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운수

1 개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유일한 노란색 순환버스 노선을 보유한 업체.[1] 그리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 처음으로 일반 차량에도 플라스틱 시트를 쓰는 회사.[2] 공동 예비차를 쓰는 유이한 회사.[3]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2권역에 위치한 회사 중 가장 버스가 많다.[4] 이름이 유사한 서부운수, 중부운수와는 지배 구조상 관계가 없다.[5] 서부운수서울승합이 회사 규모를 줄이며 노선을 나누어 낼 때 생겼고, 북부운수와 중부운수는 서울시영버스에서 민간업자로 넘어오면서 설립되었다.

차고지가 면목4동에 있다 보니 면목동 일대 교통을 거의 다 이 회사가 책임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다.</ref> 경성여객과 달리 본사 내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있으며 2권역 업체중 공영차고지 입주 업체를 빼면 이것도 유일. 노선 대다수[6]가 면목로을 경유하는데다 노선마다 배차간격이 비교적 짧은 편이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개통하기 전 면목동길(지금은 면목로)(사가정역)은 종로만큼이나 혼돈스러웠다.(...)

현재 보유중인 버스는 대다수가 자일대우버스. 1977년 HD160 다수, 1986년 RB520L 3대를 출고한 것 외에는 꾸준히 자일대우버스만 출고했는데, 2000년 혁성운수 53, 54번을 인수할 때 자일대우버스만으로는 제 때에 버스를 투입할 수 없어 하도 급한 나머지 현대자동차에서 버스를 출고한 적도 있다. 하지만 2008년과 2009년 두차례에 걸쳐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로 조기 대차했다.

그러다 서울특별시청에서 2010년 12월 21일자로 남산순환버스에 전기버스[7]를 투입하면서 전차량 대우버스 기록은 깨졌다. 하지만 2011년 5월에도 대우 신차를 투입하는 등 대우버스 사랑은 여전했다. 특히 2008년 이후에 도입된 차량들은 기본적으로 저상버스에서 사용하는 의자랑 동일한 것을 단 채 출고되었으며, 현재 도입된 뉴 BS도 동일하다. 이는 서울 기준으로 하면 유일하다.[8]대신 승차감은 다운

2015년 11월 현대자동차를 출고했으며 272와 2233 노선으로 11월 23일부터 투입한다.신차사진 15년 만에 현대차를 출고하였다. 흠좀무...다만 같은해에 22년만에 대우차를 출고한 회사가 있어서인지... 자동변속기는 에코라이프가 적용됐다.대우빠에겐 충격과 공포

2004년 버스개편 당시 메트로버스에 출자한 회사다.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메트로버스의 최대 주주이고, 북부운수 사장이 메트로버스 사장을 겸임하고 있다.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청계천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했던 여러 회사 중 하나였다.

여담으로 서울 시내버스 업체 중 3색 도색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 중 하나다.[9]

아래 노선들 모두 막차가 0시도 되기전에 회차점을 찍으므로 주의.[10]

매년 10월에 장안동에서 세계거리춤축제 [11]가 열리는데 그때 축제구간 운행하는 버스는 모두 돌아간다. 자세한건 노선 참고[12]

수원여객, 용남고속이 3분요리의 달인이라면 서울에서는 이 회사가 달인이 된다.[13]

2 현황

면목동 본사[14]-02,03,05,272,2112,2211,2230,2233
면목동 1차고지[15]-272,2211,2230
면목동 2차고지[16]-2112, 2233
중랑공영차고지 영업소-262,2311,2312
남산 회차지-02,03,05

3 운행중인 노선

3.1 간선버스

  • 262(중랑공영차고지 - 중랑경찰서 - 양원리 - 면목역 - 전농동 - 제기동 - 종로2~6가 - 서울역 - 원효로 - 여의도환승센터) [17] [18]
  • 272(면목4동 - 상봉역 - 청량리 - 신설동 - 혜화동 - 안국동 - 연세대 - 남가좌동)

3.2 지선버스

  • 2112(면목4동 - 휘경동 - 장안동 - 동대문구청 - 동대문 - 한성대입구 - 성북동)
  • 2211(면목4동 - 장안동 - 장한평역 - 휘경여중고 - 중랑교 - 회기역)[19]
  • 2230(면목4동 - 사가정역 - 중랑구청 - 서일대 - 사가정역 - 전농동 - 청량리)[20]
  • 2233(면목4동 - 장안동 - 전농동 - 동대문 - 청구동 - 옥수동)
  • 2311(신내동 - 중랑구청 - 청량리 - 전농동 - 잠실역 - 문정동)[21]
  • 2312(신내동 - 서울의료원 - 상봉역 - 면목5동 - 구리암사대교,용마터널 - 고덕동 - 강일동) [22]

3.3 순환버스[23]

아래 노선은 모두 한정면허로 운행한다. 단, 03번 차량 2대는 일반면허이다. 추가로 일부 노선에서 임시, 정규 운행중인 차량은 전부 일반면허다.

