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간선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광역버스순환버스심야버스
폐선 목록
간선지선마을맞춤광역순환
개편 전
0번대100번대200번대300번대400번대500번대
600번대700번대800번대900번대1000번대 이후맞춤버스
마을버스
한정면허 (특수 체계)
공항버스시티투어

목차

1 개요

여기에는 폐선, 통합, 변경 등으로 인해 번호가 소멸된 노선을 기재하는 공간으로, 추가할 때는 오름차순으로 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편 당시 계획에 들어있었으나 실제로 운행하지 않았거나 노선이 바뀐 경우는 제외합니다. 시내버스 문서인 만큼, 마을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폐선된 마을버스의 경우,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문서를 이용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폐선 사유에서 노선의 흑자, 적자에 대해서는 될 수 있으면 기재하지 않도록 합니다. 준공영제하에서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2 0권역

2.1 0013(삼성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3.jpg
출처

운행구간 : 보광동 - 이태원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명동역 - 대한극장 - 동대문운동장 - 동대문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용두역 - 왕십리역 - 응봉동 - 금남시장 - 한남동 - 서빙고역

구 도시형 81번(보광동 - 서빙고)이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번호만 0013번으로 바뀌었다.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됨에 따라 2008년 8월 1일에 노선이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로도 잘 운행되다가 차고지 이전 문제로 인해 더 이상 운행이 어렵게 되었다. 이로 인해 2009년 6월 20일에 동사 0211번과 함께 421번으로 통합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이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421 문서 참조.

참고로 0011번과 0012번이 없는 이유는, 0011번은 계획 단계에서 정릉으로 연장되어 1020번으로, 0012번은 옥수동으로 연장되어 아래 나올 0212번으로 신설되었기 때문.

2.2 0014(삼성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4.png
위 차량은 2007년에 대차되었고, 현재는 400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보광동 - 이태원역 - 한강진역 - 소월길 - 남산도서관 - 숭례문 - 시청 - 종로1가 - 신세계(명동)

구 도시형 79-1번(서빙고 - 종로1가)이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바뀌었다.

2005년 9월 27일에 '서빙고역 - 이촌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6년 4월 13일에 '이촌역 - 서빙고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한강중학교를 거쳐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0013번과 마찬가지로 차고지 이전 문제가 대두되어 2009년 6월 20일에 동사 0015번과 함께 405번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연혁은 서울 버스 405 문서를 참조.

2.3 0015(삼성여객)

width=100%width=100%
좌측 차량은 우측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보광동 - 이태원역 - 후암동 - 시청 - 명동롯데 - 청파동 - 숙명여대 - 용산구청 - 이촌동 - 신동아아파트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노선 자체는 구 23, 32, 56, 57번 등의 용산구 구간을 합친 형태였다.

2004년 9월 15일에 한남동 구간이 양 방향 보광동길 경유로 바뀌었다. 그 외에 및 산천동 구간이 변경되었으며, 우리은행후암동지점 구간이 단축되었다.

2005년 4월 13일에 '보광동 - 동부이촌동 신동아아파트' 구간과 산천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2005년 5월 10일에 '동부이촌동 신동아아파트 - 서빙고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5년 6월 15일에 '종각역 - 조계사 - 광화문 - 세종로사거리' 구간이 단축되었고, 보광동 방향은 '을지로입구역 → 시청 → 숭례문'으로, 이촌동 방향은 '숭례문 → 시청 → 세종로사거리 → 종각역 → 을지로입구역'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6년 4월 13일에 도심 방향이 부영주유소에서 바로 원효대교북단교차로를 이용해 원효로로 가지 않고, 성촌공원과 현대자동차서비스로 우회해서 가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앞서 이야기한 차고지 문제로 인해 2009년 6월 20일에 405번으로 통합되었다.

2.4 0016(신흥기업 → 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6.jpg
출처
운행구간 : 서부역 - 배문중 - 효창공원역 - 용산구청 - 남영역 - 숙대입구역 - 숙명여대 - 만리동시장 - 서부역

오케이버스에 양도된 후 마을버스인 용산04번로 전환되었다.

2.5 0018(삼성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8.jpg
위 차량은 405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서울 버스 0018 문서를 참조.

2.6 0211(삼성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211.jpg
위 차량은 현재 405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보광동 - 용산역 - 전자상가 - 용산구청 - 남영동 - (←시청/서울역→) - 퇴계로 - 왕십리 - 금호동 - 옥수동

81-1번 도시형버스(보광동 - 옥수동)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0211번으로 바뀌었다.

2007년 1월 20일에 보광동 방향은 염천교를 건너 서울역으로 가던 것이, 서소문과 시청, 삼성플라자, 숭례문을 거쳐 가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되면서 2008년 12월 27일에 보광동 방향은 '명동역 → 북창동 → 염천교 → 서소문 → 시청 → 숭례문 → 서울역'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앞서 언급한 차고지 문제로 인해 2009년 6월 20일에 0013번과 통합하여 421번이 되었다.

2.7 0212(선진운수)

운행구간 : 구기동(이북오도청) - 세검정 - 상명대입구 - 자하문고개 - 경복궁 - 광화문 - 종로 1~6가 - 흥인지문 - 동대문운동장 - 장충체육관 - 약수역 - 청구역 - 신금호역 - 금남시장 - 옥수동

구 도시형 143-1번(구기동 - 종로3가)이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종로3가에서 옥수동으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0212번으로 바뀌었다.

2006년 12월 1일에 '경복궁 - 안국동 - 조계사 - 무교동 - 종로' 구간이 '경복궁 - 세종문화회관 - 종로'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공차회송문제 해소와 7740번의 수요 증진을 목적으로 2010년 8월 21일에 7740번과 통합되어 7212번으로 변경되었다. 선진운수 공지사항 토피스 공지사항

2.8 0213(삼성여객, 대원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213.jpg
위 차량은 542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대원여객의 운행분은 2225번(구 240B/신내동 - 면목천길 - 건대입구)와 통합되어 서울 버스 2016이 되었고, 삼성여객의 운행분은 서울 버스 0018 문서를 참조.

3 1권역

3.1 1011(도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11.jpg
해당 차량은 2006년 대차되어 1711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정릉(국민대) - 미아리고개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 혜화동 → 원남동 → 청계4~1가 → 무교동 → 종로1~5가 → 방송통신대 → 혜화동 → 이하 역순

405번이 222번의 한강 이남구간 대체였다면, 요 녀석은 222의 한강 이북구간 대체노선이었다. 초기에는 광화문을 거쳐 서울역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지만, 2004년 10월 18일부로 서울역을 가지 않게 되었다. 이후 단축이 계속되다가 중복되는 수많은 노선들에 치여 결국 2005년 초반에 폐선된다.

