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처선

金處善 ?~1505

1 소개

조선 시대의 유명한 환관.

세종부터 연산군까지 일곱 왕을 섬겼으며 최고위 내시인 판내시부사 겸 상선을 역임한 인물. 충청남도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1] 사람이다.

2 일생

사실 김처선은 젊었을 때만 해도 상당히 노는 내시였던 모양으로, 세종 때 내시가 된 이후 문종 때 영해로 유배되었다가 1453년(단종 1) 귀양이 풀리고 이듬해 직첩이 되돌려졌으나, 1455년(단종 3) 금성대군의 옥사에 연루되어 삭탈관직 당하고 유배되어 본향의 관노가 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그러다 1457년(세조 3)에 다시 복직되어 1460년(세조 6)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추록되었으나, 이후 세조로부터 시종이 근실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미움을 받아 자주 곤장을 맞았다. 사실 공신이 아니었으면 진작 노비로 다시 떨어졌을지 모를 정도로 놀았던 것 같다. 그러나 이후 성종 때에 이르어서는 의술이 능하여 대비를 치료한 일로 다시 인생 역전하여 자헌대부에 올라갔다.

이후 연산군이 즉위한 이후에는 연산군의 시종이 되었다.

3 죽음

그러나 오랜 세월동안 방탕한 생활 때문에 고생을 한 탓에 꼬장꼬장하면서도 곧은 성품을 지니게 되었다. 때문에 연산군이 음란한 짓을 하고 놀 때마다 늘 직언을 아끼지 않으며 만류하려 하였다. 일각에는 김처선의 성품이 바뀌었다기 보다는 그 김처선조차도 눈뜨고 보기 힘들만큼 연산군이 방탕하게 놀았다고도 한다. 연산군은 이로 인하여 화를 내곤 했지만 김처선을 마음에 들어 했는지 언제나 쉽게 용서해주곤 하였다. 실제로 실록에 김처선이 죄를 지어 연산군의 분노가 극에 달했지만 하루 만에 그를 복직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1505년에 연산군이 음란한 춤인 처용희를 추며 방탕하게 놀던 자리에서도 김처선은 곧은 성품에서 우러난 직언을 서슴치않았다. 당시 김처선은 연산군에게 "이 늙은 신(臣)이 4분의 임금을 섬겨왔으나 고금을 돌이켜도 이토록 음란한 왕도 없었사옵니다."라고 간하였는데, 그 정도가 상당히 심한 편이었다. 사실 기록을 보면 비꼬는 것 같기도 하다

김처선이 내뱉은 이 말에 참고 참던 분노가 폭발한 연산군은 직접 김처선에게 활을 쏘아 쓰러뜨린 다음 다리를 잘라 참혹하게 살해해버렸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칼에 맞아 숨을 거두는 순간 까지도 직언을 멈추지 않았다고 한다.

아래는 연산군이 그의 다리를 벤 후의 상황.

연산군 : 일어나라, 걸으란 말이다!

김처선 : 전하께서는 다리가 부러져도 걸으실 수 있겠습니까?

이 말을 듣고 격분한 연산군이 김처선의 를 잘라버렸다.[2] 김처선의 발언이 은근히 연산군을 비꼬는 듯이 들리지만, '다리'를 임금의 신하라고 해석하면서, "충직한 신하들을 마구 잡아 죽이는데, 어찌 나라를 제대로 다스릴 수 있겠느냐?"는 뜻으로 본다면 뼈대가 있는 일침이라는 해석도 있다.

4 사후

연산군은 죽어가면서까지 자신에게 직언을 하였던 김처선을 매우 혐오하였으며, 때문에 김처선이 숨을 거둔 이후에도 밑도 끝도 없이 복수를 꾀하였다. 먼저 그의 양자인 이공신을 처형하고 7촌 관계의 친족들까지 벌을 주는가 하면 김처선의 이름에 들어갔던 '처(處)'자의 사용을 금하였으며 심지어 그토록 좋아하던 처용무의 이름까지 풍두무(豊頭舞)로 바꿀 정도였다.

게다가 김처선 부모의 묘까지 헐어 버리고 집은 밀어버린 후에 터를 연못으로 만들었다. 또한 전국의 김처선이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죄다 개명을 명했으며 게다가 과거시험에 처(處)자를 사용하였다고 합격자의 합격이 취소된 사례 뿐만 아니라 상소에 처(處)자를 써서 국문을 당하다가 법 제정 이전에 썼다고 국문을 취소한 사례도 있었다. 심지어 그의 본관인 전의(全義)도 없애버렸다.

연산군은 재위에 있는 동안 수많은 신하들을 무참히 도륙했지만 유독 김처선에 대해서만 이토록 심한 짓을 한 데에는 김처선이 다른 신하들과는 달리 왕의 면전에서도 두려워하는 기색 없이 할 말을 다 해버렸고, 무엇보다 평소에 믿는 구석이 있었던 김처선에게 배신당했다는 심리가 크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 뒤 영조 때 처선의 기록이 나오는데 호랑이굴에 던졌을 때 호랑이가 안 먹어서 결박해 죽였다고 써 있다.

