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간선버스(서울)
서울특별시 2권역 간선버스 | |||||||
201 | 202 | 240 | 241 | 242 | 260† | 261 | 262†§ |
270† | 271 | 272 | 273† | ||||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
메트로버스 소속 차량. 현재 타요 버스 랩핑이 제거된 후 운행중이다.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62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1동(중랑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여의도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5:29 |
막차 | 22:15 | 막차 | 23:51 | ||
평일배차 | 6~10분 | 주말배차 | 토요일 7~11분/일.공휴일 8~12분 | ||
운수사명 | 메트로버스, 북부운수 | 인가대수 | 39대(북부 29, 메트로 10. 예비북부 2, 예비메트로 1.)[1] | ||
노선 | 중랑공영차고지 - 우디안아파트 - 중랑경찰서 - 신내역(1번 출구) - 양원리 - 양원역입구 - 망우동고개 - 망우역, 상봉터미널 - 상봉역 - 사가정역 - 면목두산아파트4~5단지 - 장평교 - 촬영소사거리 - 전농우체국 - 동대문중학교 - 성바오로병원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흥인지문 - 종로2~6가 - 북창동, 남대문시장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서부역 - 숙대입구역, 청파동주민센터 - 용산경찰서 - 남정초등학교 - 청암동강변삼성아파트 - 마포대교 → 여의도공원 → 여의나루역 → 시범아파트, 대교아파트 → KBS별관 → 지적공사 → 여의도역 → 여의도환승센터 → 마포대교 → 이후 역순 |
2 개요
북부운수, 메트로버스에서 공동배차로 운영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53번 도시형버스(휘경동 - 영등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장안동 구간을 직선화했으며, 면목4동까지 연장되었다. 번호도 262번으로 바뀌었다.
- 구 139번 도시형버스(문래동 - 면목동)를 대체하기 위해 2004년 10월 22일에 면목역 경유로 바뀌었다.
- 2005년 1월 6일에 면목동 방향만 면목초교 경유로 바뀌었다. 본래 2004년 12월 20일에 변경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여의도버스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2005년 7월 10일에 '영등포 - 여의도' 구간이 단축되었고, '여의도역 → 여의도지하차도 → 국회의사당(U턴) → KBS → 전경련회관 → 여의도역' 구간이 '여의도역 → 여의도지하차도 → 국회의사당 → 여의서로 → 전경련회관 → 여의도환승센터 → 증권거래소 → 여의도역'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5년 7월 19일에 기점이 중랑구민회관에서 중랑공영차고지로 바뀌었다. 또한 '사가정역 - 중랑구민회관' 구간이 '사가정역 - 서일대학 - 망우역 - 양원역 - 중랑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6년 1월 12일에 '망우역 - 사가정역' 구간이 서일대학 경유에서 면목역, 면목천길 경유로 바뀌었다.
- 2008년 1월 21일에 원효대교 경유에서 마포대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1151번(의정부 - 수유역)이 폐선되면서 생긴 잉여차량이 262번에 투입되면서 2010년 5월 17일부터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북부운수 차량 일부는 중형차량이 주력인 2211번과 3215시절 감차로 2대 증차된 2230을 제외한 자사 노선에 증차분으로 투입했다.
- 2014년 1월 16일부터 대원여객 대신 메트로버스가 공동 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 2014년 6월 5일부터 신내3지구(우디안아파트)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4 특징
- 도심으로 나가기 불편한 면목동 주민들에게는 271번, 272번와 더불어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편이다. 다만 중랑공영차고지 근처에서는 되도록이면 안 타는 게 좋은데, 260번을 타면 청량리까지 얼마 안 걸리지만, 이 노선을 타면 청량리까지 10분 더 걸리기 때문. 시간 소모용이 아니라면 타지 않는 게 좋다. 두 노선이 만나는 망우사거리 - 상봉역 기준으로 비교할 때 260번은 여의도까지 직선 구간이나 262번은 면목동, 장안동, 답십리, 전농동을 들러 가기 때문이다.[2]
- 과거에는 현대 에어로 시티도 2008년까지 굴린 적이 있었으나 전부 조기 대차했다. 참고로 이 현대차는 2000년 부도난 혁성운수 노선을 인수 하면서 급하게 출고된 차량이다. 참고로 53번도 본래 혁성운수 소속 노선이었다.[3] 현재 인가대수 40대 중 21대를 저상버스로 굴리고 있는 노선. 그런데 메트로버스와 공배하면서 5년만에 다시 현대차가 들어왔다! 물론 2013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일반/저상). 또 현대차가 들어왔다! 이번에는 이 노선에 있던 구형 BS110CN을 대차하면서 들어온 2대의 저상 차량이다. 참고로 이 차량은 옵션이 좀 다르다.
- 여의도 구간은 루프식으로 회차를 하는데, 마포대교(여의도공원[4]) → 여의나루역 → 여의도중학교 → 시범아파트 · 대교아파트 → 샛강역(KBS별관) → 국토정보공사서울본부 → 여의도역 → 금융감독원 → 여의도환승센터(IFC몰) → LG그룹본사(쌍둥이빌딩) → 마포대교 순으로 회차한다.
- 262번과 272번은 사가정역 ~ 상봉역 구간에서 만나게 되지만 이 두 노선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 272번의 경우 사가정역에서는 상봉역 방향이 도심(남가좌동)행이고, 262번은 중곡동 방향이 도심(종로)행이다. 상봉역에서는 262번이 면목동 방향이 도심(종로)행이고, 272번은 중랑교 방향이 도심(남가좌동)방향이다.