이 두 노선이 각각 개편 후 1년도 못 가 폐선되었다는 걸 보면 제대로 된 수요 파악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다.
(이용 패턴이 제대로 파악되었다기보다는, 무조건 도심에서 환승하라는 정책 때문에 멀쩡한 노선 하나 날린 것이나 다름없다.)

3.2 1012(대진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12.jpg
위 차량은 대차된 후 110B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정릉(청수장) - 아리랑고개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 (→ 창경궁로 →/← 대학로 ←) - 원남동사거리 - 안국역 → 조계사 → 종각역 → 세종로사거리 → 광화문 → 안국역 → 이후 역순

대개편 때 구 도시형 16번 노선 중 일부를 계승하여 신설된 노선이다. 원래는 정릉 방향이 대학로 경유, 광화문 방향이 창경궁로를 경유하게 되어 있었는데, 신설된지 하루 만에 거꾸로 바뀌었다.

20분이 넘는 배차간격과 중복노선 과다를 이유로 2005년 8월 17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3 1013(대진여객)

운행구간 : 정릉(청수장) - 길음역 - 보문동 - 신설동 - 동대문

대개편 때 구 도시형 1번의 일부(정릉~보문동)를 따서 만든 노선이다. 이 노선의 대부분 운행구간은 아진교통 19번이 폐선되자 19번이 다니던 일부구간(도봉산~신설동)과 덧붙여져서 142번이 되었다.

참고로 1번을 공식적으로 계승한 노선은 1013번이다.
142번은 공식적으로는 신설노선으로 분류된다.

2005년 5월 폐선.

3.4 1016(삼화상운)

700px
출처
위 차량은 대차 후 서울 버스 163으로 이동하였다가 심야 버스 N61번 신설로 다시 이동하였다.

운행구간 : 월계동 - 장위동 - 돈암동 - 성북구청 - 흥인지문 - 종로2~6가 - 명동롯데 - 서울역 - 남영동 - 용산역

대개편 때 구 도시형 32번이 단축되면서 생긴 노선이다.

초기에는 종로5가까지만 갔지만, 얼마 후 종로1가로 연장, 또 그 이후 용산역으로 연장되어 지선치고는 긴 노선이 되었다.[1]

하지만, 2005년 8월 9일에 서울역으로 다시 단축되었고 이 때 간선으로 형간전환하였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03 참조.

3.5 1018(대원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18.jpg
개편 전 13-3번 노선. 위 차량은 2008년에 대차된 후, 현재는 370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양주 버스 118 문서 참조.

3.6 1019(대원여객)

운행구간 : 양주(덕정동) - 덕정역 - 주공단지 - 덕계동 - 양주시청 - 양주역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 - 수유리 - 미아리 - 돈암동 - 혜화동 - 종로5가

구 13-2번. 2004년 12월 21일부로 1018번에 흡수되었다.

3.7 1112(도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112.jpg
출처
위 차량은 2009년 1월 감차로 말소되었다.
운행구간 : 국민대학교 - 국민대정문 - 정릉삼거리 - 길음역

구 도시형 439번이 그대로 번호만 바뀌었다. 하지만, 국민대학교 측에서 차 없는 캠퍼스를 만들기 위해 이 노선의 출입을 통제하면서 정문만 경유하는 형태가 되었다가 결국 2008년 9월 8일부로 1116번(용림교통)과 함쳐져 1117번이 되었다. 관련 게시물

3.8 1115(삼양교통)

운행구간 : 미향마을 - 솔샘터널 - 미양초교 - 삼양동입구 - 미아삼거리역

403번 지역순환버스(미향마을 - 솔샘터널 - 미양초교 - 삼양동입구 - 미아삼거리역(당시 명칭))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미아삼거리역 - 월곡전화국' 구간이 연장되었다. 번호는 1115번으로 바뀌었다.

2008년 9월 8일부터 미향마을 구간의 녹지화 사업으로 인해, 1165번과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당시 미향마을 정류소를 제외한 전 구간이 1165번과 동일했다.)

3.9 1116(동아운수)

운행구간 : 화계사 - 서울정인학교 - 삼양시장 - 삼양사거리 - 삼양동입구 - 미아삼거리역(당시 명칭) - 월곡전화국

441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1116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6월 1일에 1116번과 1121번이 통합되면서 그대로 우이동과 월곡전화국을 잇는 노선이 되었으며, 번호는 1165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165 문서를 참조.

3.10 1116(용림교통)

위 차량은 현재 2235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솔샘터널 - 강북보건소 - 아이원아파트 - 미아초교 - 길음시장

2006년 12월 1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차량은 같은 날에 폐선된 구 4012번에서 가지고 왔으며, 이 때는 길음역을 경유해 길음시장에서 차를 돌린 다음, 성북우체국과 생명의 전화를 지나 월곡역까지 운행했다.

2007년 1월 20일에 '길음시장 - 월곡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길음뉴타운 지역의 대중교통 보강을 위해 1112번과 함께 1117번으로 통합되었다.

3.11 1117(도원교통)

운행구간 : 솔샘터널 - SK북한산시티 - 삼각산아이원아파트 - 래미안트리베라1차 - 미아초교 - 길음역 - 숭덕초교 - 정릉2동주민센터 - 고려대병설보건과학대 → 국민대학교 → 도원교통 차고지 → 이하 역순

2010년 9월 13일에 '국민대 - 길음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첫차가 5시에서 5시 10분으로, 막차가 23시 40분에서 23시 50분으로 늦춰졌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2010년 7월 22일에 폐선될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1년 9월 15일에 폐선되었다.

3.12 1117(동아운수)

운행구간 : 현대백화점 - 미아사거리 - 상월곡역

현대백화점 셔틀버스 구 443번 지역순환버스가 개편을 맞아서 변경된 노선이다.[2]

2004년 10월 7일부로 폐선되었다.

3.13 1118(동아운수)

운행구간 : 화계사 - 우이초교 - 4.19국립묘지 - 청한빌라 - 쌍문아파트단지 - 성원아파트 - 방학사거리 - 서울미디어고 - 도봉구청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2005년 6월 1일부로 폐선.

3.14 1118(대원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118.png
위 차량은 현재 542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양주 버스 118 문서 참조.

3.15 1121(동아운수)

운행구간 : 우이동 - 도봉구민회관 - 쌍문역 - 수유역 - 화계사 - SK북한산시티(솔샘터널)

400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1121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6월 1일에 1116번과 1121번이 통합되면서 그대로 우이동과 월곡전화국을 잇는 노선이 되었으며, 번호는 1165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165 문서를 참조.

3.16 1122(영신여객)

700px
출처

서울 버스 109 문서 참조.

