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경춘선에 있는 동명의 역에 대해서는 금곡역(경춘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산 도시철도 | |||||
2호선 | |||||
장산 방면 동 원 | ← 1.0 km | 금 곡 (238) | → 1.5 km | 양산 방면 호 포 |
금곡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Geumgok |
한자 | 金谷 |
일본어 | |
중국어 | |
역번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38 |
30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크게보기 | |
300px 금곡역사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685 (舊 금곡동 1609) | |
부산 도시철도 | |
운영기관 | " />?width=100 |
2호선 개업일 | 1999년 6월 30일 |
金谷驛 / Geumgok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상 2층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 승강장 횡단여부 : 불가능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1 | 없 음 | ||||
2 | 모 라 | ◁ | 금 곡 | ▷ | 양 산 |
3 | 만 덕 | ◁ | 덕 천 | ▷ | 강서구청 |
4 | 없 음 |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38번.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685(舊 금곡동 1609번지) 소재.
500px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2 역 정보
2.1 승강장
동원 ↑ | |||
하 | ㅣ | ㅣ | 상 |
↓ 호포 |
상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덕천·서면·수영·장산 방면 |
하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증산·남양산·양산 방면 |
2.2 구조
양산선이 개통하기 전까지는 2호선에서 유일한 고가 지상역사였다. 그리고 한국에서 최초로 지어진 유리궁전 역사이기도 하다.[1]
출입구 배정이 좀 희한해서 역사가 아닌 지하보도 입구에도 출입구 번호를 붙였다. 반대편 금곡동에서 금곡역으로 연결되는 횡단보도가 아얘 없기 때문이다.[2] 1번·2번3번 출입구가 이에 해당한다.[3] 역사 중간에 위치한 출구는 없다.바로 옆이 도로이기때문에..
2014년 12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중이다.
2015년 3월 23일 양산 행 승강장 한정으로 금곡동으로 바로 연결되는 육교가 새로 준공되어 바로타 방식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이 육교에 6번 출입구 번호를 새로 배정하였다.[4][5][6] 덕분에 금곡주공1단지 아파트 방면에서 금곡역으로의 접근성이 한결 편리해졌다. 링크주소 단 양산 방면 한정으로 바로타가 가능하기때문에 부산 도심으로 접근하려면 기존의 출구를 이용하여야 한다.[7] 때문에 양산 방면 금곡역 이용객은 많이 늘었으나 반대편 장산 방면 이용객은 거의 늘지 않았다. 그래도 이쪽 동네 위치 특성상 부산 시내[8] 보다 양산신도시 방면으로 나가는 게 상당히 가깝기때문에 양산으로 많이 놀러가는 경우도 있다.지하철 타면 한 번에 바로 데려다주는데 버스타고 환승까지 해 가면서 멀리 가는 사람이 몇 있을까
3 역 주변 지역
동원역과 마찬가지로 낙동강변에 붙어 있으며 서쪽으로는 경부선 철도, 동쪽으로는 금곡대로가 나 있다. 금곡로를 사이에 두고 금곡주공아파트 1단지와 한솔아파트가 있다. 금곡주공단지 끝부분에 역사가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배후인구가 동원역보다는 많아서 그나마 낫지만 승하차 인원으로 따지면 안습을 달리는 건 마찬가지. 정확히 말하면 두 역 모두 거리가 먼 어중간한 거주지가 많아서, 양 역 중 어느 역을 탈지 고민하다가 버스를 타는 경우가 많다.
인근 아파트 옥상은 낙동강과 경부선 철도, 도시철도 고가가 나란히 붙어있는 모습을 찍을 수 있는 철도 동호인들의 성지 중 하나. 하지만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생기면서 썩 좋은 풍경이 나오지 않는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438명 | 2,690명 | 2,566명 | 2,583명 | 2,611명 | 2,450명 | 2,159명 | 2,163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191명 | 2,356명 | 2,494명 | 2,484명 | 2,570명 | 2,655명 |
- ↑ 21세기 들어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건축상 이 형식을 남발해서 까이고 있긴 하지만 이 경우는 20세기 1990년대 말에 건축되었다!
- ↑ 이 구간은 금곡대로 구간으로 차량이 쌩쌩 지나다니는 구간이기때문에 횡단보도를 만들게 되면 교통혼잡이 우려된다.
- ↑ 4번·5번 출입구는 역사 양 끝 부분에 있다.
- ↑ 이전에는 반대편에서 금곡역으로 오려면 지하보도를 이용하여 건너와야 했다. 금곡역 옆에 있는 금곡대로가 넓고 차들이 쌩쌩 달리는 구간이라 그런지 횡단보도가 아예 없다.
- ↑ 정 반대편 열차를 타고 싶으면 이 출입구를 이용해 탑승하여 바로 다음 역인 호포역으로 이동해 장산행 열차로 바로 갈아탈 수 있다. 호포역은 섬식 승강장이며 기관사분들이 승무 교대를 위해 열차가 정차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동시에 도착할 경우 바로 반대편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이 방식은 교통카드 이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방법.
- ↑ 문제는 호포역까지 거리가 1.5km로 꽤 길며 급구배 구간이라 표정속도 제한이 걸려서 상당히 느리게 운행한다.
호포까지 가서 되돌아오는 시간이나 그냥 기존 방법대로 이용하는 시간이나 거의 엇비슷하다는게 함정그래도 얼마 안 걷는 게 어디야.. - ↑ 안타깝게도 개찰구로 인하여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하기때문이다. 개찰구를 부분횡단이 가능하게 위치를 변경하면 6번 출구로 양산 방면 승강장으로 간 다음 계단을 이용하여 바로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을텐데..
- ↑ 같은 북구인 화명이나 덕천, 구포쪽은 그나마 괜찮지만 서면, 동래, 경성대, 해운대, 남포동, 하단같은 경우는 매우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