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38번 | |||||
기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1동(몰운대롯데캐슬) | 종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3동(모라주공아파트)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58 |
막차 | 21:45 | 막차 | 22:52 | ||
평일배차 | 8~12분 | 주말배차 | 15~16분 | ||
운수사명 | 동남여객, 동원여객, 동진여객 | 인가대수 | 18대[1] | ||
노선 | 몰운대롯데캐슬 ㅡ 다대포↔다대푸르지오아파트↔장림초등학교↔장림시장↔신평역↔가락타운2,3단지↔하단역↔동아대학교↔엄궁삼거리↔금성주물공장↔새벽시장↔서부터미널↔부산에너지과학고교↔모라주공1단지 ─ 모라주공아파트 |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1.0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준공영제 이전에는 138-1번 노선과 유사하였고 사상역이 종점이었지만 2007년 이후 구.13번 노선 일부 구간을 답습[2] 하고 모라주공아파트까지 연장되어 현재에 이른다. 노선 초창기에는 배차간격이 무려 1시간(…)이었다. 충공그깽. 그 이유는 338번 운수회사로 선정된 회사들의 주요 밥줄노선과 심하게 겹쳤기 때문에[3] 338번에 차량을 적게 배정했기 때문이다. 준공영제 실시와 동시에 넘치는 수요를 맞추기 위해 이 노선에 차량을 많이 배당해서 현재는 상당히 나아졌다.
- 여담으로 이 노선은 2000년대 초반에 신설되었는데 그 때 같이 신설된 노선은 105번(동아대~민주공원)[4] 과 235번(사직동~해운대 신시가지)[5]... 둘 다 영 좋지 않은 배차간격에 공기수송을 하면서 다니다가 폐선되었다. 사실 위 두 노선이 338번보다 먼저 개통되었는데 338번의 개통이 늦어진 것은 위에서 말한 운행회사들끼리 합의가 되지 않았기 때문...
근데 결국 셋 중에 이것만 살았다.
- 준공영제를 실시하면서 인가대수도 3대에서 13대로 증차했고, 이듬해 7월 몰운대 롯데캐슬 연장과 동시에 동원.동진에서 각각 1대씩 증차하여 15대가 되었다. 구.128번이 폐선되면서 태영에서 1대를 증차해 16대가 되었고 2014년 7월 26일 부로 동원, 동진에서 각각 1대씩 증차해 배차간격이 다소 짧아졌다.
- 2015년 8월 22일 개편으로 태영버스가 58-2번 노선변경으로 인한 증차로 338번에서 철수하게 되어 동원.동진에서 각각 2대씩 투입하여 메웠고[6], 동남.동원.동진 3개 회사가 6대씩 운행하게 되었다.
4 특징
태영버스 운행 시절엔 소속 노선 중 구 태화교통 출신 노선도, 구 화진여객 출신 노선도 아닌 몇 안되는 노선 중 하나였다.[7] 준공영제 때 태영버스와 영신여객도 참여할 생각이 있었는데 결국 태영버스가 참여했다는 소문도 있었다.
준공영제 이전에는 동남여객, 동원여객, 동진여객이 각각 1대씩 배차에 참여해 40분 간격으로 다녔음에도 가축수송을 하고 다녔다.
다대포, 장림에서 한 번에 사상구를 연계해주는 고마운 노선. 특히 다대포 주민들에겐 96번과 더불어 둘도 없이 고마운 노선이다. 이 노선이 생기기 전엔 환승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몰운대 롯데캐슬을 시내버스로 유이[8]하게 경유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역시 사상쪽 주민들로부터도 사랑받고 있는데, 엄궁~사상을 잇는 구간이 엄궁 공단를 가로지르는 출.퇴근길이며[9] 또한 동아대로 통학을 하는 사상구특히 모라주공!에 거주하는 대학생들도 환승 없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사상을 연결해주는 덕에 사하구 거주 신라대학교 학생들도 통학용으로 자주 이용하고 있다. [10]
여담으로 원래 이 노선은 준공영제 때 신라대학교에서 회차할 뻔 했지만 가칭 53번(구포3동~하단역)의 노선신설 무산 및 85번의 노선단축이 확정되면서 모라주공아파트 운행으로 확정되었다.
이전에 이 노선에 투입되었던 태영버스 소속 차량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두동영업소 소속이었는데, 첫차.막차시간 전후로 운행하기 전에 저 멀리 창원시 진해구 두동차고지에서 을숙도대교를 건너 다대포까지 머나먼 길을 공차로 와야 했었다. 덕분에 승무원들은 죽을 맛이었다고 한다. 물론 일과운행 시간대엔 다대포차고지나 몰운대 롯데캐슬 인근에 주차하였다. 게다가 명불허전의 두동영업소 관할노선인 것도 그렇고 세차를 할 겨를이 없어서 차량상태가 영 좋지 않았었다. 이제라도 철수해서 다행이긴 하다.태영버스는 공차회송의 본좌.
