훗날의 세종. | ||
성녕대군 | |||
세종 | 수양대군 | 소헌왕후 | 훗날의 세조. 원래 '진평대군'이었다가 '함평대군', '진양대군'을 거쳐 수양대군이 되었다.[4] 아래에 있는 친동생 둘(안평대군, 금성대군)을 죽였다. |
안평대군 | |||
임영대군 | |||
광평대군 | |||
금성대군 | |||
평원대군 | |||
영응대군 | |||
단종. 문종의 (장성한) 유일한 아들이므로 당연히 처음부터 세손(할아버지 세종 재위 시)→세자(아버지 문종 재위 시)였다. 숙부 수양대군(세조)에게 양위하고 상왕으로 물러났다가, 단종 복위 운동의 실패로 상왕에서 폐위되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그 신분으로 죽음을 맞이했다. 먼 훗날 숙종 때 '노산대군'으로 격상되었다가, 마침내 '단종'으로 추존되었다. | |||
세조 | 해양대군 | 정희왕후 | 훗날의 예종. 의경세자(덕종)의 급서로 세자가 되고 왕위에 올랐다. |
덕종 | 월산대군 | 소혜왕후 | 왕위계승서열이 높았던 까닭에 자칫하면 |
예종 | 인성대군 | 장순왕후 | 조졸했다(1461~1463). 사후 9년이 지난 1472년에 대군으로 추봉되었다. |
제안대군 | 안순왕후 | ||
성종 | 진성대군 | 정현왕후 | 훗날의 중종. |
연산군 | 창녕대군 | 거창군부인 신씨 | 둘째 아들. 아버지가 폐위되면서 불과 5살에 형(폐세자 황)과 함께 사사되었다. |
중종 | 경원대군 | 문정왕후 | 훗날의 명종. |
선조 | 영창대군 | 인목왕후 | 선조가 늘그막에 본 늦둥이로 유일한 적자였으나, 이복형 광해군에 의해 불과 8살에 사사되었다. |
원종 | 능창대군 | 인헌왕후 | 인조(능양군)의 동생. 형이 왕이 되기 전인 1615년에 광해군에게 역모를 의심받아 자살하였다. 원래 '능창군'이었으나, 형이 왕이 되고 아버지가 추존왕이 되면서 대군으로 추봉되었다. |
인조 | 봉림대군 | 인열왕후 | 훗날의 효종. 소현세자의 급서로 세자가 되고 왕위에 올랐다. |
인평대군 | 사후 능창대군의 사후 양자로 입적되었다. | ||
용성대군 | 조졸했다(1624~1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