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재욱/2012년

  • 이 문서는 도재욱의 하위문서로, 도재욱의 2012년 경기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2012년 1월 3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2라운드 CJ 엔투스전에서 선봉으로 체인리액션에 출전, 신동원질럿블러드 후반 하드코어 질럿러쉬(?)로 이겼다.
몰래 로보틱스다크템플러 드랍에 성공했으나 발전투로 인해 드라군이 전멸하며 병력 균형이 깨져버려 저막이 어디 안가나 했지만 다수의 질럿을 뽑아 아스트랄 하지만 힘 있는 회뜨기 공격으로 시원하게 앞마당을 날려버리며 승리[1]

1월 7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2라운드 KT 롤스터전에서 팀이 세트스코어 2:1로 이기던 4세트 제이드에 출전, 고강민을 상대로 여유있게 승리를 거두었다.

1월 11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2라운드 웅진 스타즈와의 경기에서 팀이 세트스코어 1:2로 지던 4세트 체인리액션에 출전했다. 나 도지산데 거 저그 이름이 뭐요? 상대는 김민철. 말 그대로 창과 방패의 싸움이었는데 이겼다! 김민철의 수비에도 불구하고 커세어로 지속적으로 오버로드를 저격했고 질럿, 드라군, 템플러로 마무리를 지었다. 경기 후 인터뷰도 정명훈이 선물을 줘서 이겼다 드립부터 콧물드립까지 내뱉으며 흥했다.[2] "도"핑테스트가 시급하다. 그러나 팀은 2:3으로 역전패해서 빛이 바랬다.

1월 14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2라운드 STX SouL과의 경기에서 4세트 저격능선에 출전했다. 상대인 김성현이 테란이었기 때문에 무난히 이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졌다. 초반에 유리함을 점했지만 캐리어를 운용하는 것이 들킨데다가 다수의 골리앗으로 인해 테란의 라인을 걷어내지 못하고 GG. 아무래도 김택용에게 저그전을 배우면서 코리어까지 같이 배운 걸로 추정 되었다. 팀은 결국 2대3으로 재역전패하고 5위까지 떨어졌다. Down T1 is Down.

1월 17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2라운드 공군 ACE와의 경기에서 팀이 1:0으로 이기고 있던 2세트 그라운드 제로에 출전하여 김구현을 상대하였다. 앞마당 멀티를 가지않고 초반 올인 러쉬로 승부를 보려던 김구현의 병력을 손쉽게 막아내며 안정적으로 돌아가던 앞마당 멀티를 지켜내어 무난히 이길 줄 알았는데... 너무 안일하게 생각한 나머지 김구현의 po두번째 공격wer을 예상하지 못한 듯한 대처로 결국 2리버와 드라군들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털리며 승리를 허무하게 내줬다. 진짜 악마와 거래를 했나? 하지만 팀은 3:1로 승리하면서 결과적으로 도재욱이 좋은 논개 역할을 한 셈이 되었다.

1월 29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2라운드 삼성전자 칸과의 경기에서 1세트 저격능선에 출전. 멋지게 도리야끼 BGM을 틀며 출전했으나 박대호의 트리플 커맨드 이후 9팩 러쉬에 병력과 세번째 넥서스가 썰리고, 이어진 박대호의 연속된 거센 공격에 자원줄이 마르며 결국 패배했다. 역시 테란전을 저그전하고 맞트레이드 한게 틀림없다. 그리고 팀도 2:3으로 재역전패했다.

2월 5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2라운드 제8게임단과의 경기에서 팀이 0:2로 지고 있는 3세트 체인리액션에 출전했다. 그리고 출전과 더불어 그의 도리야끼 브금으로 모든 스타 커뮤니티에 웃음을 주면서 자신도 산뜻하게 경기를 풀어나가나 했지만 김재훈의 날카로운 쇼부 속에 무난히 털리고 자신의 연패를 이어갔다.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들어와서 저본이 된 대신 토막, 테막의 조짐이...

