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역사

대전광역시역사를 다루는 항목.

1 고대

대전지역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가까운 공주구석기 시대 유적인 석장리 유적이 있어 대략 이때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추정되며, 청동기 시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사람이 살았다는 것을 입증하는 청동기 유물, 집터, 토기 등이 출토된다. 이중 대표적인 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인 농경문 청동기.
1-ssu001794-000-02.jpg
농경문 청동기. 서점의 한국사책들에 잘 나오는 그거 맞다.

대전 지역은 원삼국시대삼한 중 마한의 북변지역이었으며, 마한을 이루던 소국 중 하나인 신흔국이 있었다. 최초의 지명 표기는 삼국시대에 백제의 우술군(雨述郡)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이는 순 우리말 지명 비수리를 한자를 이용해 표기한 것이다. 그 뒤로는 통일신라의 비풍군(比豊郡)[1]에 속하게 된다. 이때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주요 전선 중 하나였기 때문에 대전에는 산성 유적이 많다. 하지만 산성이라기보다는 보루에 가까운 수준의 성도 많다. 한편 진잠 일대는 진현현이었다.

2 고려조선 시대

고려 시대에 들어서 회덕현/진잠현으로 나뉘고, 조선시대에 들어 회덕군/진잠군으로 개칭되었다. 현 대전 중심부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는 공주목(公州牧)에 속한 작은 농촌이었으며, 조선 초기부터 '한밭'을 한자로 옮긴 '대전(大田)'이라는 지명이 등장하면서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한때 '태전(太田)'으로도 불렸다는 속설이 있으나, 실제로 태전은 1904년에 처음 등장한 명칭으로, 근대에 잠깐 사용되다 사라진 지명이다.[2] 다만 등장한 시대가 현재와 비교적 가까운 시기다보니, 80대 이상의 어르신들은 종종 태전이라고도 하신다.

500px
대한제국 시기 대전 일대의 행정구역 상황. 현 대전 중심부는 1895년까지 회덕도, 진잠도 아닌 공주 땅이었다(!)가 회덕군으로 넘어왔다. 다만 유성은 계속 공주에 남아 있다가, 1914년 대전군 출범 때 넘어왔다.

3 일제강점기

대전의 역사를 바꾸어놓은 것은 1900년에 확정된 경부선 철도 노선이었다. 1904년 회덕군 산내면 대전리에 대전역[3]이 설치[4][5]된 이후 인구가 유입되고 도시화가 시작되었다. 회덕군청 역시 기존 회덕읍내에서 대전시가지로 이전하였다.

500px
1914년 회덕군과 진잠군, 공주군 현내면(유성면)을 통합하여 출범한 대전군의 행정구역 상황.

1914년 조선총독부의 조선 행정구역 대개편 당시 기존의 회덕군과 진잠군, 공주군 유성면을 통합하여 대전군(大田郡)이라 명명하였다. 단순히 기차역이 있던 동네 이름인 '대전'이 기존 고을 이름인 '회덕'을 대신해 새로운 고을 이름으로 채택된 것이다. 1917년 내남면이 회덕면으로 개칭되었다. 대전은 계속 성장하여 충청권의 중심 도시가 되었고, 1931년 대전군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되었다. 1932년에는 공주에 있던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되었다.

1935년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大田府)로 승격됨으로서 본격적인 도시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때 대전군의 잔여 지역은 대덕군(大德郡)으로 개칭되었다. '대'전과 회'덕'에서 한 글자씩 따서 지은 것. 1940년 대덕군의 외남면[6]과 유천면 일부를 대전부에 편입하였다.

4 대한민국 이후

500px
1945년 8.15 해방 당시 대전부와 대덕군의 행정구역 상황.

1949년 대전부를 대전시로 개칭하고, 1950년 북한군이 서울이 점령하자 매우 짧은 기간동안[7] 임시수도가 되기도 했다. 7월 14일부터 20일까지 미 24사단이 지연전을 수행하다 심각한 피해를 입은 대전 전투의 와중에 시가지가 심하게 파괴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대전시는 한국전쟁 이전의 모습을 찾기 쉽지 않다. 결국 북한군은 7월 20일 대전을 점령한다.