  • 02(남산 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한옥마을 - 동국대학교 - 남산 서울타워)[24]
  • 03(남산 서울타워 - 서울스퀘어 - 남산3호터널 - 이태원 - 약수동 - 동국대학교 - 남산 서울타워)
  • 05(남산 서울타워 - 남대문시장 - 명동 - 충무로 - 신당역 - 약수동 - 동국대학교 - 남산 서울타워)

3.4 폐선된 노선[25]

  • 01(탄천주차장 - 삼성역)
  • 2011(면목4동 - 동대문) - 구 155번의 동대문운동장역 - 옥수동 구간을 붙여서 2233번이 되었다.
  • 2111(면목4동 - 상월곡동)
  • 2212(면목4동 - 회기역)- 2211의 하위호환 노선
  • 2213(면목4동 - 신설동역) - 구 402번의 존치 노선이었으나 신설 예정이었던 1214번의 동대문 - 성북동 구간과 합쳐 2112번이 되었다.(동대문 - 옥수동 구간은 구 143-1번의 연장 노선인 0212번(현 7212번)으로 들어갔다.)
  • 2217(신내동 - 건대입구)
  • 3215(문정동 - 청량리) - 노선 자체는 면목4동에서 청량리까지 갔다가 잠실대교 건너 문정동에서 회차 후 다시 면목동차고지로 오는 노선이었으나 2013년 9월 26일자로 2311번으로 노선 변경과 동시에 중랑차고지로 시점으로 변경하였다.
  • 8002(서울역 - 남산N타워)
  • 8223(회기역 - 장한평역)
  • 8272(신설동역 - 사천교) - 노선 자체는 272와 동일했으나 신설동역 일대를 2회 경유한 것이 차이점이었다.
  • 8361(강일동 - 여의도) - 서울승합, 메트로버스와 공동배차했다.
  1. 8663도 있지만 이는 인기상 순환버스일뿐 노란도색은 사용하지 않았다. 과거에는 태진운수, 대원교통 등도 있었으나 노선 통합 및 마을버스로 전환되었다.
  2. 2번째는 동아운수로 153번에 신규차랑을 투입할 때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했다.
  3. 서울승합에도 있다. 근데 이 회사는 노란 버스 까지 운행하니 파랑이 노랑에 있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노랑버스에서 정작 진짜 노랑버스는 2대.
  4. 대원여객이 노선 트레이드를 통해 2권역 출발 노선을 없애면서 북부운수가 차량대수 1위가 되었다. 사실 대원여객이 있던 시절에도 2권역 기점 노선만 따지면 북부운수가 1위였다.
  5. 과거에는 남부운수와 동부운수도 있었다.
  6. 남산순환버스, 2312 제외.
  7. 한국화이바에서 제작한 한국형 저상 전기버스.(가스차도 있다. 그나마 가스차는 사정이 나은 편) 다만 여러 문제가 많아 임시로 타 노선에서 운행하는 차량으로 대체 투입중에 있다.(272와 2211에 있는 예비차를 주로 투입하고 있다.)
  8. 다른 업체로는 메트로버스가 있었다. 다만 지금은 현대차 위주라 제외.
  9. 노란색순환버스가 해당. 이 외에는 대원교통이 있으며 태진운수 순환은 13년 10월 1일로 마을버스로 변경. 대원교통은 순환버스라하고 지선버스로 불렀고, 2015년 2월경 242번 신설을 위해 41번이 폐선되었다. 이로 인해 사실상 북부운수가 유일한 순환버스 보유 업체가 된다.
  10. 이렇게 말해놓고 모든 노선이 0시전에 회차점을 찍는건 지못미
  11. 상상하지 말자. 그런 거 아니다.
  12. 하필 돌아가는 노선도 장안동 뺑뺑이 삼총사다.
  13. 남산에서 10분만 있어도 답이 나온다. 시티투어+관광버스+주박/대기버스=헬파티. 그냥 파랑, 초록 상관없이 휴차면 그냥 끼우고 원정 보내는 우리의 북부운수. 그래서 동대문구 사는 사람이 남산에서 땅콩버스 탈 줄 알았는데 팬더가 와서 욕을 했다는 썰까지.
  14. 남산순환버스는 주박과 차량 정비만 면목동에서 한다. 실질적 기종점은 남산타워
  15. 가스충전소와 본사 건물, 정비소 있는 차고지
  16. 옆에 딸린 조그만한 예비차고지. 가끔 272번이나 다른 노선들과 고장난 전기버스가 있는 곳이다.
  17. 메트로버스와 공동배차
  18. 여의도나 상봉역으로 빨리 가고 싶으면 메트로버스 260번을 이용하자. 물론 여의도 구간에서 조심하자.
  19. 이전에는 장한평역 - 회기역 순환으로 다녔다. 즉 아웃중랑 노선. 항목 참고
  20. 2013년 9월 26일자로 기점 변경. 아래 2311도 동일
  21. 청량리역을 두번 경유한다. 하지만 운행방향에 따라 경유 순서가 달라진다. 자세한건 게시물에서 참고하라.
  22.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서울승합과 공동배차
  23. 해당 노선들은 남산경로에서 사고가 나거나 폭설시 운행 자체를 못한다. 그리고 주말 및 공휴일에는 2211번의 운휴 차량(전광판이 있는 차량)을 통해 증회 은행 중이다.
  24. 같은 구간을 2번 순환한다.
  25. 이중 2011과 2213, 2218은 개편 전에 계획된 노선일뿐 시행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