3.17 1123(한성운수)

운행구간 : 번동 → 삼양동입구사거리 → 삼양동사거리 → 동북시장 → 인수봉길(화계사) → 419사거리 → 광산사거리 → 수유역 → 번동 (시계방향 일방순환)

2005년 초반에 폐선.

3.18 1125(한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125.jpg
위 차량은 2010년에 대차된 후 101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번동 - 수유역 - 고려대 - 경동시장 - 답십리역 - 한천로 - 번동(→ 1125B/← 1125A)

1979년부터 있었던 구 26-1번이 개편 후에도 노선변경 없이 번호만 1125번으로 바뀌어서 다녔는데, 순환노선이라 '번동 - 동대문구청' 구간 중 한천로를 우선으로 들르는 A노선(구 적색노선)과 수유역을 들르는 B노선(구 청색노선)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B노선은 한천로 진입시 서울도시철도공사 본관을 경유했으며 145번과 148번, 1218번을 보조하는 역할로 있었는데, 노선 과다 중복으로 인해 2010년 1월 8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 때 101번과 1111번에 공동 배차를 시작하게 되면서 남은 차량들을 이 쪽으로 투입시켰고, 1125A번은 1125번으로 바뀐 동시에 수유역 경유로 바뀌었다.

A노선은 2년 더 살아있다가, 2011년 2월 8일에 1111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19 1134(흥안운수)

운행구간 : 7단지 영업소 - 노원역 - 백병원 - 상명고 - 노원경찰서 - 하계역(회차)

개편 전 파행 운행 상태로 있던 225번을 태릉입구역에서 석계역으로 연장한 노선이었으나 대신 상계4동 차고지 - 노원역 구간이 잘렸다.(상계초교 - 석계역)
이후 하계역 - 석계역 구간을 다시 단축했다가 2005년 5월 10일부로 폐선.

3.20 1145(한성여객)

서울 버스 1145 문서 참조.

3.21 1146(진아교통)

서울 버스 1146 문서 참조.

3.22 1147(한성여객)

700px
출처[3]
운행구간 : 하계동 - 공릉길 - 묵동구길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교 - 시립대입구 - 신설동역 - 보문역 - 안암역 - 고려대역

개편전 15번을 반토막 낸 노선으로, 본디 고려대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동대문구청으로 단축되면서 번호가 바뀌었다. 서울 버스 1227 문서 참조.

3.23 1148(대원여객)

800px
위 차량은 2016번에서 운행하다가 542번으로 넘어갔다. 라이트는 당연히 고치고 KD마크도 붙였다.

양주 버스 48 문서 참조.

3.24 1151(대원여객)

700px
출처
위 차량은 2006년 대차 후[4] 107번을 거쳐 370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의정부(가능동) - 의정부시장 - 의정부역 - 망월사 - 도봉산 - 쌍문동 - 수유리 - 미아리 - 길음동 - 돈암동 - 혜화동 → 동대문 → 종로5가 → 서울대병원 → 혜화동

구 12번으로, 2010년 5월 17일 폐선되었다.

3.25 1152(대원여객)

서울 버스 1152 문서 참조.

3.26 1153(한성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153.jpg
출처
위 차량은 2008년 대차 후 1144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신곡동 - 장암동 - 수락산역 - 노원역 - 중계역 - 하계동

구 720-1번으로, 신곡동사무소에서 시종착하던 것 외에는 1154번과 차이가 없었다. 말년에는 1227과의 차돌리기를 통해서 나름 괜찮은 차로 다니다가, 결국 2008년 12월 20일에 1154번과 통합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폐선분 중 1대는 1154 증차, 나머지는 8146번 신설분으로 들어갔다.

3.27 1157(번창운수)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강등. 서울 버스 노원14 문서 참조.

3.28 1158(번창운수)

운행구간 : 창동역 - E마트 - 창1동3단지 - 창1동사무소 - 삼익아파트 - 제일주유소 - 중앙약국 - 도봉전화국 - 한전북부지점 - 한일병원 - 강북중학교 - 광산슈퍼, 쌍문1동파출소

개편 전 한성여객에서 이관된 노선으로 원래는 마을버스였다.

2005년에 8월 3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29 1159(번창운수)

운행구간 : 창동역 - 동아슈퍼 - 창동동아아파트 - 상계주공18, 19단지 - 서울외고 - 녹천역 - 미도아파트 - 상계1단지 → 백병원 → 주공4단지 → 한양아파트 → 상명고 → 건영2차아파트 → 중계역 → 백병원 → 상계1단지 → 이후 역순

1158번과 마찬가지로 한성여객에서 이관된 마을버스 노선이었으며, 1158번과 함께 2005년 8월 3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30 1160(번창운수)

서울 버스 1160 문서 참조.

3.31 1161(번창운수)

서울 버스 노원15 문서 참조.

3.32 1163(대성통운)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163.jpg
출처
위 차량은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성신여대입구역 → 아리랑고개 → 다리앞 → 구민회관입구 → 508단지 앞 → 스카이힐스 → 다리앞 → 아리랑고개 → 한진아파트 210, 212동 → 우촌초교 → 성신여대입구역 → 이하 역순

대성운수의 구 2-1번 마을버스가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1163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12월 20일에 '스카이주택 - 한진아파트'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5년에 508단지 앞까지 연장되었다. 다만 현재처럼 시간대별 운행은 아니었다.

2005년 중반에 1162번으로 흡수되었다.

특이사항으로, 운행 당시 버스가 2대밖에 운영하지 않았었다.

3.33 1167(흥안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167.jpg
현재는 대차된 AC540L 차량. 출처

운행구간 : 상계주공7단지 - 상계초교 - 노원역 - 마들역 - 수락산역 - 노원교 - 도봉역 → 오봉초교 → 방학2동사무소 → 방학2동새마을금고 → 거성학마을A → 방학역 → 도봉역 → 이후 역순

2006년 4월 13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7년 8월 1일에 1139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34 1211(도원교통)

company_5.jpg
출처

운행구간 : 국민대 - 정릉 - 아리랑고개 - 보문동 - 황학동 - 상왕십리역

2004년 10월 18일에 폐선되었다.

3.35 1212(성원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212.jpg
출처
운행 구간 : 서경대학교 - 숭덕초등학교 - 성신여대입구역 - 성북구청 - 고려대학교 → 경동시장 → 제기동역 → 안암오거리 → 고려대학교[5] → 제기동역 → 이후 역순

406번 지역순환버스(서경대 본관 - 안암로터리)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경동시장, 제기동역까지 연장되었고 번호도 1212번으로 바뀌었다.

