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音, consonant
1 개요
소리가 조음기관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혀서 나는 소리이다. 닿소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자면 ㅋ은 혀의 뒤쪽으로 공기를 막아서 발음한다. ㅌ는 혀의 앞쪽으로, ㅍ은 두 입술로 발음하며, ㅎ는 목구멍을 이용한다. ㅁ과 ㄴ의 경우에는 코를 통해 공기를 막아서 발음한다. 당연히 비교되는 것은 모음.
여기서 성대가 울리느냐, 울리지 않느냐에 따라 무성음/유성음 대립이 생긴다. 물론 후두개 파열음([ʡ]) 같은 무성음도 유성음도 아닌 음가가 있기는 하다(...)
어떤 언어의 문자도 모든 발음을 표기하지는 않기 때문에[1] 언어학에서는 국제음성기호, IPA를 사용한다. 흔히 잘못 알고 있는 것 중 하나는 한글로 한국어를 표기하면 한 글자는 하나의 소리만 난다는 것인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고구마'를 IPA로 쓰면 [koɡumɐ][2]가 되는데 어두의 ㄱ과 뒤의 ㄱ의 발음은 명백히 다르다. 물론 우리 같은 한국어 원어민은 그런 걸 잘 구분할 수 없다. 이를 변이음이라고 한다.
2 분류
자음의 분류 | ||||||||||||||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마찰접근음 | 접근음 | ||||||||
탄음 | 전동음 | 설측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성대 울림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유무 | 유기음 | 무기음 |
2.1 성대 울림에 따른 분류
2.2 조음[3] 위치에 따른 분류
- 양순음(bilabial, 두입술소리)
- 순치음(labiodental, 이입술소리)
- 치음(dental, 잇소리)
- 치경음(alveolar, 잇몸소리)
- 후치경음(postalveolar, 뒷잇몸소리)
- 치경구개음(alveolo-palatal, 잇몸센입천장소리)
- 권설음(retroflex, 혀말이소리)
- 경구개음(palatal, 센입천장소리)
- 연구개음(velar, 여린입천장소리)
- 구개수음(uvular, 목젖소리)
- 인두음(pharyngeal, 목구멍소리)
- 후두개음(epiglottal, 울대머리마개소리)
- 성문음(glottal, 울대문소리)
2.3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아래의 발음은 폐 기류(pulmonic) 음으로 분류된다.
- 비음(nasal, 콧소리)
- 파열음(plosive, 터짐소리)
- 파찰음(affricate)
- 마찰음(fricative, 갈이소리)
- 마찰접근음(fricative-approximant)
- 접근음(approximant)
- 전동음(trill, 떨림소리)
- 탄음(flap, tap; 두들김소리)
- 설측음(lateral, 혀옆소리)
아래의 발음은 폐외 기류(non-pulmonic) 음으로 분류된다.
2.4 성절성에 따른 분류
- 성절 자음(syllabic consonant)
- ↑ 한글도 예외는 아니다. [θ](번데기 발음)을 생각해보자.
- ↑ 꺾쇠 괄호는 음성을 표시하는 기호이다. 꺾쇠 괄호를 쓰기 곤란한 경우(특히 위키위키에서) /(슬래시)를 대신 쓰는 경우가 보이나, 사실 이는 적절하지 않다. 꺾쇠 괄호는 음성 표기, 슬래시는 음운 표기로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고구마'의 음성 표기는 [koɡumɐ]이고, 음운 표기는 /kokumɐ/, /ɡoɡumɐ/, /고구마/ 등 다양하게 표기될 수 있다. 음운 표기에서는 하나의 음소에 같은 기호만 주면 어떻게 표기해도 상관없는데 음성 표기는 그렇지 않다.
- ↑ 말의 소리를 내는 데 쓰이는 신체 부위. 대표적으로 성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