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00번대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간선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광역버스순환버스심야버스
폐선 목록
간선지선마을맞춤광역순환
개편 전
0번대100번대200번대300번대400번대500번대
600번대700번대800번대900번대1000번대 이후맞춤버스
마을버스
한정면허 (특수 체계)
공항버스시티투어

목차

1 개요

700번대 버스는 1980년대에 신설된 좌석버스가 여기에 속해 있었는데, 1990년대 이후 좌석버스 번호도 일반버스 번호와 겹치는 번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700번대 외의 좌석버스가 늘었다.[1] 또한 700번대 좌석버스들이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에도 과거 700번대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 예도 많아, 2000년대에 들어서 번호의 차별성이 없어졌다.

2 700 (공항버스)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00.jpg
(출처 : 한국관광공사)
운행구간 : 방화동 - 공항시장 - 김포공항 - 송정역 - 발산역 - 염창동 - 노들길 - 당산역 - 영등포역 - 여의도

좌석버스로 운행되었으나, 서울 지하철 5호선의 개통으로 인해 1999년 9월 30일 폐지되었다.

당시 고급좌석 버스 운행 관련 뉴스

3 700-1 (공항버스) (★)

운행구간 : 방화동 - 방화2단지 - 가양아파트단지 - 염창동 - 노들길 - 당산역 - 영등포역

700번과 같이 좌석버스로 운행되었으나, 5호선 개통으로 인해 수요가 줄면서 2001년에 폐지.

4 703 (안양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03.jpg
출처
운행구간 : 인덕원역 - 관양사거리 - 비산동 - 안양1번가 - 안양역 - 만안초교 - 안양예술공원입구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대로 - 신풍역 - 사러가쇼핑 - 우신초교 - 영등포공원 - 전경련회관 - 한국거래소 - MBC - 여의나루 - 순복음교회 - 서강대교 - 신촌 연세병원 - 신촌로터리

본래 안양 비산동에서 안양1번가, 시흥대로, 여의도, 마포로를 거쳐 광화문까지 가는 좌석버스였으나 1997년 말에 형간전환된 이래 여의도로 단축되었다. 하지만 2000년부터 서강대교를 건너 신촌까지 운행되었고.얼마 못 가 여의도 구간도 kbs별관에서 한국거래소로 변경 및, 기점도 인덕원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103번의 신촌 - 아현동 구간을 이어받아 서울 버스 5713이 되었다.

5 703-1 (안양교통) (★)

운행구간 : 관양동 - 비산동 - 안양1번가 - 안양역 - 만안초교 - 안양예술공원입구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대로 - 신풍역 - 사러가쇼핑 - 우신초교 - 영등포공원 - 전경련회관 - 한국거래소 - MBC - 여의나루 - 순복음교회

1992년경 신설. 1993년경 폐지되었다.

6 704 (유진운수 → 경동교통) (★)

운행구간 : 산본4단지 - 산본공고 - 주공1단지(현 산본레미안A) - 금정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구로공단역 - 보라매공원 - 공군회관 - KBS별관 - 여의나루 - 마포 - 만리동 - 서울역(서부) - 시청 - 광화문 - 삼청동

삼청동에서 광화문으로 단축했으나, 지하철에게 밀려서 결국 1995년 무렵에 폐선.

7 704-1 (유진운수 → 경동교통) (★)

운행구간 : 군포(산본동) - 주공1단지(현 산본레미안A) - 금정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구로공단역 - 보라매공원 - 공군회관 - KBS별관 - 여의나루

1986년경 신설. 1991년경 폐선되었다.

8 710 (대진운수 → 대진여객)

출처

서울 버스 143 항목 참조.
700번대가 좌석버스로 운영되었다고 서술했는데 이 버스는 처음부터 도시형이였다. 1970년대 후반 5번과 유사하게 정릉에서 신촌 방향으로 운행하던 71번 버스가 시초였는데 동사가 운영하던 5번 버스가 '홀수' 번호를 달고 있는 관계로[2] 80년대 초반 71번을 짝수 번호인 710번으로 바꾼 것. 이후 강남 개발에 맞춰 신촌방향 노선을 강남(개포동) 방향 노선으로 변경했다.
이 버스의 좌석 버전은 오히려 16번 번호를 달고 다녔다. 나중에 형간전환 되어 입석 16번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16번 참조) 2004년 개편 이후 이 710번 노선에서 상행 종로/ 하행 청계천로 경유를 왕복 종로로 바꿔 만든 노선이 서울 버스 143이다.
건축학 개론에 등장한 버스이기도 한데, 서울 버스 143문서 참조.