2013년 9월 26일에 2223번과 통합되어 2115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36 1215(진아교통)

출처

운행구간 : 월계동 - 석계역 - 장위사거리 - (→ 석관고 → 신이문역 → 외대앞역 →/← 돌곶이역 ← 신이문삼거리 ←) - 외국어대 - 회기사거리 - KAIST - 홍릉사거리 - 청량리역 - 제기동역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으며 당시엔 이문로를 경유해 기찻길을 2번 건너고, 경동시장에서 회차했다.

2004년 7월 27일에 각각 1번(한천로 경유), 제기동역 회차로 변경되었다.

2006년 7월 20일부터 이경시장에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폐선 직전에는 예비차 없이 8대로만 운행했으며, 서울시에서 승객이 적다는 이유로 2012년 3월 16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37 1216(동아운수)

700px
위 차량은 2006년에 대차된 후 151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화계사입구 - 4.19국립묘지 - 장미원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종암동 - 안암동 - 시립동부병원 - 상왕십리역 - 성동구청 - 동대문구청 - 전농동 - 청량리시장 - 종암동 - 화계사입구

원래는 신설동 고가차도를 경유했으나 대형차량 운행 금지로 인해 시립동부병원 경유로 바뀌었다.

고대삼거리 이후 구간을 양방향 순환[6]으로 운행했다.

2005년 9월 9일에 갤러리아백화점까지 연장되면서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21 문서를 참조.

3.38 1217(영신여객)

서울 버스 120 문서를 참조.

3.39 1219(영신여객)

운행구간 : 우이동 - 성원아파트 - 청한빌라사거리 - 서라벌중 - 덕성여대 - 4.19묘지입구 - 북부성모병원 - 우이시장(수유2동사무소) - 광산부페 - 강북구청 - 백합예식장 - 수유5동사무소 - 화계사입구 - 빨래골입구 - 삼양시장 - 삼양초교 - 국민은행삼양동지점 - 삼양동사거리 - 성암여상입구 - 삼양동사거리입구 - 미아삼거리역(당시 명칭) - 현대백화점미아점 - 성가복지병원 - 월곡전화국 - 종암선경아파트

구 442번 지역순환버스(미아사거리 - 청량리역' 구간을 운행하던 구 지역순환 442번이 2004년 대개편 때 우이동까지 연장되면서 1219번이 되었다.(우이동 - 장미원 - 미아역 - 미아사거리 - 세종대왕기념관 - 청량리역)

2004년 12월 20일에 도봉로 대신 삼양로와 백운봉길 경유로 바뀌었다. 또한 우이동 막차가 23시 15분에서 20분으로 늦춰졌다. 관련 공지사항

미아로에서 구 1217번(現 120번)보다 청량리로 빠르게 연결해주는 노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길었던 탓인지 승객이 별로 없었다. 이 때문에 얼마 못 가 노선이 '우이동 - 수유역 - 화계사입구 - 삼양초교 - 미아삼거리역 - 청량리역'으로 변경되었다. 삼양로 - 수유역 수요를 잡기 위해서인 듯.[7] 그러나 성과는 좋지 못했고, 게다가 1128번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변경되면서 1219번의 존재의의는 점점 사라져 갔다.

결국 '월곡전화국 - 청량리' 구간이 단축되었다.

마침 우이동 및 삼양동 등에서 솔샘터널을 통과해 정릉 방향으로 가는 노선을 만들어 달라는 민원이 있어 2005년 8월 9일에 4.19묘지입구에서 화계사입구로 바로 가도록 변경되었고, 월곡 대신 국민대로 가게 되면서 번호가 1166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리고 1219번이 없어지면서 '월곡역 - 청량리' 구간의 교통편이 사라지게 되었는데, 이 구간은 흥안운수에서 1226번을 신설하여 해결하였다.

3.40 1220(삼화상운)

운행구간 : 월계동 - 월곡동 - 종암동 - 안암동 - 신설동

2004년 10월 18일에 폐선되었다.

3.41 1223(상진운수)

운행구간 : 원자력병원 - 화랑대역 - 봉화산역 - 신내8~10단지 - 중랑구청 - 중화역 - 이화교 - 신이문역

구 456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1223번으로 바뀌었다.

2009년 6월 20일에 2216번과 통합되어 1122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42 1225(태릉교통)

서울 버스 1225 문서 참조.

3.43 1411(한성운수)

파일:Mw2Mbzh.jpg
위 차량은 2005년에 디젤차량으로 대차되었다가, 2009년에 다시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1218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간선버스로 승격. 서울 버스 148 문서를 참조.

4 2권역

4.1 2012A, 2012B(상진운수)

운행구간(2012A) : 중랑공영차고지 → 봉화산역(2번출구) → 화랑대역 → 봉화산역(3번출구) → 신내8~9단지 → 신내10단지 → 국민은행망우동지점 → 상봉터미널 → 동원시장 → 중화중 → 용마산역 → 대원고 → 중곡동종점 → 신성시장 → 중곡동입구삼거리 → 용마초교 → 능동우편취급소(A만 경유)/중곡주유소(B만 경유) → 군자삼거리 → 세종초교 → 화양시장 → 화양리 → 성수2가3동주민센터 → 상원 → 한양대역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도로교통공단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 → 동대문 → 숭인동 → 신설동로터리 → 제기동역 → 청량리역버스환승센터 → 삼육서울병원 → 중랑교 → 중화2동새마을금고 → 중화역 → 중흥초교 → 신현중 → 중랑구청 → 동성A → 신내10단지 → 신내8~9단지 → 중랑소방서 → 신내5~7단지 → 중랑구립도서관 → 원묵초교 → 화랑대역 → 신내6~7단지 → 중랑공영차고지
운행구간(2012B) : 위 구간을 역순으로 운행(능동우편취급소 대신 중곡주유소 경유)

2004년 7월 대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으로, 구 도시형 542번을 어느 정도 답습하는 노선이었다. 본디 화랑대역과 중곡동, 동대문운동장을 잇는 노선이었으나 2005년 6월 15일부로구 2215번과 통합하여 순환노선이 되었다. 노선번호에 A와 B가 붙기 전에는 각각 중곡동 방향, 청량리 방향이라는 명칭이 붙어있었다. 이후 화랑대역에서 중랑공영차고지로 연장.

