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역

이 문서는 부산 도시철도의 역에 관한 것입니다. 북한 평덕선에 있는 동명의 철도역에 대해서는 덕천역(평덕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 방면
구 명

1.2 km
덕 천
(233)

1.5 km
양산 방면
수 정
3호선
수영 방면
숙 등

0.7 km
덕 천
(313)

1.1 km
대저 방면
구 포
덕천역
(부산과기대)

다국어 표기
영어Deokcheon
한자德川
일본어徳川
중국어德川
역번
부산 도시철도 2호선233
부산 도시철도 3호선313
30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크게보기
300px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지하 14
(舊 덕천동 327)
부산 도시철도
운영기관 " />?width=100
2호선 개업일1999년 6월 30일
3호선 개업일2005년 11월 28일

德川驛 / Deokcheon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2호선), 지하 3층(3호선)
  • 승강장 형태 : 2면2선(상대식 승강장ㆍ2호선), 1면2선(섬식 승강장ㆍ3호선)
  • 승강장 횡단여부 : 가능(환승통로 이용)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33번.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13번.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지하 14(舊 덕천동 327번지) 소재.

2 역 정보

2.1 구조

덕천교차로 밑에 위치한 2호선3호선환승역이다. 자로 정확하게 교차하는 형태가 아니라 2호선 역이 북쪽인 금곡대로 방면으로, 3호선 역이 동쪽인 만덕대로 방면으로 치우쳐 있는 형태라서 지도상으로 보면 자 모양의 형태를 지닌다. 더군다나 3호선과 2호선 양산행 승강장으로 향하는 환승 통로가 그렇게 좁진 않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헬게이트가 열린다.[1] 3호선 연결 통로에서 이번 차를 놓칠까봐 전력질주하는 승객과 그걸 보고도 출입문을 닫으려고 하는 기관사와의 심리전이 장난이 아니다.[2]

2, 3호선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3]

이 역과 숙등역 사이에 유치선이 있다. 그러나 3호선은 중간 주박이 없다는 것.....

2.2 승강장

2.2.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명
수정
부산 도시철도 2호선사상·서면·수영·장산 방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율리·금곡·호포·양산 방면

상대식 승강장으로, 3호선 승강장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있으며, 직접 횡단할 수는 없다.

2.2.2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숙등
구포
부산 도시철도 3호선미남·종합운동장·연산·수영 방면
부산 도시철도 3호선구포·강서구청·체육공원·대저 방면

섬식 승강장이다.

3 역 주변 지역

이 역 인근은 화명동과 함께 북구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북구 상권에서 가장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바로 구포시장이다. 따라서 시간대에 관계없이 항상 복잡하며, 덕천교차로를 지나는 버스노선도 많아서 환승거점으로도 중요하다.

1993년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가 일어난 장소와 매우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덕천역 7번 출구 기점으로 서쪽에 위치하고 펌프장 저수장을 북쪽으로 약간 끼고 있는 경부선 선로 구간이 바로 당시 사고현장이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하면서 지하상가(숙등역과 연결되어 있다)와 쇼핑몰 뉴코아[4]가 생겨 소박하나마 번화가의 요소(패밀리 레스토랑과 멀티플렉스 극장까지)를 완성시켰다. 그래서 더욱 붐비는 중.[5]

인근에 북구 최대의 번화가인 구포시장 이 있으며 구포시장 근처엔 구포시장 버스환승센터가 설치되어 버스 환승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단 버스 노선들은 방향 특성 상 이곳에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바람. 보행자의 횡단이 많은 시장 근처에 환승센터를 도로 중앙에 설치하여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상사고가 잦다. 관련기사

일부 양산시 시내버스 노선이 이 역을 종점으로 하고 있기는 한데 타려면 10번 출입구에서 한참을 더 걸어야 한다.

4 명칭

역명은 지명인 덕천동에서 유래했는데, 덕천동은 예전에 덕개촌이라고 불린 마을이다. 금정산에서 발원해 덕천동 인근을 지나 낙동강으로 흐르는 개천을 덕천이라고 불렀으며, 그에 따라 지역 명칭이 덕천이 된 것이다. 도쿠가와가 아니다.[6]

부역명은 부산과학기술대학교[7]이다. 그런데 이 역에서 부산과학기술대학까지는 무려 2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그것도 비탈길을 타고 올라가야 한다. 차라리 구남역이 더 가까울 정도.[8]이게 뭥미? 이 역에서 부산과기대로 가고 싶으면 1번출구로 나와서 46번이나 160번, 또는 북구6번을 이용하자.

5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3,421명12,294명11,729명10,836명6,675명6,049명6,700명6,894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7,204명7,691명6,792명6,606명6,644명6,465명
부산 도시철도 3호선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973명5,037명5,801명6,939명7,703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8,249명9,443명11,006명11,683명11,755명11,991명
같은 2, 3호선 환승역수영역보다 승차량이 더욱 많다. 다만 3호선 개통 이후 2호선의 승차량이 감소하고 있데, 이는 3호선 덕천역이 있는 위치가 좀 더 번화가 지역에 가깝고 덕천지하상가로 직접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3호선 게이트의 승차량이 더욱 많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대구 도시철도 환승역반월당역도 이와 비슷한 케이스.
  1. 사실 환승통로의 크기가 애매모호하다.전동차 정차위치와도 좀 떨어져 있어서 출입문이 닫힌다는 안내방송이 나오면 바로 다음 차를 타야 한다. 왜냐 하면 다음 차를 타지 말고 뛰어서 이번 차를 탄다고 해도 출입문에 몸이나 가방 등이 끼기 때문이다.
  2. 착한 기관사들은 그냥 기다려준다. 근데 착한 기관사를 만나기 힘들다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 3호선 덕천역은 개통 당시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있었으나 2호선은 스크린도어가 2014년부터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되기 시작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1호선 동래역도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환승역인데 스크린도어가 늦게 만들어졌다..
  4. 이랜드가 인수했다
  5. 주말 결혼식, 칠순잔치, 돌잔치가 있는 날이면 인근 도로가 자동차들로 인해 주차장헬게이트를 이룬다
  6. 일본어 とくがわえき로 구글링해도 이 역이 나온다(...). 이렇게 된 이유는 가짜동족어 문서 참조.
  7. 원래는 부산정보대학이었다가 2012년 3월부터 교명을 변경했다.
  8. 마치 서울의 총신대입구역남성역같다.(그리고 심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