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0번대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간선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광역버스순환버스심야버스
폐선 목록
간선지선마을맞춤광역순환
개편 전
0번대100번대200번대300번대400번대500번대
600번대700번대800번대900번대1000번대 이후맞춤버스
마을버스
한정면허 (특수 체계)
공항버스시티투어

1 개요

1970년대 이후에 추가로 신설된 노선들이 이 번대를 배정받았다.

2 300 (서울승합/삼선버스 → 신장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0.jpg
운행구간 : 하일동 - 황산 - 상일초등학교 - 한영고 - 명일동 - 구천면길(적)/암사동(청) - 천호역 - 성내역 - 잠실역 - 잠실운동장 - 봉은사 - 강남구청 - 영동시장 - 고속터미널 - 국립묘지

기점은 현재의 강동공영차고지 건너편이었으며 원래 삼선버스와 공동배차로 운행하던 걸(이 때는 영등포까지 운행하였다.) 1988년경에 전부 인수했다. 이후 나름대로 잘 운행하다가 1996년경 구천면길 경유 적색 노선을 없애고 암사동 경유 청색 노선으로 단일화했으며 회차지 역시 강남구청으로 단축.

그러다가 신장운수가 2001년에 부도나기 전 2000년경에 폐선되었다. 애초에 이 노선부터가 이미 서울승합의 569번과 상당 부분[1] 겹친데다 회사의 다른 노선들마저 KD쪽 노선과 겹치는 경우가 많았던지라 그대로 공중분해되어도 별 상관이 없었다.

3 302 (동남교통)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2.jpg
출처[2]
운행구간 : 망우동(송곡여고) - 중랑교 - 청량리역 - 신설동 - 종로 - 서대문 - 공덕동 - 마포 - 상수동

한 때는 꽤 큰 규모를 자랑하던 업체였지만, 이후 경영에 어려움을 겪으며, 업체부도 시점에서는 361번과 이 노선만이 남아있었다. 청량리 - 서대문 구간에서 경쟁노선인 131번과 134번의 물량공세 및 속도경쟁에 치이는 것도 모자로 진화운수에서 755번 좌석버스가 폐선 후 55번이 755번 노선으로 운행하면서 초토화 되었고 결국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2003년에 업체의 운명과 함께 사라진 노선. 361번은 유성운수에서 인수를 했지만, 302번은 그런 거 없다. 개편 후 신설된 주간선 260번과 가장 일치하고 송곡여고 들어가는 부분은 270번과 유사하다.

폐지 후 522-2번이 마포주차장에서 이 노선의 차고였던 서강대교 북단까지 연장되었고 2번도 구수동 사거리행과 광흥창역(창전동사무소)행이 분리되었다.(2번 관련 내용은 추가 바람)

과거에는 동부제일병원삼거리 앞에 차고지가 있었다. 현재는 건물이 들어선 상태.

4 303 (상마운수 → 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3.jpg
출처
운행구간 : 서울대 - 서림동 - 도림천 - 서원동 - 신림역 - 당곡사거리 - 모자원고개 - 신대방삼거리 - 서울공고 - 대방역 -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시장 - 영등포전화국 - 당산역 - 인공폭포 - 염창동 - 등촌동 - 강서구청사거리 - 강서구청 - 화곡사거리 - 신월초교 - 화곡동(중앙골목시장) - 화곡전화국 - 신정네거리 - 신월동 - 강월초교입구사거리 - 신정동(금옥여고)

1970년대에 당시 115번(등촌동-신림동)과 116번(화곡동-신림동)을 통합하여 신설한 노선이었다. 신설 초기에는 화곡동-신림동으로 운행하였지만, 서울대 관악캠퍼스가 개교한 후엔 서울대 정문 앞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화곡동에서 신정동으로 연장되었다.

상마운수가 부도한 후 한남운수로 이관되었고, 대개편 때 6514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고 2008년 11월에 도원교통으로 이관되었다.

5 310 (좌석) (김포교통) (★)

운행구간 : 방화동 - 공항시장 - 김포공항 - 개화검문소 - 행주대교 - 능곡역 - 삼성당 - 일산병원 - 백석고 - 암센터 - 후곡마을 - 주엽고교 - 대화역

일산신도시 개발 이후 들어온 아웃서울 좌석버스.

인천공항 개항 이전부터 망조가 들기 시작한 게, 이거 김포교통 시절 능곡역 인근 건널목을 무단횡단하다가 열차에 치이는 사고로 2명이 사망하는 바람에 그 뒤로 감차를 꾸준히 하여 망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01년 3월 인천국제공항 개항 및 수요 감소로 폐선. 대체노선으로 경기도 고양시 명성운수에서 31번 좌석버스로 운행하였다가, 신성교통으로 넘어가 도시형 310번이 된 다음 폐선되었다.