9 712 (승원여객 → 대원여객) (★)

운행구간 : 의정부 가능동 - 구터미널 - 의정부시장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성황당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 미아삼거리역 - 길음역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 혜화동로터리 → 명륜동 → 창경궁 → 동대문역 (이화여대부속병원) → 종로5가역 → 효제동 - 혜화역 (마로니에공원) → 동성중,고등학교 → 한성대입구역

1981년에 신설했다. 12번의 좌석버스 형태였던지라, 12번과 동일한 경로로 종로5가까지 갔다.

이후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1990년대 초에 대원여객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1992년 12월 14일에 인가 일부를 떼어 내 902번 심야좌석버스를 만들었다.

1996년 6월 5일에 902번으로 흡수되었다.

10 716 (한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16.jpg
형간전환 이후의 모습.출처
도시형 16번의 좌석버스였고, 이후 도시형버스로 전환했다. 개편 직전 노선은 번동 - 강남역. 약간의 조정을 거쳐 서울 버스 145로 재탄생했다.

초창기에는 고속터미널까지도 갔던 노선이었다가 이후 서울대공원까지 연장되어 과천시도 경유했던 이력이 있었다.

11 717 (서울여객) (★)

17번 도시형버스의 좌석버스 노선. 17번과 달리 신내검문소를 경유해서 신내8~9단지까지 다녔다.

1997년에 도시형버스로 전환되는 동시에 동대문운동장으로 단축되었으나, 실제로는 운행하지 않다가 1998년 1월에 폐선되었다.

12 718 (보영운수)

출처
운행구간 : 하안동 - 철산동 - 디지털5거리 - 남구로 - 구로역 - 영등포역 - 여의도- 마포 - 충정로 - 염천교 - 청계2가

개편 후 기존 마포대교 경유구간을 대신해 원효대교 - 원효로 - 남대문시장 구간으로 변경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503참조.

13 720 (상진운수 → 한성여객) (★)

운행구간 : 노원교 - 상계주공아파트 - 하계역 - 성북역 - 석계역 - 석관사거리 - 한국외국어대 - 경희대 - 세종기념관 - 경동시장

사상 최악의 형간전환 실패작인 노선 1.
본래는 상진운수에서 운행하던 좌석버스였다. 당시 구간은 월계동(성북역) - 석계역 - 석관사거리 - 한국외국어대 - 경희대 - 세종기념관 - 제기동 - 종로 - 충정로역 - 마포 - 여의도. 이후 한성여객으로 이관되어 노원교 - 월계동 구간이 연장되어 잘 다니다가 2000년 민락동 아파트단지 조성에 의한 대중교통 확충 대책에 의거, 민락동으로 연장을 시도했으나 지역업체의 반발로 무산,(민락동 연장이 이루어졌을경우에 BH116이나 에어로 스페이스 LS 등 고급좌석형 차량으로 전부 교체하려고 했었다고 한다.) 이후 건설교통부 중재로 신곡1동까지 절충하여 한성여객에서 순환형 410-1번이라는 별도의 노선으로 개통하게된다.(얼마 후 720-1번으로 번호만 변경.) 이후 2001년 5월 21일에 도시형버스로 전환하여 다녔으나, 적은 댓수로 무리하게 다니다가 2001년 9월 10일에는 결국 제기동 - 여의도 구간이 단축되어 도시형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기존 좌석형 차량을 개조만 한 채로 그대로 운행하는 등 파행 운행을 하다가 2002년 6월 20일 폐선되었다.

차량은 88~90년식 AM927, 90~91년식 BS105, 93~94년식 하이파워, 수원 삼성여객 좌석 700번, 720번 출신 94~96년식 하이파워로 운행하였다.