배차 단축을 통한 노선 효율화를 위해 2010년 8월 21일 첫차부터 노선이 분리되어 A는 동대문운동장, 신당동 회차로 변경되면서 2012번으로, B는 제기동과 경동시장 회차로 변경되면서 2223번이 되었다. 동대문구 공지사항(클릭시 hwp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되니 주의)

4.2 2016(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016번.jpg

운행구간 : 남양주시(사릉) - 금곡 - 예비군훈련장 - 양정동사거리 - 남양주시청2청사 - 돌다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사가정역 - 장안교 - 전농사거리 - (→ 답십리역사거리 →/← 동대문중 ←) - 동대문구청 - 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 동평화시장 → 성동공고 → 신당역 → 이후 역순

청량리역까지 가던 2230번이 전신이며, 2005년 7월 5일에 봉우재길, 면목육거리, 이후 2015번과 동일 경로로 동대문운동장까지 연장되면서 번호가 2016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덕분에 진건에서는 얼떨결에 서울 도심까지 한번에 갈 수 있는 노선이 생겼다.[8]

하지만 중랑구에서는 노선이 2015번과 비슷한데 배차간격에서는 2015번에게 밀리다보니 수요가 별로 없었고 결국 중앙선 전철이 개통하면서 2005년 12월 16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차량 중 일부는 2015번으로 넘어가면서 당시 10~15분 간격이었던 배차간격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나머지 차량 중 일부는 당시 신설된 240번으로 넘어갔다.

경기도 유출입 노선이 도심으로 확 연장되거나 서울 안에서만 다녔던 노선이 얼마 없는데, 그 얼마 없는 사례 중 하나가 이 노선이다. 비슷한 노선으로 구 7023번이 있었는데, 처음에 경기도구간을 단축했다가 얼마 못 가 환원, 이후 도심구간이 단축된 후 폐선되었다.

폐선되기 직전인 2005년 9월에 대원운수에서 대체노선인 165-3번을 만들었고, 이후 2010년 후반에 진접지구로 연장됐지만, 사릉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수요가 적어 2011년 5월 16일에 폐선되었다. 이후로는 91번이 진접지구로 연장되어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1-4번과 더불어 예비군들의 수요가 많았다. 현재 청량리에서 금곡 예비군훈련장까지는 경기고속 30번, 구리에서는 23번이 대체 중이다.

4.3 2111(북부운수)

출처

운행구간 : 면목동 - 장안동 - 전농동 - 경동시장 - 상월곡역

서울 버스 2230 문서를 참조.

4.4 2212(북부운수)

서울 버스 2211 문서 참조.

4.5 2214(상진운수)

서울 버스 2214 문서 참조.

4.6 2215(상진운수)

700px
출처
운행구간 : 신내동 - 화랑대역 - 신내아파트단지 - 중랑구청 - 중화역 - 중화2동체육공원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역버스환승센터 → 제기동 → 성일중 → 경동시장 → 청량리역버스환승센터 → 이후 역순

구 도시형 47번이 단축된 노선이었다. 2005년 6월 15일부로 구 2012번과 통합되어 2012A/B가 되었다가, 2010년 8월 21일에 다시 분리되면서 2223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2223 문서 참조.

4.7 2216(상진운수)

출처

운행구간 : 화랑대역 - 구립도서관, 체육관 - 신내6단지 - 봉화초교 - 신내7단지, 홈플러스신내점 - 신내8~10단지 - 중랑구청 - 중화역 - 이화교 - 신이문역

구 451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2216번으로 바뀌었다.

2009년 6월 20일에 1223번과 통합되어 1122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8 2217(북부운수)

출처
위 차량은 2211번으로 이동 한 후, 2010년 프리머스 전기버스로 대차됨와 함께 02번에 운행중...인데 잦은 고장 때문인지 무기한 운행중지 중이다.

운행구간 : 중랑공영차고지[9] - 상봉터미널 - 사가정역 - 중곡역 - 군자역 - 면목동길 - 화양리 - 건대입구

원래 대개편 때 구 567번은 건대입구역으로 단축될 예정이었다. 따라서 567-1번을 2217번으로 변경해 둘을 연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567번이 4212번으로 번호만 변경됨에 따라 4212번과 달리 면목동길을 경유하게 되었고, 이렇게 운행하다가 2005년 7월 18일에 폐선.

4.9 2219(경성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219.jpg
출처
운행구간 : 면목8동차고지 → 용마산역 → 중곡역 → 중곡삼거리 → 중곡역 → 용마산역 → 면목8동차고지 → 서일대 → 우림시장 → 면목역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신설동로터리 → 이후 면목8동차고지까지만 역순으로 운행

구 도시형 132번이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망우로와 용마산길 대신 겸재길 경유로 바뀌었고 번호도 2219번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 11월 24일에 '면목8동차고지 - 중곡삼거리'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 땐 차고지에서 출발해 청량리와 신설동을 들른 다음, 중곡동까지 내려갔다가 차고지로 돌아오는 방식이었다.

중곡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007년 12월 1일에 중곡동을 먼저 들르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후 1213번에 통합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1213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4.10 2220(대흥교통)

서울 버스 2220 문서 참조.

4.11 2221(대공원정문)(신흥기업)

2005년에 신설되었으며, 앞유리 좌하단의 작은 쪽창(AC540)이나 앞유리 좌하단(BS106)에 '대공원정문' 스티커를, 옆의 노선스티커에는 빨간 테두리와 함께 '신설노선' 표기 대신 '대공원정문'이라고 써있었던 것이 특징. 대공원후문 대신 대공원정문을 경유하였다.
순수증차가 되지 않는 마당에 노선이 둘로 갈라지다보니 배차는 깨지고 수요도 깨지고, 특히 광진경찰서 쪽 정류장 관련 민원이 대량 발생하는 바람에[10][11] 신설 약 3달 만에 노선이 원래대로 환원되었다. 그 대신 자양로와 건대입구역 쪽으로 가던 3216번이 이 경로를 이어받게 된다.

4.12 2223(신흥기업 → 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223.png
출처
서울 버스 광진05 문서 참조.

4.13 2223(상진운수)

700px
출처

2010년 8월 21일에 2012A/B번 중 '중랑공영차고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구간을 2012번, '중랑공영차고지 - 제기동역' 구간을 2223번으로 분리했다. 관련 공지사항 분리 이전의 연혁은 서울 버스 2012 문서를 참조.

2011년 2월 8일에 서울의료원 경유로 변경되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공사로 인해 2013년 4월 3일부터 9월 25일까지 왕산로23길 대신 정릉천동로로 우회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2013년 9월 26일에 1212번과 통합하여 2115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14 2225(신흥기업)

서울 버스 2225 참조.

4.15 2225(대원교통)

서울 버스 2225 참조.

4.16 2226(대원여객)

700px
출처

운행구간 : 구리(수택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

구 55번 도시형버스(수택동 - 서울역)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청량리로 단축되었고 번호도 2226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12월 16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17 2228(대원교통)

16_L_1206069873.jpg
서울특별시에서 마지막으로 군(郡)까지 들어갔던 노선. 개편 전 번호는 166-2번이었다. 남양주 버스 167 문서 참조.