6 311 (삼영교통 → 신장운수) (★)

운행구간 : 개포동 - 수도공고 - 대치동 - 도곡동 - 영동백화점 - 개나리아파트 - 삼성동 - 강남구청 - 압구정동한양아파트 - 무학여고 - 왕십리 - 상왕십리 - 신당동 - 동대문운동장 - 종로5가

본디 수유리와 개포동을 오가던 11-1번이었지만, 개포동으로 연장되면서 위 노선과 번호가 되었다.
1988년 신장운수 매각 후 유령화되다 폐선.

7 325 (풍양운수)

운행구간 : 신월4동 - 신정네거리 - 목동아파트 - 영등포경찰서 - 여의도역 - 시범아파트 - 용산전자상가 - 남영역 - 서울역 → 시청 → 을지로입구 → 북창동 → 서울역 → 이후 역순

화곡교통 출신 좌석노선인 631번이 2002년 6월경 도시형으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325번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대개편 당시 6621번으로 바뀌면서 여의도 구간을 순환 회차하는 노선으로 단축되었고, 운행 업체도 신인운수로 바뀌었다. 오래 운행하지 못하고 폐선.

8 326 (화곡교통 → 풍양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6.jpg
서울 버스 6623 참조.

몬드리안 도색에 흰 번호판이면 빤짝빤짝하던 아주 극초창기 새차 시절이다. 저 당시만 해도 BV101이 돌아다녔다.

9 326-1 (화곡교통) (★)

운행구간 : 신월2동 - 신정동 - 목동아파트단지 - 양평동 - 당산역 - 영등포 - 여의도

10 327 (화곡교통 → 풍양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7.jpg
출처
구 직행좌석 1003번이 형간전환된 노선이다. 서울 버스 602 참조.

11 328 (화곡교통 → 풍양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8.jpg
(출처 : 영화 '기쁜 우리 젊은 날')

운행구간 : 신월4동차고지 - 신곡시장 - 신월2동파출소 - 신정네거리역 - 양강중 - 화곡전화국 - 까치산역 - 화곡8동사무소 - 화곡2동사무소 - 성석교회 - 목동사거리 - 영도중 - 대일고 - 등촌2동사무소 - 구.수도통합병원 - 영일고 - 강서보건소 - 염창동도시가스 - 인공폭포 - 성산대교 - 성산A - 마포구청역 - 중동초교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대앞 - 신촌로터리 - 이대입구 - 굴레방다리(아현역) - 종근당 → 서울역 → 숭례문 → 신세계 → 남대문시장 → 종근당 → 이하 역순

관련 게시물

화곡교통에서 운행하다가 같은 계열사였던 풍양운수와 2002년에 흡수/합병 되었다. 당시에는 신세계백화점 본점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였다. 한때 이 노선이 화곡교통 시절부터 간판 노선 역할을 하였으며, 지금도 신월6동 신한은행 앞 주차장을 328번 종점으로 통하고 있다.

대개편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714 참조.

SBS 인기드라마였던 천국의 계단에서 328번 버스를 촬영용으로 썼다.

12 328-1 (화곡교통 → 풍양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8-1.jpg
출처 [3]

운행구간 : 신월2동 - 화곡전화국 - 화곡동 - 염창동(도시가스) - 성산대교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연대앞 - 이대입구 - 아현동 - 충정로 → 서울역 → 숭례문 → 이하 역순

화곡교통 328번 보조격이던 노선이였다.

개편 당시 기존 노선이 존치되어 6713번으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하지만 개편 전이나 후나 꼴랑 5대 풍양운수가 다모아자동차, 메트로버스로 일부 차량 면허를 매각하면서 차량 대수가 부족하게 되자 사라졌고 이를 대신해 당초 신촌까지만 운행하기로 되었던 173번을 목동으로 연장해 서울 버스 163번으로 바꾸었다.

13 328-2 (화곡교통) (★)

운행구간 : 신월2동 - 화곡전화국 - 곰달래길 - 목동아파트단지 - 열병합발전소 - 목동이대병원 - 양화교 - 성산대교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연대앞 - 이대입구 - 아현동 - 충정로 → 서울역 → 숭례문 → 이하 역순

14 330 (좌석) (공항버스) (★)

위의 김포교통 310번 좌석버스와 마찬가지로, 일산신도시 개발 이후 들어온 아웃서울 좌석버스. 노선 역시 310번과 유사하여 공동 배차 비슷하게 운행되었다. 그러나 310번보다 먼저 폐선되었다.