당시 여의도 회차경로는 여의도 순복음교회, 국회, 여의도 종합상가, kbs별관, 63빌딩, 여의나루 구간을 루프식 회차였다가 반대로 변경하여 여의나루,63빌딩, kbs별관, 여의도종합상가, 국회, 여의도 순복음교회 루프식으로 돌고 마포대교에서 원위치 하고 돌아갔다.

14 720-1 (한성여객)

출처
운행구간 : 상계주공7단지 - 노원역 - 마들역 - 수락산역 - 장암역 - 장암아파트단지 - 신곡1동

20-3번과 달리 한성여객에서 410-1번으로 신설한 노선이었다. 얼마 후 720-1번으로 변경, 개편직전까지 96년식 코스모스랑 720번 출신 94년식 하이파워 좌개차, 흥안운수에서 사용하던 99년식 에어로시티 540SL로 운행하였다. 개편 후 1153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이후 1154번에 흡수되었다. 노원방향 1154가 동일로(의정부시 구간)을 타고가다가 갑자기 장암동을 돌아나오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15 725 (상원여객 → 동양교통 → 동남교통 → 동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25.jpg
출처
운행구간 : 우이성원A - 올림픽웨딩프라자 - 서라벌중 - 덕성여대 - 4.19국립묘지입구 - 장미원 - 가오리 - 우이초교 - 화계사입구 - 한빛맹아학교입구 - 삼양시장앞 - 삼양초교 - 주택은행삼양동지점 - 삼양사거리 - 미아초교 -소방서고개앞 - 미아리고개 - 돈암초교 - 외환은행삼선교지점 - 혜화동로타리 - 창경궁(성대입구) - 창경궁 - 원남동 - 롯데백화점 - 서울역 - 갈월동 - 전쟁기념관후문 - 용산역 - 중대부속병원, 웨딩코리아 - 한강대교 - 사육신공원 - 동작구청 - 아이리스프라자 - 상도2동파출소 - 신상도초교

본래 좌석버스였다가 형간전환한 노선으로 좌석버스 시절 운행업체가 여러 차례 바뀐 이력이 있다. 2004년 대개편 때 폐선.
여담이지만 84번 버스와 함께 동아운수의 간판 노선이였으며 지금도 동아운수 고객만족센터 전화번호(080-725-8484)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16 731 (한서교통 → 서울버스 → 한성버스 → 흥안운수) (★)

출처
운행구간 : 상계동(노원교) - 상계주공 1~15단지 - 중/하계동 - 인덕대 - 드림랜드 (현 북서울꿈의숲) - 외대 - 회기시장 - 서울시립대 - 답십리 - 군자교 - 영동대교 - 경기고 - 영동시장 - 고속터미널

원래는 한서교통에서 1979년 10월 1일 서울시 좌석버스 개설에 의해 31번이라는 번호로 신설, 잠실에서 광화문을 잇던 노선이었다. 이후 1982년에 서울버스에 노선 운영권만 넘겨주었으며 방배동 ~ 이문동간을 운행하게 되었다. 1988년 상계동 주공아파트 입주로 인한 대중교통 확충 대책에 의거 이문동 - 중/하계동 - 상계주공 1~15단지 - 수락산 구간이 연장되었으며 상계동 뿐 아니라 특히 주말에 수락산 등산객 수요로도 호황을 누리게되었다. 이후 지역업체의 반발로 1989년 한성버스에 매각하면서 염곡동 - 방배동 - 고속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노원교 기점으로 변경되었다. 서울버스에서 넘겨받은 88년식 RB520이랑 91년식 BS105, 93년식 하이파워 하부냉방, 대성운수, 북부운수, 영동교통, 한성운수에서 중고로 들여온 92~96년식 하이파워로 운행하였다가 2000년 7호선이 완전개통하면서 BH116이나 에어로 스페이스 LS 등 고급좌석형 투입을 고려하고있었으나 역시 무산되었고 7호선 개통 이후에도 중간구간 수요도 짭짤했고 노원구에서 부러운 노선이었다.

그러나 2000년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강남 지역까지 연장되고 일부 노선이 7호선과 겹치게 되어서 수요가 감소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2001년 11월에 부도가 나서 파행운행하다 흥안운수가 인수했지만, 유령노선으로 방치하다 2003년 4월에 폐선.