4.18 2229(대원교통)

출처

운행구간 : 덕소(도곡리) - 금곡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구 166번 도시형버스(도곡리 - 청량리)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2229번으로 바뀌었다.

한때는 덕소 주민들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이었으나 중앙선 전철이 개통하면서 2005년 12월 16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19 2230(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230.jpg
출처
운행구간 : 남양주(사릉) - 예비군훈련장 - 도농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중랑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회차)

1990년대 초반, 금성교통에서 165번의 용정리 지선(165-3번)으로 개통하였던 노선이 시초다. 이 것이 대개편을 거치면서 번호가 바뀌고 노선도 망우사거리에서 우림시장, 면목2동으로 단축되었다. 하지만, 2004년 말에 다시 우림시장(봉우재길 경유) - 서울우유 - 청량리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청량리로 다시 들어오게 되었다. 이후 2005년 7월 5일에 청량리 대신 면목동 - 왕십리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구간으로 변경되면서 번호가 2016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는 위에 있는 2016번 항목 참조.

4.20 2231(대원교통)

운행구간 : 남양주(호평동)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사거리 - 망우3동사무소 - 면목역 - 하나은행면목지점 → 면목5동 → 면목2동한신아파트 → 중랑초교 → 중랑전화국 → 면목2동 → 하나은행면목지점 → 이후 역순

구 165번 도시형버스(호평동 - 경동시장)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면목역으로 단축되면서 아웃서울 노선이 되었다.

호평지구 공사로 인해 2006년 8월 17일에 '호평동종점 - 호평동사무소 - 신신상사입구 - 진주아파트 - 평내초교' 구간이 '호평동종점 - 이마트남양주점 - 평내초교'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6년 12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남양주/구리 - 면목동' 구간을 2227번이 대체해주기도 했지만 수요 저조로 시계외 구간이 단축되었기에 현재는 상봉역 등에서 환승해야 한다.

4.21 2232(대원여객)

운행구간 : 구리시(토평동)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동 - 면목동 - 중곡동 - 어린이대공원 - 구의동 - 강변역

대개편 때 구 568번이 번호만 바뀐 노선이다. 개편 전이나 후나 사람 없는 건 마찬가지라서 2005년 7월 18일에 폐선.[12] 다만 이로 인해 중랑구에서 강변역을 한 번에 이어주는 버스노선이 사라진 것은 좀 아쉽다.

4.22 2236(금진교통)

운행구간 : 청량리한신아파트 - 성일중학교 -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 - 제기사거리 - 홍파초교 - 홍릉사거리 - 동부아파트 - 청량리역 - 한신아파트 - 서울성심병원 - 청량리역 - 현대코아 - 청량리경찰서 - 홍릉갈비 - 홍파초교 - 서울약령시 -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 - 제기동역

구 마을버스 2번으로, 대개편 때 지선버스로 승격되었다.

2007년 4월 23일에 마을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동대문06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중복노선 과다로 인한 수요 저조 및 동대문05번 증차를 위해 2010년 8월 21일부로 폐선되었다. 이 때 성일중학교 등 일부 구간은 2012B가 2223번으로 단축되면서 경유하게 되었다.

현재 이 노선이 지났던 구간 중 절반 이상이 버스가 안 다니는 교통소외지역으로 변했다.[13] 동대문06번이 폐선된 것이 크지만, 2222번의 단축, 1213번2223번의 통합, 1215번의 폐선, 3200번의 정류장 조정도 한몫했다.

4.23 2237(금진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237.jpg
출처

서울 버스 동대문05 문서 참조.

4.24 2311(경성여객)

400px400px
위 차량은 교체 후 1213번에서 운행 중이다.

운행구간 : 면목8동 - 용마산역 - 중곡동종점 - 아차산역 - 구의사거리 - 광진구청 - 잠실대교 - 잠실역 - 석촌역 → 송파사거리 → 배명중.고교 → 석촌지하차도 → 석촌역 → 이후 역순

경성여객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2004년 버스 개편과 함께 신설되었으며, 신설 당시에는 잠실역까지만 운행하였다.

이후 배명고까지 연장되었으나 2005년 8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를 대신해서 생긴 노선이 바로 320번이다. 다만, 320번과 달리 이 노선은 상하행 모두 아차산역 가변 정류장에 정차했다. 그래서 등교시간대에 아차산역에서 시간이 빠듯하면 이 노선이 근방에 있는지 눈치를 잘 살펴봐야 했다.

4.25 2411(대흥교통)

서울 버스 2411 문서 참조.

5 3권역

5.1 3211(서울승합)

운행구간 : 강동차고지 - 상일동역 - 고덕역 - 명일여고 - 명일역 - 신암중 - 암사역 - 천호역 - 천호대교 - 한국화이자 - 강변역

원래는 올림픽대교북단사거리 → 방지거병원 → 구의역 → 구의사거리 → 구의시장 → 올림픽대교북단사거리 이런 경로로 회차하였으나, 2004년 10월 20일에 강변역으로 변경 및 단축되었다.

2005년 초에 천호역으로 단축되면서 번호가 3317번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340번과 완벽하게 겹치게 되면서 폐선.

5.2 3215(북부운수)

서울 버스 2311 문서 참조.

5.3 3218(한서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218.jpg
위 차량은 3313번으로 이동 후 2014년에 대차되었다.

서울 버스 3322 문서 참조.

5.4 3219(서울버스)

서울 버스 3219 참조.

5.5 3311(서울승합)

700px
출처
운행구간 : 강동차고지 - 고덕동 - 명일역 - 천호역 - 보훈병원

구 도시형 481번으로, 2005년 5월 31일부로 폐선.

5.6 3312(우신운수)

900px

운행구간 : 풍납동 - 서울아산병원 - 성내역 - 잠실역 - 신천역

구 420번 지역순환버스(풍납동 - 신천역)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3312번으로 바뀌었다.

2007년 6월 12일에 4418번과 통합되어 서울 버스 4318이 되었다. 서울시버스조합 공지사항 우신운수 공지사항

5.7 3316(우신운수)

운행구간 : 풍납동(동아한가람아파트) - 미성아파트 - 풍납초교(풍성로) - 영파여고 - 올림픽회관 - 성내역 - 잠실역 - 잠실주공5단지(회차)

2004년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우신운수 공지사항

당시 풍납동에서 신천역까지 운행했던 3312번이 서울아산병원을 거치느라 다소 돌아가는데 비해 3316번은 곧장 영파여중고로 나와서 잠실까지 운행한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소요시간 차이가 그렇게 크지도 않았고 3312번이 워낙 빗자루 수준의 간격이었던터라 1년도 못 채우고 2005년 5월 19일부로 3312번에 통합되었다. 우신운수 공지사항 다수의 에어로타운 사이에서 운행하던 3312번 로얄시티가 바로 3316번 출신 차량들.

