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간

관악기
목관악기플루트 · 피페 · 트라베르소 · 피콜로 · 오보에 · 코랑글레 · 오보에 다모레 · 두둑 · 클라리넷 · 피콜로클라리넷 · 베이스클라리넷 · 바순 · 콘트라바순 · 색소폰 · 리코더 · 백파이프 · 틴 휘슬 · 오카리나 · 대금 · 중금 · 태평소 · 소금· 피리 · 퉁소 · 단소 · 생황 ·
금관악기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튜바 · 코넷 · 유포니움 · 오피클라이드마우스피스
Free Reed멜로디카 · 하모니카
타관악기오르간(파이프오르간)
기타카주
타악기
체명악기트라이앵글 · 핸드팬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탐탐/ · 실로폰 · 스틸팬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마림바 · 비브라폰 · 튜블러 벨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핸드벨 · 엠비라 · 윈드차임 · 글라스하모니카 · 글라스하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목어(목탁) · 클라베스 · 기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셰이커 · 카우벨 · 아고고벨 · 클래퍼(슬랩스틱/채찍) · 꽹과리 · · 시스트럼
막명악기팀파니 ·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봉고 · 콩가 · 장구 · 소고 · 태고 · 사물북 · 소리북 · 젬베 · 다르부카 · 카시롤라 · 쿠이카
현명악기피아노 · 심발롬 · 양금 · 하프시코드
기명악기호루라기 · 경적 · 윈드 머신 · 오르간(파이프오르간)


Organ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d단조(Toccata und Fuge BWV. 565)이다. 오르간 독주곡으로 작곡년도는 1709년경.
곡의 앞부분은 누구나 들어봤을 것이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오르간을 위한 트리오 소나타 BWV.525. 연주자는 더그 마샬(D.Marshall).

건반 악기이면서도 파이프나 리드를 진동체로 하는 기명악기(氣鳴樂器)이며 타관악기(打管樂器). 연주 원리가 현악기인 피아노와는 다르게 이쪽은 연주 원리가 관악기이다.

원래는 파이프오르간을 일컫는 말이다. 다만 최근에는 오르간의 종류가 다양해져 전자 오르간, 파이프오르간, 리드 오르간 등으로 세분화해서 부르고 있다.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이지만 악기의 특성상 주법이 피아노 주법과 아주 다르다. 오르간은 음이 일정하게 계속 나오며 누르면 소리가 나고 떼면 소리가 멈춘다. 떼기 전까지는 계속 소리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음을 떼지 않고 이어서 쳐야 턱턱거리지 않는다. 피아노를 잘 치면 오르간에도 금방 익숙해질 수 있지만 연습이 필요하다.

소형 파이프오르간은 2단, 중형은 3단, 대형은 4단 등으로 크기가 커질수록 단 수가 많아진다. 또한 발 부분에도 건반이 있는데 이것은 특수한 신발을 신고 발놀림으로 연주하는 것이다. 리드 오르간의 경우 1단으로 되어 있는 소형 제품이 많다.

일반적으로 많이 치는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곡 중 인벤션, 특히 신포니아는 오르간으로 연주하면 피아노와는 대단히 다른 느낌을 받는다. 멋있다

▲ 개신교 찬송가를 리드 오르간으로 연주하는 모습. 각각 〈나 같은 죄인 살리신〉(Amazing Grace), 〈예수 사랑하심은〉(Jesus Loves Me).

한국에서는 고가인 피아노가 보급되기 이전, 학교 음악실의 반주를 담당하는 역할을 리드 오르간이 주로 맡았다. 오르간이라는 이름과 함께 풍금(風琴)이라는 한자어로도 많이 불렀다. 발로 페달을 밟아 공기를 주입해야 소리가 나는 구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요즘에는 낡은 시골교회 같은 데서도 사용하지 않을만큼 보기 어려워진지 오래됐지만 1990년대까지 국민/초등학교를 다녔다면 피아노를 잘 치는 음악 선생님이 오르간으로 반주를 하거나, 실기시험 때 피아노를 잘 치는 학생들에게 반주를 부탁하는 경우가 심심치 않았다.

다만 초등학생의 힘으로 페달을 밟고, 동시에 무릎을 오른쪽으로 밀어 레버같은 것을 밀며 연주하는건 힘들다. 키도 안맞고.[1] 그래서 가끔 두명이 앉아서 한명은 페달과 레버만 맡고 나머지 한명은 건반만 누르는 경우도 있었다. 페달셔틀

▲ 개신교 찬송가를 하모니엄으로 연주하는 모습. 제목은 〈내 주는 강한 성이요〉(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작곡가가 다름아닌 마르틴 루터이며,[2] 나중에 펠릭스 멘델스존이 자신의 교향곡에서 편곡하기도 했다.

사실 리드오르간이라고 해도 한국, 일본에서 단순하게 변형된 것 말고 제대로 된 것[3]은 2단 건반에 스톱이 달려있는 것도 있고 음색도 들어보면 리드인지 파이프인지 헷갈릴 정도로 정교한 소리를 낸다. 또한 전자오르간이 나오기 전에는 리드오르간에 자그마한(?) 파이프를 달아서 둘 다 쓰는 형태도 있었다.

옥션 중고 장터같은 곳을 보면 10만원 내외에서 거래가 되곤 한다.

오르간 건은 이 파이프들로 이루어진 오르간의 구조를 보고 따온 붙여진 이름이다.

워낙에 소리가 웅장하고 장엄하다보니 최종보스의 상징처럼 여겨져서 최종보스가 연주하거나 최종보스 전용 테마곡에는 꼭 들어간다.악기의 왕라고 불리는 악기이니 아랑전설 보스인 볼프강 크라우저가 파이프 오르간을 연주하고 나루토 질풍전 초중반 최종보스였던 페인의 테마곡 의례에도 오르간 소리가 웅장하게 깔려있다.

구 소련때 만들어진 오르간은 미사일을 쏠수가 있었다.
누구는 인간으로 이걸 만드려고 했다.

  1. 피아노 반주를 무리없이 하는 학생들은 음악에 조예가 깊기 때문에 어차피 실기도 만점에 수렴했을 터이니...그들은 매우 귀찮았을 듯.
  2. 원선율로 추정되는 곡이 있어서 정말 루터가 '작곡'한 게 맞는지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고 한다. 다만, 우리가 익히 아는 선율 자체는 루터가 만든 것이 맞다고.
  3. 하모니엄 혹은 펌프오르간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