17 731-1 (한성버스) (★)

운행구간 : 의정부 민락동 - 송산동 - 신곡동 - 장암동 - 장암역 - 수락산역 - 상계주공 1~15단지 - 중/하계동 - 인덕대 - 드림랜드 (현 북서울꿈의숲) - 외대 - 회기시장 - 서울시립대 - 답십리 - 장한평

2000년 민락동 아파트단지 조성으로 인한 대중교통 확충 대책에 의해 신설하려 했으나 지역업체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신설시 BH116이나 에어로 스페이스 LS 등 고급좌석차종을 투입하려고 했었다.

18 732 (영동교통) (★)

운행구간 : 장지동 - 문정시영A - 오금동 - 방이동 - 송파 - 삼전동 - 잠실주공A - 종합운동장 - 강남병원 - 봉은사 - 강남구청 - 논현동 - 압구정동 - 금호역 - 약수역 - 장충체육관 - 충무로역 - 중앙극장 - 무교동 - 종로2가

1994년에 폐지.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있는 차량 6대를 신성교통에 4대, 우신버스에 2대씩 매각하였다. 그리고 남은 차량은 전부 37번에 증차.

19 733 (진화운수) (★)

도시형 33-1번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90년식 RB520, 92년식 에어로시티 520 차량으로 운행하였다. 1995년 9월 폐지. 폐지 이전에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있던 차량들 상당수가 동성교통 906번, 남성교통 736-1번 증차분으로 매각되었다.

20 736 (남성교통)

운행구간 : 성남시(남한산성입구) - 세곡동 - 양재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 - 반포동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동 - 영등포

잘 운행하다가 심야좌석 체계가 생기면서 916번이 되었다. 이후 대개편을 거치면서 9412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동사 구 4423번(구 도시형 36번)과 통합되면서 현재의 462번이 되었다.

21 736-1 (남성교통)

출처

1991년 분당신도시의 개발화에 맞춰서 신설되었던 노선이다.

서울 버스 9408 참조. 개편 때에도 번호만 변경되었을 뿐 잘 운행하고 있었으나, 2014년에 고속화도로 경유 노선 입석금지 조치로 인해 노선이 변경되었다. 소요시간도 약 20~30분 증가.

22 740 (개봉여객 → 광명운수 → 공항버스 → 범일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40.jpg
(출처 : MBC 뉴스데스크)
운행구간 : 광명(노온사동) - 과림동 - 광명네거리 - 개봉역 - 동양공전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여의도 - 원효로 - 서부역 → 남대문시장 → 신세계 → 이하 역순

사상 최악의 형간전환 실패 노선 2.

1981년에 신설된 좌석노선으로 원효대교를 이용하여 광명시와 신세계를 연결하던 노선이었다.
2000년 광명운수(구 개봉여객)가 퇴출되면서 뜬금없이공항버스가 이어받았고, 얼마 후 바로 범일운수로 인계되었다. 광명운수의 본거지와 멀리 떨어진 공항버스가 인수한 것이 의문이었는데 곧바로 제자리를 찾은 셈. 원래 15대로 노온사동 - 신세계간을 운행하던 좌석버스였으나 공항버스로부터 넘겨 받은 후 번뜩거리는 신차와 과감한 형간전환으로 승객을 모아보려 한 것까지는 괜찮았다.
하지만 형간전환 후 무리한 증차를 시도했는데 이 증차가 노선폐선의 화근이었다. 증차를 했는데 승객은 늘지 않았고 대당 수입금이 떨어지니 다시 감차를 했는데 잘 오던 노선이 갑자기 안 오기 시작하니 당연히 승객들이 외면했다. 그러다가 결국 2001년 2월 19일 폐지되었고 이 때 생긴 잉여차량 중 다수가 한성운수, 화곡교통으로 팔려나갔다.

범일운수에서는 753번의 형간전환 실패에 이어 740번 형간전환 실패로 형간전환의 운이 없는 업체였지만 후에 56번의 형간전환 성공으로 그 맥을 끊게 되었다.

23 740-1 (좌석) (개봉여객 → 광명운수) (★)

운행구간 : 광명(광명7동) - 광명사거리 - 개봉동 - 신도림역 - 영등포 - 여의도 - 순복음교회(회차)

1991년에 신설된 좌석노선으로 여의도와 광명시를 오가는 노선이었다. 이후 신세계로 연장되면서 740번과 노선이 많이 겹치게 되었고, 결국 1995년경에 740번에 흡수되었다.