15 331 (도원교통) (★)

운행구간 : 국민대 - 미아리고개 - 돈암동 - 삼선교 - 창경궁 - 창덕궁 - 안국동 - 조계사 - 시청앞 - 서부역 - 만리동고개 - 공덕동 - 마포 - 용강동 - 상수동 - 합정역 - 망원동 - 망원동유수지

1993년에 서울역으로 단축된 후, 1996년에 폐선되었다.

16 333 (삼화교통 → 한성버스 → 한성여객)

삼화교통에서 운행하던 시절(1978년)의 모습

출처
운행구간 : 하계동 - 창동역 - 도봉면허시험장 - 방학동 - 우이동 - 수유리 - 대지극장

서울 버스 1144 참조.

2003년 한성여객이 파업했을 당시에 동아운수에서 대신 운행했던 전력이 있다.관련 게시물

17 361 (동남교통 → 유성운수)

출처

운행구간 : 서부면허시험장 - 월드컵경기장 - 망원동 - 합정역 - 극동방송 - 홍대정문 - 신촌로터리 - 이대 - 서울역 - 퇴계로 - 삼선교 - 미아리고개 - 삼양동 - 화계사입구

월드컵경기장이 없던 시절, 마포농수산물시장 앞은 증산로가 바로 접속되는 사거리였다. 증산로가 곡선으로 불광천을 따라 쭉 연결되는 형태였다. 이후 월드컵경기장 조성과 함께 증산로가 이설되어 직선화되면서 삼거리가 되었다. 여튼 그 사거리 옆이 차고지였으며, 차고지에서 무료로 출발차량으로 환승해서 서부면허시험장까지 들어가는 형태였다.

이후 상암동, 성산동 일대에 월드컵경기장이 조성되고 은평차고지가 개장하면서 은평차고지로 입주하였다.

2002년에 동남교통이 부도처리되면서 운수업체가 유성운수로 바뀌었다.

청계천 복원공사를 앞둔 2003년 5월 7일에 화계사 방향은 퇴계로5가와 종로5가 경유로, 대학로/상암동 방향은 창경궁로(성대입구), 광장시장, 중구청 경유로 바뀌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단축되면서 7011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11 문서를 참고.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의 노래 '361 타고 집에 간다'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2002년 박카스 CF에 나왔다. 참고

과거 동남교통 시절 신세계 앞으로 불법으로 단축운행을 하다가 적발된 사례가 있으며, 공중파에서 이 노선의 불법운행만 따로 보도하는 위업을 달성하기도 했다. 관련 기사

18 361-1 (동남교통) (★)

운행구간 : 서부면허시험장 - 난지도 - 성산아파트 - 망원동 (← 합정동/성산초교 →) 합정역 - 홍익대(정문) - 창천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아현동 - 종근당 - 서울역(퇴계로 방면 한정) - 퇴계로 → 퇴계로5가 → 을지로5~6가 → 광희동 → 퇴계로5가 → 이하 역순

19 388 (신길운수)

전설의 388

운행구간 : 신월동 - 화곡1동사무소 - 까치산역 - 화곡터널 - 화곡역 - 우장산역 - 발산역 - 가양사거리 - 강서구청 - 화곡역 - 서안복음병원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가리봉역 - 디지털오거리 - 두산아파트 - 시흥사거리 - 기아대교

남부순환로의 강자로, 출근시간이면 남부순환로 인근 통학생들과 얽혀 지하철과 맞먹는 헬게이트가 열렸다. 106번과 388번을 합치면 1~2분 배차였지만 개봉역 정류장에는 개봉고가 위까지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었다. 줄 맨 뒤에서부터 버스에 탑승하려면 10분이나 걸렸을 정도. 개봉역에서는 이렇게 기다리면 탈 수라도 있었지만 가리봉역 이후에는 만차가 되는 일이 부지기수라, 중간의 구일우성아파트 정류장을 제외하고는 승객들이 타고 싶어도 버스기사 분들의 뒷차타!! 라는 손 사인을 하며 무정차 통과하는 일이 빈번해 혈압이 오르는 승객이 많았다는 후문.

2004년 대개편 때 6634번 지선버스가 되었다가, 서울 버스 652로 형간전환되었다. 현재도 643, 651, 653, 5012 등과 함께 남부순환로의 넘치는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김포 버스 388이 이 노선의 후신을 자처는 하나, 뭔가 부족한 구석이 있다.

이전 문서로
(200번대)
다음 문서로
(400번대)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명일동에서 잠실운동장까지.
  2. 사진 속의 차량은 충전이 어렵다는 사유로 인해 얼마 못 가 361번으로 이동하였다.
  3. 사진에 나온 차종은 이후, 신월동 주민을 위한 무번호 마을버스로 40km/h를 넘지 않는 저속으로 운행하다가 신월동 차고지를 2006년 양천공영차고지로 이전함과 동시에, 폐지되어 완전히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