매번 부산시청 홈페이지 부산시에 바란다 게시판에 이 노선에 대한 증차를 요구하는 민원이 가끔씩 올라오고 있다. 하지만 차량총량제 특성상 증차가 불가하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그러나 계열사 다른 차량에서 차돌리기로 조금씩 증차했던 걸로 보면 어느정도 요구사항을 수용했다고 보면 된다.
노선번호[11]를 왜 이렇게 지었는지 모르겠다 카더라. 부산 버스 38과 관련도 없고[12] 좌석버스도 아니고. 국번에서 따왔다고 하기엔 338은 구포지역의 국번이다. 허나 특이한 노선번호 덕분에 현재까지 인지도를 쉽게 쌓을 수 있었고, 다대포를 비롯한 사상.사하구 지역주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근데 같은 시기에 개통된 235번은 뭐가 뭔지 모르겠다.
준공영제 전에는 3대 뿐이었지만 현재는 그때보다 6배나 많은 18대로 운행중이며, 장거리 수요가 많지만 물갈이가 잘 되어 운송수입금이 꽤 높은 편이다. 2016년 1월 기준 겨울철, 방학 비수기였는데도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63만원 선이었다. 운송원가가 대당 64만원 선이기 때문에 개학을 하고 나서는 운송수입금이 흑자를 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참고로 이 때 96번과의 차이는 단 1만7천원 정도밖에 안났다.[13] 그리고 96번을 제외한 다대포 기점 노선들과, 동남여객 장림영업소 노선들보다 대당 운송수입금이 훨씬 높다(...). 도시철도 1호선이 다대포까지 연장되더라도 선형이 거의 겹치지 않고 몰운대 롯데캐슬을 경유하고 있어서 별다른 타격없이 한결같이 운행될 것이다. 더군다나 동년 9월에는 드디어 흑자노선이 되었고 수익금으로 2위를 기록했다!!![14] 아무래도 138-1번이 배차간격이 엉망이 되면서 반사이익을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15]96번도 제쳤으니 공동배차 중인 회사노선들보다 잘나간다
다만 사상~하단 구간의 노선 선형이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과 완벽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사상하단선이 완전히 개통하게 되면 수요에 적잖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모라주공이 종점인 노선중 유일하게 하단역으로 간다.[16]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신평역, 하단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사상역, 덕포역
- 부산김해경전철 : 사상역
- 일반 철도역 : 사상역(무궁화호)
- ↑ 동남여객 6대, 동원여객 6대, 동진여객 6대
- ↑ 괴정.당리동을 경유했었던 구.13번에 비해 이 노선은 괴정.당리동으로 이어주지 못했기 때문에 준공영제 당시 사하구민들의 불만이 폭주했었다. 부산시 교통과는 이를 해결하지 못해 지금 괴정,당리동 주민들은 사상역으로 갈때 대신동이나 하단에서 환승한다.
- ↑ 다대포에서 신평역까지는 11번, 동성화학에서 서부터미널까지는 138-1번과 겹쳤기 때문에 동진여객과 동남여객에서 단 1대만 차출했기 때문이다. 나중에 동원여객이 배차에 참여해서 40분(…)으로 줄였다.
- ↑ 서구산복도로에서 사하구로 유일하게 연결시켜줬던 노선 태화교통(현재의 태영버스)과 동성여객(현재의 삼성여객)이 차량1대씩 참여해 운행했었다. 운행종료시 삼성여객 차량은 연산9동까지 공차회송했다.
- ↑ 210번의 사직동~수영교차로 구간에 해운대 구간만 덧붙인 노선이다. 망미동(과정로)에서 해운대로 유일하게 이어줬던 노선. 국제여객, 세익여객, 부일여객이 참여했다.
- ↑ 동원 2번과 동진 96번에서 각각 2대씩 감차하여 이 노선에 투입했다.
- ↑ 나머지는 55번, 221번, 2000번 정도가 있다.
- ↑ 다른 하나는 부산 버스 96-1
- ↑ 엄궁동 안길이 아닌 공단이 밀집한 학장로를 통하여 가기 때문에 공장 근로자들도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한다.
- ↑ 서부터미널에서 내려 62번으로 환승해서 간다.
- ↑ 아무래도 138번, 138-1번과 같이 사하구에서 사상구로 연결된다는 이유로 338번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238번이랑 138-2번은 싫었나보네? - ↑ 38번과 관련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현재 운행중인 부일여객 38번은 2기 노선으로 1986년에 신설된 노선이고, 당시 138번과 선형이 비슷했던 38번 1기 노선이 존재했었다.
- ↑ 그렇지만 96번은 운송원가가 338번보다 조금 낮아서 흑자를 봤다.
- ↑ 1위는
또68번이다.(...) - ↑ 이는 부산 버스 160도 마찬가지이다.
- ↑ 앞서 말한 두 노선은 모두 동래역으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