24 745 (태릉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45.jpg
운행구간 : 남양주(청학리) - 불암동 - 태릉 - 중화동 - 청량리역 - 신설동 - 동대문 - 종로 - 후암동

1981년에 신설되었고, 태릉 이후부터는 45번과 똑같이 후암동까지 운행하였다. 관련 게시물

1997년에 도시형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45-1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 문서의 45-1번 항목을 참조.

25 748 (동해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48.jpg
운행구간 : 원릉역 - 원당 - 고양시청 - 화정지구 - 화정역 - 고양경찰서 - 능곡역 - 행신지구 - 가라뫼 - 항공대 - 수색역 - 모래내 - 연희104고지 - 연대앞 → 명물거리 → 충정로역 → 서소문 → 경찰청 → 서울역 → 시청 → 광화문 → 사직동 → 연대앞 → 이하 역순

동사 148번의 좌석형 노선으로, 1988년에 신설되었다.

일산신도시 조성으로 원당-광화문(적색), 일산신도시 - 광화문(청색)으로 분리운행했으며 이후 1994년에 심야좌석이 생기면서 748번 적색노선은 915번, 748번 청색노선은 915-1번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개편을 거치면서 9706 → 700번, 9713번 → 771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0, 서울 버스 771 문서를 참조.

26 750 (신인운수) (★)

1981년 신설, 1990년식 RB520으로 운행, 도시형 150번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2년 12월 폐지, 이후 남은 잉여차량으로 905번에 투입, 세풍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을 개시하였다.

27 753 (남부운수 → 범일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53.jpg
좌석노선으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운행구간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구로공단역 - 신길로 - 여의도광장 - 마포역 → 마포경찰서 → 미동초교 → 광화문 → 종각 → 미도파 → 서울역(숭례문) → 만리동 → 공덕시장 → 마포역 → 이하 역순

사상 최악의 형간전환 실패작인 노선 3.

좌석버스로 운행할 때는 나름대로 흥하던 노선이었지만, 범일운수에 인수된 후 도시형으로 형간전환되었다.
그리고 여러 노선 변경 및 소하동으로 연장, 도심 회차지를 서소문으로 변경했다가 수요 감소로 인해 2000년 10월 초에 폐지되었다. 이때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있던 차량중 상당수가 송파상운, 현대교통으로 팔려나갔으며 극히 일부차량에 한하여 124번에 에어로시티 540SL 3단박스 냉방개조차량 대차분으로 투입하였다.

28 755 (창진상운 → 부흥교통 → 진화운수 )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55.jpg
BH116[3]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55a.jpg
스카니아 굴절버스

운행구간 : 구리시(토평동) - 구리여중고 - 구리보건소 - 돌다리 - 교문4거리 - 딸기원 - 망우리 - 중화동 - 위생병원 - 청량리 - 용두동 - 종로2~6가 - 롯데백화점 - 남대문시장 - 서울역

눈치가 빠르면 알겠지만 앞에서 서술한 도시형 55번 노선과 55-2번 노선을 합체한 듯한 노선을 가진 초 장거리 노선이다. 구리시에서 봉천동까지 운행했던 55번의 좌석형 노선이었으나 너무 긴 운행거리로 인해 도시형은 55번과 55-2번(뒤에 한남운수에 매각)으로 분할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대학교까지 연장된 적이 있었으나 2001년부터 한강 이남 구간이 잘려져서 서울역까지 단축되어 강북권 전용 노선이 되었고 퇴계로 구간이 남대문로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여담으로, 1980년대에 굴절버스를 운행하기도 하였다. 이 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굴절버스 항목 참조.

29 756 (신흥교통)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56.jpg
(출처 : 서울시)

도시형 56번의 좌석 노선. 초기에는 이촌동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이후 효창동으로 연장되었다.

91년식 RB520이랑 92년식 에어로시티 520 하부냉방 차량으로 운행, 1995년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있던 차량 일부를 신성교통 907번 증차분으로 매각, 1996년에 폐지.

