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라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 방면
모 덕

1.0 km
모 라
(230)

1.1 km
양산 방면
구 남

毛羅驛 / Mora Station

모라역

다국어 표기
영어Mora
한자毛羅
일본어
중국어毛罗
역번
부산 도시철도 2호선230
30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지하 498
(舊 모라동 990-5)
부산 도시철도
운영기관 " />?width=100
2호선 개업일1999년 6월 30일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2호선부 암모 라금 곡
3호선사 직덕 천대 저
4호선 미 남동 래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
  • 승강장 형태 : 2면2선(상대식 승강장)
  • 승강장 횡단여부 : 불가능
  • 비고 : 스크린도어 운용 시작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30번.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지하 498(舊 모라동 990-5번지) 소재.

2 역 정보

역의 위치가 상당히 난감해서 그나마 번화가라고 할 만한 신모라사거리쪽이 아닌 사상공단에 인접한 구모라 쪽에 있다. 그나마도 북쪽으로 많이 치우쳐 있는지라 신모라(특히 모라주공아파트) 주민들이 이 역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1] 2호선 공사 당시에 모라역을 신모라사거리 인근에 지으려고 했으나 인근에 위치한 동원아파트 주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무산되어 현재 위치에 지어졌다고 한다.[2]만약 신모라사거리에 역이 지어졌다면 수요 확보도 많이 생기고 좋았을텐데 그놈의 님비현상이 발목을 잡는다.. 그나마 출입구와 버스정류장이 가까이 붙어있어 환승연계는 편리하다. 하지만 모라주공아파트 주민들은 환승저항때문에 자주 오는 버스를 더욱 선호한다.

이 역에서 구남역 사이의 구간은 특이하게도 도로를 따라가지 않고 주택가와 경부선 철도 밑을 관통하여 지나간다. 이런 건 1호선 좌천역범일역과 비슷하다.

모덕역보다는 낫지만 이용객이 적기는 매한가지.

2016년 6월 현재 안전문이 작동하기 시작했다.

2.1 승강장

모덕
구남
부산 도시철도 2호선사상·서면·수영·장산 방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덕천·금곡·호포·양산 방면

3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6,501명6,002명5,799명5,550명4,796명4,291명4,403명4,397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4,521명4,891명4,916명4,941명5,015명4,982명
  1. 이동 신모라사거리 쪽에 역이 있었어도 모라주공은 백양산 자락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지하철 이용객이 많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도 지금 역사가 위치한 구모라 지역보단 이용객이 크게 늘었을 것이다.
  2. 이동 신모라사거리에 역을 지으려면 2호선 선형이 동원아파트 밑을 비스듬히 통과하여 지나가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