4.1 재평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년 후 중종반정이 일어나면서 다시 복권되기에 이르지만 중종은 그를 썩 좋게 보지 않았던 듯 싶다. "김처선은 술처먹고 주정부리다가 죽은 건데 무슨 놈의 공신?"이라고 반문했다는 기록이 있어서인지 중종은 김처선의 행적을 기리고자 하는 사림들의 상소를 모두 무시한다. [3]

중종은 연산군처럼 막 나가지는 않았지만 그 역시 왕자이며 임금이 된 만큼 왕실의 권위를 추구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아무래도 중종의 생각으로는 연산군이 아무리 폭군이라 해도 일개 내시가 감히 왕에게 폭언을 퍼부은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여겼던 듯 하다.

어쨌든 그의 최후는 진정한 왕의 남자로서 왕을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은 충신답다 할 수 있어서 중종반정 직후부터 그의 재평가가 이루어졌으며 140년 뒤 영조에 이르러 그의 고향에 공적을 기리는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

사극 장녹수에서는 고인이 된 배우 이낙훈씨가 김처선을 맡았으며 불멸의 연기를 선보였다. 특히 최후는 야사의 기록을 반영해 화살을 여러 발 맞으면서도 연산군에게 끝까지 목숨을 바쳐 직언과 충언을 던지다가 죽음을 맞는다.

영화 왕의 남자에서는 장항선씨가 연기하였으며, 연산군을 진정으로 아껴주는 몇 되지 않는 충실한 심복으로 묘사된다. 주인공인 장생과 공길 일당이 왕에게 풍자극을 보여주고 싶다고 하자 왕을 정신 차리게 하는데 도움이 될까 하여 그들을 궁중에 스카웃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되려 연산군의 광기만을 돋우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에 역사에서처럼 연산군에게 직언했으나 분노를 사서 쫓겨났으며, 후반부에 반정 세력들이 그를 포섭하기 위해 접근을 시도했으나 그는 거절했고 반정이 일어나기 직전 스스로 목을 매어 자결할 때 연산군은 처선이 어디 있냐며 술마시고 꼬장을 부리고 있다가 결국…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KBS 사극 왕과 비에서는 김성환이 연기하였으며 후배 내시 김자원에게 자기 물건들을 물려준 다음 연산군에게 직언하다 화살 수발을 맞고 숨을 거둔다.

SBS 사극 임꺽정에선 연산군의 광기어린 행보를 다룬 1화 광풍에 등장한다. 월산대군의 처 박씨와 강제로 동침한 연산군을 보고 연산군을 악행을 하나하나 열거하고 하늘이 두렵지 않냐며 직언 하다 가슴에 화살을 맞는다. 칼을 빼든 연산군이 남자구실 못하는 놈이 입만 살았다며 분노하자 소인 남자구실 못하는거 생각말고 임금구실이나 잘하라고 맞받아치고 칼에 맞아 최후를 맞는다.

SBS 사극 왕과 나에서는 주인공으로 등장했으며 각색이 심하게 되어 실제 김처선의 일생과는 완전히 다르게 그려진다. 당장 활동연대부터 실제 역사와는 크게 달라 성종 즉위 이후부터 내관을 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실제론 손녀 뻘인 폐비 윤씨와 비슷한 나이로 설정되어, 그녀를 평생 동안 사모하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폐비 윤씨의 자식인 연산군을 어려서부터 돌봐준 인물로 중종반정으로 귀양가 있던 연산군이 어린 시절 김처선과의 추억을 회상하며 후회하는 장면으로 막을 내린다. 참고로, 배우오만석.

JTBC 드라마 인수대비(드라마)에서는 맹상훈씨가 김처선 역을 맡았는데 마지막에 연산군에게 연산군의 잘못을 말했을 때 화살을 3~4발을 맞고도 살아 있었다.

대중 매체에서 이렇듯 제법 자주 나온 이유인지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의 전체누적(실록 홈페이지 개설 때부터 누적된 것이라고 한다) 인기검색어 검색 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는 비범한 인물이다. 참고로 실록 홈페이지의 전체누적 인기검색어 1위는 이순신.
  1. 1914년 전의현이 연기군으로 편입되어 전의면이 되었다.
  2. 어쩌다 어른에서 설민석은 김처선이 "전하께서는 다리가 부러져도 걸으실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한 시점을 김처선의 혀가 걸레짝이 된 상태라고 설명했지만,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애초에 혀가 잘리면 출혈이고 걸레짝이고 혀가 탄력을 잃어 말려들어가 질식사하는데...
  3. 《중종실록》 권17 7년 12월 4일 갑진 2번째 기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