여담으로 우신운수가 예전에 운행했던 노선 중에 풍납동에서 왕십리까지 가던 146-1번이 있었는데, 풍납동에서 잠실중학교까지의 노선이 3316번과 100% 같았다. 146-1번이 1998년에 폐선되지 않고 계속 운행했더라면 그대로 32xx번으로 운행했거나 혹은 단축되어서 3316번으로 운행했을지도...

5.8 3317(서울승합)

운행구간 : 강동차고지 - 상일동역 - 고덕역 - 명일여고 - 명일역 - 신암중 - 암사역 - 천호역

3211번이 2005년 초에 천호역으로 단축되면서 번호가 3317번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340번과 100% 중복된 탓에 수요가 저조했고, 결국 2005년 6월 1일에 폐선.

5.9 3317(메트로버스)

운행구간 : 강동차고지 - 상일초교 - 주몽재활원 - 한영외고 - 명일여고 - 명일역 → 굽은다리역 → 천호중 → 천호초교 → 성덕여상 → 명일역 → 이후 역순

2006년 1월 17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당시 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던 상암로와 서울시 시내버스의 무덤이었던 주몽재활원 쪽 구간을 운행하였다.

하지만 이런 의도가 무색하게 수요가 너무 없어서 2006년 7월 20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다만, 상암로 쪽은 나중에나마 3321번이 들어오면서 불편함이 다소 해소되었다.

5.10 3320(서울승합)

서울 버스 3320 문서 참조.

5.11 3415(송파상운)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415.png
위 차량은 현재 3314번에서 운향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마천동 - 개롱역 - 가락시장 - 잠실역 - 신천역 - 잠실종합운동장 - 삼성역 - 무역센터

2010년 5월에 잠실역으로 노선이 단축되면서, 서울 버스 3317이 되었다.

5.12 3418(한서교통)

서울 버스 3322 문서 참조.

5.13 3420(서울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420.jpg
운행구간 : 장지동 - 문정동 - 수서역 - 개포아파트단지 - 대치역 - 선릉역 - 차병원 - 교보타워사거리 → 센트럴시티 → 고속터미널 → 교보타워사거리 → 이후 역순

87-1번 도시형버스(중동고 → 개포동 → 도곡동 → 서울교대 → 방배동 → 이수역 → 이수교차로 → 반포본동 → 고속버스터미널 → 교보타워사거리 → 차병원 → 선릉역 → 대치동 → 중동고)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중동고 - 삼성의료원후문 - 수서역 - 가락시장 - 문정동 - 장지동' 구간을 연장했고, 번호도 3420번으로 바뀌었다. 당시 노선은 '대치역 → 은마아파트입구사거리 → 도곡1동사무소사거리 → 역삼세무서사거리 → 서울교대 → 교대입구삼거리 → 방배역 → 내방역 → 이수역 → 이수교차로 → 반포본동 → 고속터미널 → 삼호가든사거리 → 교보타워사거리 → 차병원 → 경복아파트사거리 → 선릉역 → 도곡역 → 대치역 → 이후 역순'이었다.

2005년 9월 1일에 3421번과 통합하면서 '대치역 - 은마아파트입구사거리 - 도곡1동사무소사거리 - 역삼세무서사거리 - 서울교대 - 교대입구삼거리 - 방배역 - 내방역 - 이수역 - 이수교차로 - 반포본동 - 고속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8년 1월 8일에 장지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2010년 1월 8일 부로 4412번과 합쳐져서 3011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관련 공지사항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3011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5.14 3421(서울버스)

운행구간 : 장지동 - 문정동삼성래미안아파트 - 로데오거리 - 가락시장 - 수서역 - 서울삼성병원후문 - 대청역 - 개포동역 - 대치역 → 도곡역 → 선릉역 → 경복아파트사거리 → 차병원 → 교보타워사거리 → 삼호가든사거리 → 고속터미널 → 반포본동 → 이수교차로 → 이수역 → 내방역 → 방배역 → 교대입구삼거리 → 서울교대 → 역삼세무서사거리 → 도곡1동사무소사거리 → 은마아파트입구사거리 → 대치역 → 이후 역순

87번 도시형버스(중동고 → 대치동 → 선릉역 → 차병원 → 교보타워사거리 → 고속버스터미널 → 반포본동 → 이수교차로 → 이수역 → 방배동 → 서울교대 → 도곡동 → 개포동 → 중동고)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중동고 - 삼성의료원후문 - 수서역 - 가락시장 - 문정동 - 장지동' 구간을 연장했고, 번호도 3421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9월 1일에 3420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사평로 구간은 현재 3422번이 대체하고 있다. 또한 '방배 - 내방 - 이수' 구간도 대체노선이 없어서 한동안 인근 주민이 불편을 겪다가 4319번이 신설되면서 해결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3011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5.15 3423(삼화상운)

700px
위 차량은 146번으로 간 다음 블루시티로 대차되었다. 출처

2005년 3월에 폐선되었다.

5.16 3423(남성교통, 동성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423a.jpg
출처

운행구간 : 송파공영차고지 - 장지역 - 가락시장 - 석촌역 - 학여울역 - 대치역 - 도곡역 - 양재역 - 남부터미널 - 교대역 - 고속버스터미널

서울 버스 3012 문서 참조. 삼화상운에서 운행했던 3423번과 달리 수서역을 경유하지 않았다.

6 4권역

6.1 4011(우신운수)

운행구간 : 사당동 - 사당역 - 서울지하철공사(당시 명칭) - 방배역 - 내방역 - 삼호아파트 - 반포본동 - 고속터미널 - 반포대교 - 서빙고역 - 신동아아파트 - 이촌역.한강맨션 - 용산역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5년 1월 6일부터 고속터미널과 삼호가든사거리, 반포고가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반포대교를 건너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원래는 2004년 12월 20일에 변경될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5년 5월 26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6.2 4012(용림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012.jpg
출처
운행구간 : 고속터미널(호남선) → 반포대교 → 한강중 → 크라운호텔 → 중앙경리단 → 은혜약국 → 남산3호터널 → 중앙우체국 → 한국통신/세종문화회관 → 덕수궁 → 숭례문 → 염천교 → 서울역 → 남산도서관 → 보성여중고 → 남산체육관 → 하얏트호텔 → 단국대학교 → 한남대교 → 신사역 → 영동사거리 → 반포역 → 고속터미널(경부선)

서울시 교통과의 뻘짓으로 길이 남을 노선으로, 2005년 8월 24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고속터미널에서 남산3호터널, 서울특별시청, 세종문화회관, 남산도서관, 한남대교를 경유하여 고속터미널로 다시 돌아왔던 단방향 순환노선이었다. 소공로와 무교로 경유라는 점을 빼면 401번, 402번과 경유지가 딱 절반씩 중복되는 노선이었다.

