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 |||||
2호선 | |||||
장산 방면 금 곡 | ← 1.5 km | 호 포 (239) | → 3.5 km | 양산 방면 증 산 | |
호포차량기지 인입선 | |||||
시종점 | 호 포 | → | 호포차량사업소 |
호포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Hopo |
한자 | 湖浦 |
일본어 | |
중국어 | |
역번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39 |
30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양산대로 62 (舊 가산리 산91-5) | |
부산 도시철도 | |
운영기관 | " />?width=100 |
2호선 개업일 | 1999년 6월 30일 |
湖浦驛 / Hopo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상 5층
- 승강장 형태 : 2면 3선[1]
- 승강장 횡단여부 : 가능
- 비고 : 스크린도어 가동 실시 및 승강장 지붕 연장 공사 중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1 | 없 음 | ||||
2 | 구 남 | ◁ | 호 포 | ▷ | 양 산 |
3 | 남산정 | ◁ | 덕 천 | ▷ | 구 포 |
4 | 없 음 |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39번.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양산대로 62(舊 가산리 산91-5번지) 소재.
2 역 정보
이 역과 증산역 구간은 호포차량사업소와 중앙고속도로지선을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거리가 무려 3.5km나 되며,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구간들 중에서 가장 긴 구간이다.[2]
2.1 명칭
역 근처에 있는 마을 이름(호포마을)에서 유래했으며, 호포제와는 관계없다.
2.2 승강장
금곡 ↑ | |||||
ㅣ | 하 | 상 | ㅣ | ||
↓ 증산 |
상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덕천·서면·수영·장산 방면 |
하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부산대양산캠퍼스·남양산·양산 방면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2면 2선(섬식+1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맨 끝의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섬식 승강장으로 운용한다.[3] 원래는 2면 3선식 승강장으로 개통 당시에는 북정 연장용으로 선로가 있었지만[4] 현재의 상선으로도 충분히 운영이 되었기에 금방 철거했다. 더군다나 승강장에서 경부선 철도, 낙동강, 김해시 대동면의 산과 들녘을 멀찍이 구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전망이 꽤 환상적이다. 경부선에 열차(특히 KTX)가 지나가는 것을 보면 묘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3 역 주변 정보
근처에 호포차량사업소와 BTC 아카데미((구).부산교통공사 연수원.)[5]가 있으며, 대한민국의 전철(도시철도)역 중에 가장 높은 곳(지상 5층)에 승강장이 있다.[6] 또한 도시철도 역사 치고는 큰 편에 속한다.
2008년 1월 9일까지는 2호선의 모든 열차가 이 역에 시종착하였기에 양산시민들은 도시철도를 타려면 호포역까지 올 수 밖에 없었다.[7] 하지만 이후 양산역이 개통되어 양산에서도 편리하게 도시철도를 타지만 금정구나 부산대 방향은 예나 지금이나 버스가 더 빠르다.
2008년 1월 10일 양산선 개통후에는 양산역까지 배차간격이 3:1 비율로 호포행과 양산행이 운행되어 실질적으로 많은 열차가 호포역에 종착하기도 했었으나 2010년 10월 18일부터 양산행 열차가 많아지면서 호포행 열차의 운행횟수가 상당수 줄어들었고 회송 열차가 아닌 이상 호포행은 보기 힘들다.[8] 특이하게도 승강장에 대합실이 설치되어있는데 이런 모습은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일부 지상구간에 위치한 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역에선 2호선 기관사들의 승무교대를 위하여 정차시간이 다른역들에 비해 조금 긴 편이다. 때문에 양 방향 동시에 열차가 도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2호선에 한해 이 역의 승차량이 가장 저조한 역이다.
양산시 시내버스의 일부 노선이 이 역을 경유 혹은 시종착하기 때문에 양산시민, 특히 물금읍 주민들에게는 환승지점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1년 5월 21일부터는 부산광역시-양산시-김해시 간 동남권 통합 요금 환승할인제도 시행으로 더 좋아졌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966명 | 2,114명 | 2,278명 | 2,134명 | 2,193명 | 2,296명 | 1,553명 | 1,325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1,222명 | 1,092명 | 1,041명 | 1,068명 | 1,134명 | 1,109명 |
- ↑ 1선은 철거되고 1면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실상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 ↑ 증산역이 개통되기 전에는 이 역과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의 구간이 이보다 훨씬 더 긴 4.5km나 되었다.
- ↑ 대합실에서도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으로 가는 계단 입구를 문으로 막아놨다.
여기랑 비슷할 듯 - ↑ 원래 2호선은 장산<>호포 구간과 호포<>북정 구간이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운행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그의 또다른 흔적으로 금곡역 방향에 있는 유치선을 들 수 있다.
- ↑ 부산교통공사에서 운영중인 교육 시설. 공사의 자체교육도 여기서 하지만, 주로 일반 기업이나 단체를 상대로 강의실과 숙소를 유료로 제공하고 있다. 주로 1~3일 정도의 단기교육이 주를 이루지만, 제2종전기차량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교육을 이곳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다른 교육기관으로는 코레일 인재개발원, 디젯아카데미, 한국교통대, 우송대, 동양대가 있다.) 가끔 한 학기 정도의 기간동안 장기대여하여 사용하는 곳도 있다. 부가시설로 식당과 매점이 있지만 오픈시간이 정해져 있다.
- ↑ 호포역이 개업하기 전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구서역이 가장 높았다고 한다. 참고로 일반철도역까지 범위를 확장한다면 추전역이 가장 높다(해발 855m).
- ↑ 실제로 호포역은 경상남도 내에서도 최초로 개업한 도시철도 역이다. 그리고 약 8년 반동안 경상남도의 유일한 도시철도역이었다. 현재는 2호선 양산 연장과 부산김해경전철로 인해 경상남도의 도시철도역이 많아졌다.
- ↑ 주말이 되면 그나마 자주보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