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역(도시철도)

동명의 일반철도/광역철도 역에 대해서는 사상역(경부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 방면
감 전

1.1 km
사 상
(227)

1.2 km
양산 방면
덕 포
사상하단선
시종착 사 상
(501)

(미개통)

1.5 km
하단 방면
새벽시장
부산김해경전철
시종착 사 상
서부터미널 (1)

0.8 km
가야대 방면
괘법르네시떼
동남권 전철 경전선으로 갈아타기 (미개통)
사상역
(서부터미널)
사상(서부터미널)

다국어 표기
영어Sasang
(Seobu Terminal)
한자沙上(西部터미널)
일본어沙上
중국어
역번
부산 도시철도 2호선227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501
부산김해경전철1
30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부산김해경전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2호선 역 안내도 크게보기
300px
경전철 역 안내도 크게보기
300px
사상하단선 사상역 조감도 크게보기
주소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지하 203
(舊 괘법동 572-1)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서부터미널)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장로 83
(舊 괘법동 572-1)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사상역
추가바람
부산 도시철도
운영기관 " />?width=100
2호선 개업일1999년 6월 30일
사상하단선 개업일2022년 예정
운영기관
부산김해경전철 개업일2011년 9월 16일

沙上驛 / Sasang Station
沙上(西部터미널)驛 / Sasang(Seobu Terminal)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2호선), 지상 2층(부산김해경전철)
  • 승강장 형태 : 2면2선(상대식 승강장ㆍ2호선/부산김해경전철 공통)
  • 승강장 횡단여부 : 불가능(2호선), 가능(부산김해경전철)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좌 천서 면시 청
2문 현사 상율 리
3만 덕덕 천체육공원
4없 음
BG사 상김해대학

1 개요

부역명은 서부터미널이다. 다만 부김경 사상역의 경우에는 병기역명이다. 2014년 기준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서 서면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으며 부산김해경전철의 모든 역 중에서 가장 흥하는 역이기도 하다.## 이 역을 기종점으로 삼는 부산김해경전철이 개통한 이후 서면역 동쪽 구간의 센텀시티역, 장산역, 경성대·부경대역과 같은 경쟁자들보다는 확실히 우세를 점한 상태.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센텀시티역에게 언젠가 추월 당할지도 모르지만, 사상역도 그 정도까진 아니지만 매년 승객이 늘고 있는데다 앞으로 두 노선이 추가되어 4개 노선 환승역으로 계획되어있는만큼 앞으로도 이용객수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고 결국 추월당한다고 해도 사람 많기는 마찬가지이다.

부산김해경전철의 경우 대저역과 함께 부산광역시의 환승역 중 티머니를 충전할 수 있는 희귀한 역이다.[1]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아서 그런지 2012년에는 2호선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 설치되었다.[2]

2 구조

사상역 유동 인구의 대부분은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맞닿은 5번 출구를 이용한다. 이 출구는 2010년 공사를 거쳐 에스컬레이터식으로 바뀌었는데, 당연히 5번 출구를 이용하지 못해 불편을 겪은 이용객이 상당수.[3]

경전철 역과 2호선 역은 구조상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두 역은 출구 번호도 따로 매겨져 있으며, 환승 통로도 단순히 2호선 역에서 출구를 하나 더 뚫어 경전철역 1번 출구와 나란히 놓은 형태이다. 따라서 경전철역 1번 출구를 제외하면 경전철역 출구로는 경전철만, 2호선역 출구로는 2호선만 이용할 수 있다. 이용에 주의가 요구되는 사항.

이 역은 부산김해경전철과 2호선 간에 간접환승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 마디로 수도권 전철로 치면 소프트 환승인데, 환승 게이트를 통과할 때 교통카드로 추가 요금을 내는 신분당선의 방식과 짬뽕된 거다. 상호 환승시 하차 태그후 다시 교통카드를 찍거나, 회사별로 구분된 표(부산김해경전철는 RF 토큰식, 2호선은 마그네틱식)를 구입해야 한다. 요금에 관해서는 동남권 통합 요금 문서 참조.

이 역과 괘법르네시떼역 사이의 교각 하부공간은 공원화하여 사상구청에서 관리중이다. 링크

2.1 승강장

2.1.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감전
덕포
부산 도시철도 2호선서면·수영·해운대·장산 방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덕천·화명·호포·양산 방면

2.1.2 부산김해경전철

종착역
괘법르네시떼
부산김해경전철당역종착
부산김해경전철공항·대저·수로왕릉·가야대 방면

3 환승

부산김해경전철이 개통되면서 동래역에 이은 막장환승이 되었다. 경전철은 지상 고가, 2호선은 지하이기 때문. 그마저도 동래역과는 달리 간접환승이라 몇몇 사람들은 2호선-부산김해경전철 간의환승통로가 없는 줄 알 정도로 찾기 힘들었다. 요즘에는 환승띠가 보기 좋게 바뀌어 상황이 조금 나아졌다. 그래봤자 막장환승 띠 있다고 거리가 줄어드는건 아니다

환승을 하려면 2호선 사상역에서 환승띠 따라 환승통로까지 한참 걸어가서 환승통로로 올라온 뒤 좌측의 경전철 건물로 한층 더 올라가야 한다. 환승통로가 없는줄 아는 사람은 2호선에서 부산김해경전철로 환승하려고 사상역에서 지상으로 빠져나와 옆에 보이는 건물인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으로 횡단보도(!)를 이용해 경전철 역사로 들어간다.(...) 비 오면 안습.

앞으로 2호선 아래 지하 더욱 깊숙한 곳에 사상하단선동남권 전철 경전선 사상역[4]까지 생기면 수도권 전철에서나 볼 수 있는 급의 막장환승이 탄생할 듯. 아니 그것보다 더 심할것 같은데? 일단 다 짓고나 말해.

버스 환승의 경우 터미널로 인해 3/5, 4/6번 출구 사이에 정류장이 위치하니 이 출구를 이용하는것이 편리하다. 특징이라면 기존 4번출구에서 회차하던 노선의 정류장이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이후 경전철 2번 출구쪽 중앙차로로 이동했다는 점이다.

4 일평균 승차량

  • 부산김해경전철은 기본적으로 승하차 집계를 공개하지 않지만 부산광역시에서 매년 실시하는 교통조사 분석용역을 통해 부산광역시 사상구, 강서구 구간에 한해 공개하고 있다.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6,468명16,508명15,678명15,801명14,851명13,754명15,048명15,078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15,625명18,107명21,408명22,584명23,380명23,796명
부산김해경전철[5]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5,612명6,501명7,458명8,233명8,792명
  1. 정확히는 부산 도시철도역 중에서 희귀역이라는 말이다. 부산김해경전철의 전 역에서 티머니를 충전할 수 있으나 도시철도의 경우는 충전은 불가능했다. 2014년 11월 29일부터 부산 도시철도 역의 기존 하나로카드 보충기기에서 티머니도 충전이 가능하다.
  2.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구간이 100%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된 것과 달리 부산교통공사는 예산 문제로 2010년대 들어서야 기존 역의 스크린도어 설치를 시작했다. 기사 그나마 대구에 비하면 빠른 편.
  3. 사상역 유동인구를 보면 서부터미널 내로 직접 연결되는 전용 출구를 따로 만들어야 될 듯 하다. 여기처럼. 애플아울렛으로 가는 통로는 있어서 애플아울렛 지하 1층→1층을 경유하여 터미널 내부로 들어갈 수는 있다.
  4. 낙동강을 하저터널로 통과하므로 상당히 깊은 곳에 승강장이 설치될 예정이다.
  5. 부산김해경전철의 모든 역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