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클라리넷

관악기
목관악기플루트 · 피페 · 트라베르소 · 피콜로 · 오보에 · 코랑글레 · 오보에 다모레 · 두둑 · 클라리넷 · 피콜로클라리넷 · 베이스클라리넷 · 바순 · 콘트라바순 · 색소폰 · 리코더 · 백파이프 · 틴 휘슬 · 오카리나 · 대금 · 중금 · 태평소 · 소금· 피리 · 퉁소 · 단소 · 생황 ·
금관악기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튜바 · 코넷 · 유포니움 · 오피클라이드마우스피스
Free Reed멜로디카 · 하모니카
타관악기오르간(파이프오르간)
기타카주

영어: Bass Clarinet, 독일어: Bassklarinette, 프랑스어: Clarinette basse, 이탈리아어: Clarinetto basso

클라리넷족의 목관악기. 이름 그대로 저음역을 연주하도록 특화된 파생악기다. 클라리넷 자체가 비교적 늦게 등장한 악기고, 이 악기는 그보다도 더 늦게 나온 악기라 아직도 개량이나 개조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조악기고, Bb조 악기가 가장 많이 쓰인다. 음역상 낮은음자리표에 많이 기보하는데, 콘트라베이스와 마찬가지로 음역이 낮은 편이라 연주되는 음보다 장9도 높여서 악보를 그린다.[1] 단, 이것은 20세기 중반 이후 보편화된 프랑스식 기보법이고,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는 20세기 전까지만 해도 장9도 높이지 않고 장2도 낮추는 식으로 다른 기보법을 적용했다. 만약 연주자들이 이러한 배경 지식을 모른다면 대략 난감. (물론 음대에서는 클라리넷 전공생들에게 필히 가르쳐준다.)

악기 모양도 클라리넷보다 훨씬 크고, 기본적인 몸통은 흑단 같은 나무로 만들지만 소리가 나오는 끝부분은 색소폰처럼 크게 구부린 금속제 나팔로 만들어져 있다. 부는 부분도 나무관 끝에서부터 구부러진 금속관이 튀어나와 있고, 이 금속관 끝에 홑리드를 감은 마우스피스를 끼우고 연주한다. 원체 악기가 큰 관계로 앉아서 연주할 때는 무대 바닥에 고정시키는 막대를 달거나, 악기 몸통에 끈을 달아 목에 걸고 연주한다.

기본적인 연주법은 클라리넷과 비슷하지만, 악기가 커진 관계로 훨씬 많은 호흡을 요구한다. 음역은 실음 기준으로 낮은음자리표 보표 밑의 내림나 음에서부터 약 3옥타브 반 정도. 물론 숙련된 연주자들은 4옥타브 혹은 그 이상까지도 낸다. 윤이상의 클라리넷 협주곡에서 독주 클라리네티스트가 중간에 베이스클라리넷으로 악기를 바꾸는데, 거의 클라리넷 음역까지 다다르는 미칠듯한 악구를 연주하는 부분이 종종 나온다.

늦게 나온 악기인 만큼, 주로 낭만 시대의 곡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차이콥스키의 발레 '호두까기 인형' 이나 바그너의 오페라 '신들의 황혼', 쇼스타코비치교향곡 제6번 1악장 등에서 이 악기의 솔로를 들을 수 있다. 사실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기회는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비창' 1악장일 것이다. 원래 이곡에는 베이스클라리넷이 없지만 음색상의 이유로 대부분의 연주에서 베이스클라리넷이 몇 소절을 연주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말러 교향곡에서 자주 사용된다. 대중음악 분야에서는 핑크 팬더의 테마를 연주하는 악기로서 유명한 듯.[2] 드물기는 하지만 재즈에서도 색소폰 주자가 이 악기를 연주하기도 한다.

악기 값은 꽤 비싸다. 그리고 악세사리 악기 취급되는 만큼 인지도도 낮은 편. 하지만 어느 정도 유력한 위치에 있는 클라리네티스트들은 이 악기를 필히 구해서 지참한다. 콘서트 밴드에서도 필수 악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력 관현악단에서도 아예 베이스클라리넷 전담 클라리네티스트들을 별도로 기용하고 있다.[3]

  1. 낮은음자리표의 다(C)음을 불면 장9도 낮은 내림나(Bb)가 나온다.
  2. 영화음악과 경음악의 대가 헨리 맨시니가 작곡했다.
  3. 대표적으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같은 악단들. 베이스클라리넷 말고도 피콜로코랑글레, 콘트라바순 등 다른 파생악기들에 별도의 주자를 기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