- 이 노선에 투입된 차량 4대가 타요로 랩핑되었는데(2대는 북부운수, 2대는 메트로버스), 이 중 메트로버스 소속의 4298호는 2014년 10월부터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랩핑이 된 차량으로, 273번의 9748호와 더불어 2015년 1월 중순까지 루돌프 타요버스로 운행된다.
- 양원역입구 정류장 인근에 학교가 2~3곳(송곡여고, 송곡고 등)이 있는데, 그 정류장 인근 학교 학생들도 이 노선을 이용한다.[5] 해당구간은 270번도 비슷한 상황.
- 동서울교회 정류장과 양원역입구 정류장 사이를 지나 갈 때, 그 두 정류장 사이에 있는 풍경이 시골 풍경이라서 도심 속 시골을 체험할 수 있다.
- 서울역버스환승센터는 신내동 방향으로 갈때만 정차한다. 여의도 방향으로 갈때는 염천교 쪽으로 빠져서 서울역서부를 거쳐서 가기에 환승센터를 가지를 않는다. 그래도 서울역서부와 공항철도 서울역을 가니 서울역을 가긴 하는 것이다.[6]
- 근데 신설동역에서 여의도 방향으로 가려고 "서울역 가요?" 라고 물어보면 대부분 201번을 타라고 한다.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들어가는게 훨씬 좋지, 서부출구나 공항철도 출구로 들어가서 빙 둘거나 그렇게 가면 은근히 귀찮기 때문이다. 탔다가는 숭례문에서 염천교(칠패로)와 서부역 투어를 하게 되니 신설동에서 서울역을 갈 때는 이 노선 말고 201번이나 421번을 타도록 하자.[7] 아니면 북창동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들어가는 노선을 잡던지, 좀 걸어가서 동묘앞역 정류장에서 103번이나 152번을 타도 좋다.
-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중 유일하게 고속화도로인 강변북로를 경유한다. 해당 구간은 청암동(삼성아파트)에서 마포대교로 넘어가는 구간이다. 마포대교로 넘어가기 위해 원효로에서 청암동으로 진입해 강변북로를 탄다. 지선버스의 경우로는 7016번이 있다. 다만, 원효로3가에서 샛강역까지 직통으로 갈 수 있음에도 청암동으로 빠지기 때문에 이 구간에는 굴곡이 있다. 원효로 직통으로 원효대교를 건너서 여의도로 가고 싶다면, 이 노선 말고 162번이나 503번을 이용하자.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묘앞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종로3가역, 종각역, 서울역, 남영역[8]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설동역, 을지로입구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종로3가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동대문역, 서울역, 숙대입구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종로3가역, 여의나루역, 여의도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신내역, 동묘앞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상봉역, 면목역, 사가정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샛강역, 여의도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양원역, 망우역, 상봉역, 서울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신내역, 망우역, 상봉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역
- 일반 철도역 : 상봉역(ITX-청춘)[9], 서울역 (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신설동역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샛강역
- ↑ 토요일에는 북부 24/메트로 8, 공휴일에는 북부 21/메트로 6대로 운행.
- ↑ 현재는 260번이 신정동에서 여의도까지 단축된 터라 행선 표기는 둘다 비슷하다. 그리고 청량리 청과물 시장과 종로 구간에서 다시 만나는 경우도 동일. 다만 위에 언급한 대로 260번은 차고지 구간과 여의도 회차구간을 제외하면 모 노선처럼 직선 구간이기 때문에 이 곳에서는 오히려 262번이 260번의 지선 비슷하게 보일 수도 있다.
메트로 한정으론 확실하다 - ↑ 혁성운수가 뽑았던 차가 아니다. 혁성은 에어로시티 520 무냉방 차량에다 냉방 초기형 에어로시티를 운행 했었다.
- ↑ 마포대교를 건넌후 우회전 한 후 유턴해서 정차후 여의나루역으로 간다.
- ↑ 실제로 모 위키러가 중랑차고지에서 버스를 타고 어딘가로 가고 있던 중 양원역입구 정류장에서 교복 입은 학생들이 이 버스를 탔다고 했다.(참고로, 그 학생들은 금란시장 내지 상봉역에서 하차했다고 한다.) 해당 학교들은 사립학교들이다.
- ↑ 공항철도 서울역 맞은편 정류장에 정차하는 유일한 버스로, 외화환전을 위해 서울역을 이용하는 경우 환승할인을 통해 왕복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방화중학교 인근에 거주하는 모 위키러는 김포공항역에서 공항철도를 이용하여 서울역 지하2층 국민은행 환전소에서 환전 후, 이 버스를 이용하여 여의도역에서 9호선으로 환승하여 공항시장역에서 하차하였는데, 총 교통비가 1,950원으로, 공항철도 왕복 운임 2,900원 대비 950원을 절약했다고 한다. 여의도나 방화동 인근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이 버스를 지하철이나 공항철도와 환승 연계시 왕복 교통비 절감 효과가 상당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단, 지하철-버스 이용 후 서울역에서 공항철도를 이용하여 되돌아갈 경우에는 여의도역에서 서울서부역을 직통으로 이어 주는 503번이 더 빠르다.
- ↑ 단, 421번은 왕십리와 신당동, 퇴계로 및 북창동으로 돌아서 가므로 실질적으론 동묘앞역에서 103번, 152번, 201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421번 옥수방면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앞두고 퇴계로에 진입하기 때문에 환승센터에 정차할 수 없다.
- ↑ 중랑차고지 방면만 정차
- ↑ 평일 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