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도시철도 역에 관한 것입니다. 과거 이 역명을 사용한 동해남부선 상의 역에 대해서는 센텀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산 도시철도 | |||||
2호선 | |||||
장산 방면 민 락 | ← 0.9 km | 수 영 (208) | → 0.9 km | 양산 방면 광 안 | |
3호선 | |||||
시종착 | 수 영 (301) | → 1.0 km | 대저 방면 망 미 | ||
수영역 - 광안역 연결선 | |||||
기 점 | ← | 수영(3) | → | 광안 방면 광 안 |
수영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uyeong |
한자 | 水營 |
일본어 | 水営 |
중국어 | 水营 |
역번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08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301 |
35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크게보기 | |
350px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크게보기 | |
350px 역 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지하 677 (舊 광안동 1091-1) | |
부산 도시철도 | |
운영기관 | " />?width=100 |
2호선 개업일 | 2002년 8월 29일 |
3호선 개업일 | 2005년 11월 28일 |
水營驛 / Suyeong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2호선), 지하 3층(3호선)
- 승강장 형태 : 1면 2선(섬식 승강장ㆍ공통)
- 반대편 횡단 : 가능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1 | 범 일 | ◁ | 서면·연산 | ▷ | 부산대 |
2 | 장 산 | ◁ | 수 영 | ▷ | 가 야 |
3 | 수 영 | ▷ | 미 남 | ||
4 | 미 남 | ▷ | 명 장 |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8번.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01번.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지하 677(舊 광안동 1091-1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명칭은 조선시대 수군절도사의 군영(軍營)을 의미하는 水營에서 유래되었으며, 이것이 수영구라는 지명으로 정착, 이 지명을 따서 역명으로 정해졌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이다. 부산 도시철도의 다른 역에 비해 규모가 큰 편에 속하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에도 확장 공사를 계속하였다. 또한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역을 통틀어 승강장 내에도 화장실이 있는 유일한 역이다.[1] 동해남부선 구 수영역과는 별개의 역으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었으며 그 역은 2호선 역 중에서는 시립미술관역과 가장 가깝다.
2 구조
부산 도시철도의 개념환승역으로, 지하 2층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지하 3층에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이 있다.(n호선 승강장이 지하 n층에 있다고 보면 된다) 둘 다 섬식 승강장이기 때문에 미남역처럼 계단 하나를 오르내리며 환승이 가능하다. 복정역처럼 복층 구조이기는 하나 환승계단이 X자로 크로싱하는 구조다 보니 수요에 비해 비좁다. (빠르면 13초만에 2호선 전동차->3호선 전동차로 환승할 수 있다, 물론 타이밍이 잘 맞다면..)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초기에는 대합실에는 부산 2호선 관련 이정표만 있을 뿐 3호선 타는 곳의 안내는 승강장에 들어가야 있었다. 다른 역들은 모두 3호선이 개통하면서 전용 출구가 생겼지만 이 역만 유일하게 기존 2호선 대합실과 승강장을 통해 3호선 승강장으로 들어가야 했던 것.[2] 이후 안내판이 보강되고 디자인이 개정되면서 이러한 논란은 사그라들었으나, 그 당시에는 이러한 기사가 나온 적이 있었다.#
불행히도 2호선과 3호선 모두 드리프트 구간을 가지고 있다. 2호선의 경우 민락역 방향으로, 3호선의 경우 망미역 방향으로 급커브가 있기 때문에 제한속도가 엄청 느리다. 수영교차로가 Y자 구조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상이기는 하지만, 신호대기만 아니라면 버스가 훨씬 빠른 기현상이 벌어지기도 한다. 미안 지하철이 막혀서 늦었어 하지만 수영교차로가 밀릴 때는 버스보다 걸어가는게 더 빠르다.
3호선 승강장은 대리석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계단과 스크린도어 사이가 상당히 비좁다.