2월 12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 CJ 엔투스와의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1:1인 3세트 네오 일렉트릭써킷에 출전, 상대는 김정우였다.[3] 초반 김정우의 히드라를 이용한 강한 압박을 질럿 견제와 템플러 캐논 등으로 막아냈지만 중반 김정우의 스톰 피하기와 뮤탈리스크에 의해 템플러 손해가 있었다. 그러나 수비 끝에 후반에 물량이 터져 역전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인터뷰에서의 자화자찬과 어머니께 생신 선물을 들고 찾아간다고 해서 많은 스덕들에게 감동 큰웃음을 안겨주었다. 도리야끼는 효자요. 팀도 3:1로 승리했다.

2월 19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 KT 롤스터와의 경기 1세트 제이드에 선봉으로 출전, 의외로(?) 선봉으로 출전한 시즌 전승을 노리는 과 맞붙었다.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이영호의 성적이 워낙 대단하다 보니(이날 경기 전까지 12전 전승...) 이영호박태민 해설위원이 현역 시절 세운 공식전 15연승 기록을 깰 것인지아니면 그 전에 신은 죽었다고 선언하는 자가 나올 것인지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이영호의 전진배럭에 이은 5연벙에 이렇다 할 공격도 못 해보고 허무하게 털려버렸다(...). 도중에 드라군 3기를 보내 이영호의 커맨드센터를 때려봤으나 부질없었고 결국 본진 망하고 GG... 이영호: 신이 죽긴 왜 죽어? 이날 경기는 팀(SKT T1)도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주성욱에게 김택용이 저격 당하면서 2:3으로 패했다. 안습...

2월 22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 웅진 스타즈전에서 2*2 팀이 세트스코어 2:1로 앞서던 4세트 네오 일렉트릭써킷에 신예 김유진을 상대로 출전했다.
뒷마당 넥서스를 먼저 가져간 김유진과 달리 로보틱스를 먼저 올려 불리하게 시작했고 도재욱도 곧바로 넥서스를 따라갔지만 김유진의 4질럿과 리버드랍에 넥서스가 깨지고 불리해졌다. 하지만 T1리버 답지 않은 맞 리버 견제, 3시에서의 대규모 전투로 이득을 보며 김유진의 멀티를 늦추었고 3시 멀티를 먼저 가져간 도재욱은 이후 트레이드 마크인 불가사의한 물량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그리고 이 날 덴색록을 빼면 저그, 콩라인, 콩라인 후보들이 전부 승리를 거둔 날이었다.[4] 오오 황신. 본인은 토스전 2연패를 끊었으며 3:1로 경기를 마무리 지은 팀은 3위로 올라섰다.
덧붙여 이 날 김민철에게 날빌을 당한 김택용은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본격 팀킬. [5]

2월 26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 STX SouL와의 경기에서는 팀이 세트스코어 2:0으로 앞서던 3세트 제이드에 출전하여 백동준을 상대해 몰래 다크 템플러로 백동준을 손쉽게 이겨버리고[6] 팀의 3:0 승리를 이끌고 STX SouL의 포스트시즌 진출 희망을 거의 없애버렸다.

3월 3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 삼성전자 칸상대로 팀이 세트스코어 2:1로 앞서던 4세트 제이드에 나와 김기현을 상대로 후반 뛰어난 전투로 김기현을 발라버리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3월 10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제8게임단 전에서 팀이 세트스코어 2:0으로 앞서던 3세트 그라운드제로에 나와서 박수범을 상대했다. 박수범이 두 번째 멀티를 좀 더 빨리 먹은 상태였지만 인구 수가 비슷한 상태에서 서로 병력을 모아 한 방 싸움을 준비했는데, 박수범이 하이 템플러가 많았기 때문에 박수범이 사이오닉 스톰만 제대로 쓰면 박수범이 전투를 승리할 가능성이 높았던 상황에서 박수범이 리버&셔틀을 조공하고 하이 템플러들이 전혀 사이오닉 스톰을 쓰지 않아서, 유리한 자리에서 전투를 벌였던 도재욱이 압도적으로 한 방 싸움을 승리한 후 물량으로 박수범을 쓸어버리고 승리를 거두었다. 도재욱이 경기 마무리와 팀의 결승 직행을 자기 손으로 확정지었지만 박수범의 김씨리버(셔틀&리버 조공)와 송씨업(하이 템플러의 사이오닉 스톰 업그레이드를 안 함)을 시전해버려서 묻혀버렸다...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에서 12승 7패를 기록하여 다승 공동 4위, 프로토스 다승 2위를 기록했다.