30 757 (신성교통) (★)

운행구간(1차) : 원릉역 - 원당주공A - 리스쇼핑 - 성사동 - 원흥동 - 삼송동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경찰청 - 서울역(숭례문) - 미도파(을지로입구) - 조계사 - 광화문 - 서울역사박물관 - 영천시장 - 이후 역순

운행구간(2차) : 고양동(벽제묘지) - 정자상회 - 고양시장 - 벽제역 - 시립장재장 - 삼송역 - 이후 위와 동일.

1981년 157번의 동일노선 좌석형노선으로 개통, 초창기에는 삼송동 ~ 서울역간을 운행하였으나 1985년 원당주공아파트 입주로 인한 대중교통 확충 대책에 의거 원릉역으로 연장되었다. 이때 157번에서 일부 분리하여 원릉역으로 연장하면서 157-1번을 신설하기도 하였다. 이시기부터 757번은 도시형 157-1번의 좌석형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며 3호선이 구파발. 지축까지 다니던 시절에는 초 황금기를 지냈으며, 3호선이 일산까지 개통되었어도, 1997년 12월 IMF 외환위기가 다가왔어도 원당주공아파트 주민들덕에 수요는 나름 폭발적이었으나 1999년 이후 원당주공아파트의 재건축 소문이 나돌기 시작하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 이주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하더니, 2001년 2월에 고양동으로 변경했지만, 수요는 제자리걸음에다 이미 158-3번을 분리해서 158-1번을 신설하여 다니는 마당에 외면은 더 당하면서 좌석이라 요금차이가 나는 등의 적자로 다니다가 3개월 뒤에 폐지하였으며 757번 인가댓수의 90%를 슈퍼 에어로시티 신차로 대차하면서 전부 158-1번, 158-3번에 증차하였다. 동시에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있던 1995년식 에어로시티 540 좌석형 차량들이 전부 파주 신성교통 909번에 투입되었다가 2005년에 대차되었다.

31 759 (한성교통) (★)

운행구간 : 남가좌동 - 명지대 → 연희동(자양동행 한정) → 서대문구청 - 홍은동 - 자하문 - 경복궁역 - 종로 - 신설동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동 - 건대입구역 - 자양동

59번과 동일한 좌석노선이었으며, 91년식 하이파워 하부냉방 차량으로 주로 운행하였다. 1993년에 폐선되었다.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 있던 차량들과 차적들이 전부 대성운수 909번, 남성교통 736-1번 증차분으로 매각되었다.

32 760 (공항리무진)

출처
운행구간 : 김포공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염창동 - 선유도입구 - 노들길 - 흑석동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교보타워사거리 → 고속터미널 → 이하 역순

공항버스 600번의 단축노선 개념으로 고속터미널까지만 운행되던 노선이다. 원래 1990년대에는 청계천6가(동대문시장, 중간 경유지 미상)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며, 당시에는 600-2번으로 운행이 되었다. 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 사이에 600-1번이 폐선되고 600-2번의 번호가 600-1번으로 변경되었다.
공항버스 600-1번으로 운행되던 노선을 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760번으로 번호를 바꾸어 운행하였다. 당초 반포구간은 흑석동 → 국립현충원 → 팔래스호텔 → 고속터미널 → 구반포 → 흑석동으로 일방 회차하였으나, 760번으로 형간전환이 되면서 논현역으로 연장이 되었다.
2004년 대개편 때 폐선되었고, 공항리무진은 643번을 운행하려고 하였으나, 개편 직전 일반 시내버스의 운영을 포기한다. 하지만, 대개편 때 신설된 서울 버스 642가 이 노선을 대체하게 되었다.[4] 다만, 현재는 노들로로 들어가지 않는 중.

2001년 12월 3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는 심야전용버스로도 운행하였다. (0:30~1:00까지 2회 운행) 경로는 주간과 동일했으며, 요금 또한 1300원으로 동일하였다.

33 765 (금성교통 → 대원교통)

출처
운행구간 : 가평군(대성리) - 마석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현대코아)

1981년 165번의 동일노선 좌석형 노선으로 개통, 이후 호평동, 마석시내, 구암리, 대성리 순으로 연장, 2004년 대개편 때 9205번에 변경되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203번으로 형간전환 후 폐선. 현재는 남양주 버스 65가 그 역할을 대신해주고 있다.