이 역의 출입구의 수는 중앙역과 똑같이 16개[3]로 부산 도시철도 역 중에서는 가장 많은 출입구의 수를 자랑한다.
환승역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2호선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4]
여담으로 두 승강장이 위 아래로 나란히 있는 이유는 3호선 회차지점 방면으로 2호선 광안역 방면과 연결되는 통로가 있기 때문이다.
3호선 승강장에서 아주 가끔 회차지점 방면 선로에 조명이 켜져있을 때 조명들을 자세히보면 스크린 도어 때문에 잘 보이진 않지만...조명이 끝에 갈 수록 오르막 길이 있는 것처럼 조명이 위로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2호선 광안 방면으로 선로가 연결되는 지점이다.[5]
가끔 호포차량사업소에서 뜬금없이 3호선 전동차를 볼 수 있는 이유는 중검수 때문이며, 이 연결 선로를 이용하여 광안역으로 진입한다. 대저기지에서는 중검수를 할 수 없기 때문. 삼각주 지형이라 그놈의 연약지반 때문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도 이와 같은 케이스.
2.1 승강장
2.1.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민락 ↑ | |||
ㅣ | 하 | 상 | ㅣ |
↓ 광안 |
상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센텀시티·시립미술관·해운대·장산 방면 |
하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서면·사상·덕천·양산 방면 |
2.1.2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종착역 | |||
ㅣ | 하 | 상 | ㅣ |
↓ 망미 |
상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당역종착 |
하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연산·미남·구포·대저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역은 수영교차로에서 광안역 쪽으로 조금 더 들어간 위치에 있다. 앞서 말했듯이 2호선, 3호선 둘 다 급격한 드리프트 구간이 있기 때문.
광안역과 수영역 사이에는 공영 지하주차장이 있으며, 2014년부터 이 지하주차장과 연계한 지하상가 공사를 하고 있는데 언제 완공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덕천역 지하상가처럼 민자사업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완공된다면 유동인구가 꽤나 모일 듯 싶다.[6]
이 역 이름의 유래이자 수영구 명칭의 유래이기도 한 수영사적공원은 2번 출구 방면에 있다. 경상좌수영이 조선 효종3년(1653)부터 갑오경장 때까지 있었던 지역이며 현재도 쓰이는 지명이다.
부산 코믹월드 사무소가 13번 출구에 위치하고 있다. 예매를 원한다면 그 곳으로 가서 해야 한다(...). 참고로 수영역은 센텀시티, BEXCO와 상당히 가깝다. 홍대입구역에 있는 서코 사무실과 SETEC이나 aT센터의 거리를 감안한다면...
4 일평균 승차량
- 2호선과 3호선의 역사와 개찰구가 공용으로 사용되고 있어 모든 승차량은 2호선의 것으로 간주된다.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983명 | 6,914명 | 6,907명 | 7,204명 | 8,687명 | 8,773명 | 9,558명 | 10,120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11,083명 | 11,904명 | 12,155명 | 12,936명 | 13,391명 | 13,580명 |
- ↑ 지하 2층 민락역 방향 승강장 끝쪽에 위치하여 있다.
- ↑ 이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개통하면서 기존 3호선 대합실과 승강장을 통해 4호선 승강장으로 들어가야 하는 미남역이 하나 더 생겼다. 단 미남로타리 방향으로 부산 4호선 전용 출입구가 생긴 것이 이 역과는 다른 점.
- ↑ 16번 결번까지 같다
- ↑ 3호선 수영역은 개통 당시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2호선은 나중에 설치되었다.
- ↑ 일부러 가서 볼 필요도 없이 2호선 환승을 위해 가다보면 잠깐동안 유심히 살펴봐도 보인다.
- ↑ 서면역 지하상가는 부산 최대의 도심이고, 남포역~자갈치역 지하상가는 서부산권에 속하고 덕천역 지하상가는 북부산권에 속하므로 수영역 지하상가는 동부산권에 속한다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