3월 31일에 열린 스타리그 2012 예선 C조 4강에서 조병세를 세트스코어 2:0으로 이겼으나 결승전에서 김성대에게 0:2로 패하여 탈락했다.[7] 이로써 스타리그 7시즌[8] 연속 광탈의 위엄을 달성하고 말았다.

4월 8일에 열린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결승전 KT 롤스터와의 경기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3:2로 이기던 6세트 네오 일렉트릭써킷에 출전했으나 고강민에게 완벽하게 압살당하고 말았다. 하지만 팀은 에이스 결정전에서 김택용이영호를 이기며 3년 만에 프로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

9월 1일 포스트시즌에서 8게임단의 진영화를 상대로 전진 게이트로 순식간에 끝내버렸다. 게이트 근처에 파일런을 건설하고 유닛들로 드라군을 가둬 잡는 플레이를 보여줬다. 정규시즌에서는 브루드 워에서 연패했는데 포스트시즌에 와서 브루드 워 연패를 끊었다. 9월 2일 8게임단과의 2차 전에서 후반전 2세트에 출전해 김재훈을 잡아 팀의 승리를 마무리 지었다.

옥션 스타리그 2012 16강에 진출해 8회만에 스타리그 본선에 다시 올랐으나, 장민철, 이영호에게 잇따라 지며 남은 강초원과의 경기에 상관없이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본인 말대로 도발은 하고 떨어져 내년에 다시 듀얼을 통해서 올라와야하는 상황에 처했다.

게다가 2012 HOT6 GSL Season 4 코드 A 예선에서도 아마추어 김한별에게 예선 16강에서 탈락하는 굴욕을 당했다(...).

12-13 시즌을 앞두고 T1의 주장이 되었다.드디어 도택명 중 한 명이 주장이 되었다

12월 8일 개막전 5세트 비프로스트에 신대근을 상대로 출격했다. 팀이 3:1로 코너에 몰린 상황이었으나, 개막전의 사나이란 별명이 전혀 아깝지 않게 추적자 소수로 앞마당을 타격하고, 본진입구를 파수기로 밀봉시키는 전략으로 신대근을 깔끔하게 잡아낸다. 이로써 개막전 7전 7승. 징크스가 묘하게 잘 맞는 이바닥이지만 이정도면 무서울정도.

  1. 이 때 도재욱박지호의 전성기를 보듯 우주깡패 질럿러커를 밟아버리는 모습까지 보여주었다. 이것으로 이번 시즌 저그전은 무려 3승 1패, 팀은 3대0으로 이겼다.
  2. 스커지 점사한거 아세요? 를 비롯해 영양드립등 갖가지 드립이 흥했다.
  3. 이때 BGM은 MC 노리아키의 Unstoppable이었고 상대편인 김정우의 BGM이 에미넴의 Lose Yourself였기 때문에 힙합록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미넴 제브라도 전부 FAKE
  4. 도재욱EVER 스타리그 2008에서 박성준에게 패해 준우승한 경력이 있다. 한 번 만 더 준우승하면 콩라인 가입. 그런데 스타리그에서 광탈하잖아? 안 될거야 아마.
  5. 지난 번 통신사 매치 때 주성욱과의 경기와 비슷한 상황이지만 김택용은 졌고 도재욱이 이긴 것도 한 몫 했다. 김택용 : 어헣? 재욱이는 이기네?
  6. 백동준도재욱의 체제를 잘못 생각해 버린 영향도 있었다.
  7. 1경기에선 다크템플러 1기가 40킬이나 했는데도…….
  8. 박카스 스타리그 2009부터 스타리그 16강에 올라가지를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