2001년 12월 3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는 심야전용버스로도 운행하였다.(0:00~1:00까지 3회 운행) 경로는 주간과 동일했으며, 요금 또한 1300원으로 동일하였다.

34 765-1 (금성교통 → 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65-1.jpg
출처
운행구간 : 남양주(차산리)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현대코아)

1998년 개통, 남양주시 최초로 BH116을 투입한 노선이다. 2004년 대개편 때 9201번에 변경되었지만 중복노선이 많아서 11개월뒤에 9205번으로 흡수되었다. 하지만, 이 마저도 폐선. 현재는 위와 같이 남양주 버스 65가 그 역할을 대신해주고 있다.

35 768 (한서교통) (★)

운행구간 : 거여동 - 문정동 - 가락시장 - 송파 - 배명중.고교 - 잠실주공A - 종합운동장 - 삼성역 - 휘문고 - 대치동 - 역삼시장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영동4거리 - 고속터미널 - 신/구반포 - 국립묘지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역 - 여의도

도시형 68번과 같은 경로로 운행했던 노선. 90년식 BS105랑 92년식 하이파워 좌석형 차량이 주로 운행하던 노선. 이후 68번이 국립묘지로 단축되면서 이후로 대체노선으로 운행했으나 1996년에 폐선되었다. 이 버스를 마지막으로 이후 노량진 - 여의도 버스 운행구간이 단절되었는데 2004년 간선 360번이 8년만에 이 노선을 계승하였다.

36 771 (신촌교통) (★)

운행구간 : 탄현동(일신자동차학원) - 홀트 - 탄현5단지 - 현산초등학교 - 일신자동차학원 - 중산사거리 - 중산중학교 - 중산마을입구 - 왕국회관 - 마두1동사무소 - 이마트 - 백신중학교 - 백석역 - 화정역 - 능곡병원 - 능곡전화국 - 행주산성입구 - 자유로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서강대 → 신촌로터리 → 이하 역순

탄현/중산지구가 개발되자 1994년 7월 1일에 기존 47번 좌석버스를 폐선하고 만든 노선이다.

1996년에 서울시 심야좌석 정책에 따라 번호가 921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00번대 문서에서 921번 항목을 참조.

37 772 (신촌교통)

출처
운행구간 (1-1기) : 덕은동 - 국방대학교 - 대덕동사무소 - 수색역 - 모래내 - 성산회관 - 동교동로터리 - 신촌로타리 - 서강대 - 공덕역 - 효창사거리 - 용산구청 - 삼각지역 - 해방촌입구 - 한강중학교 - 고속버스터미널 - 영동시장 - 논현동 - 관세청 - 신세계백화점 - 강남세무서 - 진흥아파트 - 경기고교 - 종합전시장 - 종합운동장 - 신천역 - 잠실역 (롯데월드) - 석촌동 - 가락시장 → 가락시영아파트 → 석촌동
운행구간 (1-2기) : 덕은동 - 국방대학교 - 대덕동사무소 - 수색역 - 모래내 - 성산회관 - 동교동로터리 - 신촌로타리 - 서강대 - 공덕역 - 효창사거리 - 용산구청 - 삼각지역 - 해방촌입구 - 한강중학교 - 고속버스터미널 - 영동시장 - 논현동 - 관세청 - 신세계백화점 - 강남세무서 - 진흥아파트 - 경기고교 - 종합전시장 - 종합운동장 - 신천역 - 잠실역 (롯데월드)
운행구간 (2기) : 덕은동 - 국방대학교 - 대덕동사무소 - 수색역 - 모래내 - 성산회관 - 동교동로터리 - 신촌로타리 - 서강대 - 공덕역 - 효창사거리 - 용산구청 - 삼각지역 - 해방촌입구 - 한강중학교 - 고속버스터미널 - 영동시장 - 논현동 - 관세청 - 신세계백화점 - 강남세무서 - 진흥아파트 - 경기고교 - 종합전시장

1977년 141번 (1998년 434번에서 변경된 141번과는 전혀 무관.)의 동일노선 좌석형 노선으로 개통, 초창기에는 가락시장까지 운행, 이후 잠실역으로 단축, 1995년 11월 삼성역/종합전시장 으로 단축, 대개편 때 기존의 학동역/청담동 경유를 서초동 - 테헤란로 경유 잠실로 재연장되면서 730번이 되었다. 하지만, 다시 삼성역으로 단축되면서 740번으로 변경. 서울 버스 740 항목 참조.