500px
1963년 대덕군 유천면 전역, 산내·회덕면의 각 일부를 편입하여 대전시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1973년 대덕군 북면과 유성면이 각각 신탄진읍과 유성읍으로 승격되었다. 1977년에는 대전시에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중구와 동구의 2개 구가 설치되었다.

500px
1983년 대덕군 유성읍과 회덕면 전역, 탄동·구즉·진잠·기성면 각 일부를 편입하여 대전시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이 상태로 1989년 대덕군 폐지 및 대전직할시 승격 때까지 이어졌다. 직할시 승격 직전인 1988년에는 중구에서 서구가 분구되었다.

1989년 대덕군을 폐지하고 대전시에 병합[8], 대전직할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서구에서 유성구가, 동구에서 대덕구가 분구되어 현재의 5구 체제가 완성되었다.

1993년에 세계박람회[9]를 개최해서 도시의 인지도가 상승했다. 꿈돌이라는 노란색 외계생명체(?) 마스코트는 봉제인형이나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상품으로 나왔고, 대전의 마스코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엑스포 종료 후에는 그 시설과 부지를 활용해 엑스포과학공원을 열었지만 일부 전시관은 거의 문을 닫은 상태이다. 엑스포와 비슷한 시기에 내부에 놀이동산으로 마스코트인 꿈돌이에서 이름을 딴 꿈돌이 랜드도 런칭하였지만 이쪽도 현재 관리상태는 막장이다. 꿈돌이 랜드는 그나마 놀이기구 몇 개를 새로 들여놨지만, 엑스포 유령의 집은 들어가면 웃음이 나올 정도라고 한다. 엑스포가 끝난 뒤 국제 전시관 등을 철거하고 재개발할 계획이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크리로 인해 단지내 재개발 계획조차 지지부진한 상황. 지금도 재개발 계획이 있긴 하다.문제는 그뿐이지만

2012년 6월 1일, 결국 적자를 못 버티고 꿈돌이랜드가 매각되었다.

5개 직할시[10] 중 가장 인구가 적었지만 1995년에 광주광역시의 인구를 앞질렀다.10만명의 인구차이가 5년만에 뒤집어지는 기적 1995년 대전광역시 인구가 1,270,873명이고 광주광역시의 인구는 1,257,063명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육상 교통의 영남·호남 분기도시[11]가 된 데다가 정부청사 및 신 행정도시의 영향권 등 각종 메리트가 따라붙었으니 발전 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전은 충청남도 남동쪽 구석에 치우쳐 있어서 충청남도 북서쪽과의 연계가 잘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홍성군예산군의 경계[12]에 인구 10만짜리 내포신도시를 만들고 도청을 이전하였다.
  1. '비수리'를 백제의 우술과는 다른 방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2. 대전지명 관련 참조 링크, 실록의 태전 지명 등장부분 첫 번째 링크 내용에서 한국지명요람을 인용한 부분을 보면, 태전이 근대에 일시적으로 존재했다 사라진 지명임을 알 수 있다.
  3. 현재는 동구 정동 1-1에 위치
  4. 원래 경부선 철도는 인구로나 행정적으로나 당시 충청도의 중심지였던 공주를 지나가게 할 예정이었지만 공주 지역 양반들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혀 허허벌판인 대전을 지나게 되었다. 이 때문에 결국 공주시는 중심지의 역할을 대전에 빼앗기고 지방도시로 전락하고 말았다.
  5. 다만 이미 철도의 중요성을 꿰뚫고 있던 일본인들에게는 반대의 양상이 벌어졌는데 당시 대전소재 일본인 거류민들과 공주소재 일본인 거류민들은 서로 철도 유치 운동을 벌였다고 한다.
  6. 이 지역은 대전이 부로 승격되기 전인 1926년과 1932년에 이미 일부가 편입된 상황이었으며 이 시기 편입되지 않은 외남면의 잔여 지역은 산내면에 이관되었다.
  7. 6.28 ∼ 7.14
  8. 단, 진잠면 남선리는 논산군 두마면(현 계룡시)에 편입되었다.
  9. 대전 엑스포
  10. 당시에는 광역시를 이 명칭으로 불렀으며, 울산은 아직 경상남도에 속한 일반 시였다.
  11. 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등의 대체도로가 건설되어 영·호남 분기도시로서의 역할이 다소 줄어들었다.
  12. 충남 전지역에서 2시간 안에 접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