38 773 (신촌교통) (★)

운행구간 : 덕은동 - 국방대학교 - 대덕동사무소 - 수색역 - 모래내 - 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신촌 - 공덕동 - 이태원 - 한남동 - 신사역 - 경기고등학교 - 삼성역 - 은마아파트 - 일원동 - 수서역 - 가락시장

1979년 10월 1일 서울시 좌석버스 개설로 인하여 좌석 141-1번의 동일노선 좌석형 노선으로 개통, 73번이라는 번호를 부여받았다. 1980년경 773번으로 변경하였으며 6호선 개통 후 수요가 감소하면서, 2001년에 폐선되었다.

39 774 (신진운수) (★)

운행구간 : 수서역 - 일원동 - 대청역 - 개포동 - 도곡동 - 개나리아파트 - 영동전화국 - 관세청 - 압구정동 - 금호동 - 약수동 - 장충체육관 - 을지로 - 롯데백화점 - 서울역

1981년 개통, 74-1번 (개통당시 74번)과 동일한 형태의 좌석형노선이었으며 초창기에는 BF101을 운행하였다가, 이후 BS105 91년식 하부냉방 차량과 92년식 하이파워 하부냉방/상부냉방 차량이 주로 운행하였다. 1998년 7월 1일 폐지되었다. 이후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 있던 차량중 상당수가 도시형 83-1번, 순환 414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으며 83-1번 투입분은 전량 중간문을 뚫어서 투입하였다.

40 779 (남산운수 → 신진운수) (★)

운행구간 : 대치동 - 도곡동 - 선릉역 - 논현동 - 신사역 - 남산1호터널 - 중앙극장 - 무교동

79번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한 좌석노선이었다.

41 797 (삼원여객 → 우신버스)

1982년의 모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97.jpg
출처

서울역고가 삼각지 방면 램프가 철거됨에 따라 2004년 2월 28일부터 '서울역고가 - 중림동삼거리 - 염천교 - 서울역'으로 우회하게 되었다. 우신버스 공지사항

대개편 때는 9502번 광역버스가 되었으며, 이후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502번이 되었다.

42 797-1 (삼원여객) (★)

운행구간 : 의왕시 (고천) - 호계신사거리 - 민백마을 - 오뚜기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과천역 - 남태령역 - 사당역 - 이수교

1992년경 797번의 단축형 노선으로 신설, 이후 얼마 못가 폐지.

43 798 (안남운수 → 군포교통 → 과천여객 → 우신버스) (★)

운행 구간 : 군포(당동) - 금정역 - 안양1번가(청)/비산동(적) - 석수역 - 시흥동 - 독산동코카콜라 - 구로공단역 - 대방역 - 노량진 - 흑석동 - 국립묘지 - 반포 - 고속터미널 - 뉴코아

1990년에 비산동과 1번가로 분리운행을 시작하였다. 적색 노선은 90-1번에 통합되었고, 청색 노선은 1991년에 폐지되었다.

이전 문서로
(600번대)
다음 문서로
(800번대)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게다가 노선 또한 거의 같았기 때문에, 변칙적인 요금인상 시비에 휘말렸다.
  2. 1980년대 초반 혼잡한 종로 구간을 홀수 번호는 1,3,5가, 짝수 번호는 2,4,6가에만 정차하는 정책을 취하려고 했었다. 실제로 시행은 좀 변형되어 동일 번호에서 적색과 청색을 만들어 정류장을 구분했었다. 이른바 적청제.
  3. 이 BH116 고급좌석형은 무려 ZF 전자식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이었는데 755번 폐지와 동시에 태진운수 30번 좌석노선에 중고로 매각했으며, 간선 362번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감차 후 제부여객의 전신인 제부도 가는 버스에 또 다시 중고로 매각 후 대차.
  4. 그러나 신설 당시 642번은 노들로 직통이 아닌 영등포, 노량진 경유였으며 고속터미널까지만 운행했기 때문에 민원이 빗발쳤고, 결국 동년 7월 27일부로 760번과 동일한 경로로 운행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