배차간격도 안습해서 당연히 공기수송. 게다가 회차지가 고속터미널 길 건너편이었고 당시 9호선 공사 때문에 고속터미널 앞이 굉장히 혼잡했다. 처음에는 마을버스 출신의 썩어가는 코스모스를 투입하다가 대우 BS106 CNG로 대차하였지만 결국 수요 부족을 이유로(폐선안내문에 써있던 사항) 2006년 11월 30일에 사라졌다. 관련 공지사항 기존 CNG 신차들은 미아뉴타운의 대중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당시 2234번으로 갔으며, 2234번 운행차들이 1116(동아운수에서 운행했던 1116번과 다르다.)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1116번도 끝내 폐선되면서 차량들은 다시 2235, 2113, 2114로 이동했다.

6.3 4213(진화운수)

서울 버스 3319 문서 참조.

6.4 4312(도선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312.jpg
출처
운행구간 : 송파차고지 - 문정역 - 가락시장 - 수서역 - 삼성의료원 - 은마아파트 - 한티역 - 도성초교 - 진선여고 - 선릉역 - 강남보건소 - 대한주택공사 - 강남구청역 - 영동고 - 압구정현대아파트 - 광림교회 - 신사중 - 신사역 - 논현역 - 교보타워사거리 - 강남역 - 양재역 - 본마을입구 - 청계산입구 - 청계산(옛골)

서울 버스 4412 문서를 참조.

6.5 4313(진화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313.jpg
출처

서울 버스 3319 문서 참조.

6.6 4411(진화운수)

운행구간 : 수서역 - 삼성의료원 - 개포동 - 도곡역 - 대치동 - 강남구청 - 도산대로 - 신사역

83번의 단축노선이었다. 개편 전 83번도 시원찮았던 판에 강북 구간을 동생격인 402번에 넘겨주고 자신은 홀연히 신사역으로 단축해 운행했다. 결국 2005년 초반에 폐선.

6.7 4412(진화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12.jpg
위 차량은 2009년 대차된 후 3417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수서역 - 일원동 - 개포4단지 - 경기여고 - 은마아파트 - 포스코 - 강남구청 - 학동역 - 신사역

구 16번 도시형버스(정릉 - 개포동)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고속터미널 - 개포동' 구간을 단축하고, '개포동 - 서울삼성병원후문 - 수서동' 구간을 연장했다. 번호는 4412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6월 8일에 '고속터미널 - 학동역' 구간을 단축하고, 강남을지병원 경유 신사역 회차로 변경했다.

2010년 1월 8일에 3420번과 함께 3011번으로 통폐합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3011 문서를 참조. 관련 공지사항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3011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6.8 4417(서울승합)

운행구간 : 형촌마을 - 양재1동사무소 - 양재초교 - 일동제약사거리 - 양재역 - 강남역 - 교보타워사거리 → 논현역 → 학동역 → 차병원사거리 → 교보타워사거리 → 이후 역순

구 414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4417번으로 바뀌었다.

2006년 4월 13일에 당시 대치동청실아파트(현 래미안대치팰리스)까지만 가던 3412번에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에어로타운으로만 운행했다.

6.9 4418(우신운수)

파일:Attachment/서울 버스 4318/4418.jpg

운행구간 : 사당동 - 이수교 - 이수교차로 - 반포본동 - 고속터미널 - 잠원동 - 압구정역 - 경기고 - 삼성역 - 휘문고 - 대치사거리 → 도곡사거리 → 한티역 → 도곡역 → 대치역.은마APT → 신해청아파트 → 대치사거리 → 이후 역순

구 567-1번 도시형버스(전원마을 - 신내6단지)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신사역 - 신사중' 구간을 '고속터미널 - 뉴코아 - 잠원한신아파트 - 신사중'으로 변경했고 '프리마호텔 - 영동대교 - 노룬산시장 - 건대입구역 - 군자역 - 면목동길 - 사가정역 - 면목오거리 - 신내6단지' 구간을 단축했다. 번호 또한 4418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는 휘문고까지 운행하고,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에서 유턴했다.

2005년 11월 12일에 대치역까지 연장되었다. 우신운수 공지사항 서울시버스조합 공지사항

2007년 6월 12일에 3312번과 합쳐져 서울 버스 4318이 되었다. 서울시버스조합 공지사항 우신운수 공지사항

6.10 4420(동성교통)

운행구간 : 상대원차고지 - 공단오거리 - 공단본부 - 대원사거리 - 상대원고개 - 단대오거리 - 신흥역 - 수정보건소 - 수정구청 - 산성역 - 창곡동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 삼성서울병원 - 일원터널사거리 - 학여울역 - 도곡역 - 한티역 - 선릉역 - 삼성역

2005년 8월 22일부터 학여울역에서 바로 삼성역으로 올라가지 않고, 도곡역과 선릉역으로 돌아서 가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본래 6월 27일에 변경될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7년 1월 20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대체노선으로 성남시내버스에서 442번을 신설하였지만, 파행 운행을 겪다가 2010년 11월 8일에 폐선되었다.

6.11 4421(남성교통)

운행구간 : 남한산성입구 - 단대오거리 - 신흥역 - 구.성남시청 - 태평역.통계청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양재시민의숲 - 양재역 - 강남역 - 논현역 → 신사역 → 을지병원 → 학동역 → 논현역 → 이후 역순

구 66번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4421번으로 바뀌었다.

4422번 등에 밀려 2005년 6월 28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419번 경로로 변경되어 있는 걸로 나와 있으나, 실제로는 폐선되었다.

6.12 4422(대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22.jpg
출처

서울 버스 440 문서 참조.

6.13 4423(남성교통)

운행구간 : 송파차고지 - 산성역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 성남시청(현 수정구보건소) - 태평역 - 경원대학교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헌인릉 - 내곡동사무소 - 양재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남부터미널 - 서울교대 - 고속터미널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구 도시형 36번이 변경된 노선이다.

2005년 8월 20일에 '송파차고지 - 산성역 - 남한산성입구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6년 12월 20일에 동사 9412번과 통합되면서 462번이 되었다. 하지만 '남부터미널 - 고속터미널' 구간은 대체노선이 없어서 서울시내 구간만 똑 잘라 3423번으로 부활했다.

6.14 4424(우신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24.jpg
출처

441번 문서 참조.

6.15 4425(우신버스)

500px

541번 문서 참조.

6.16 4426(정평운수)

서울 버스 4426 문서 참조.

6.17 4427(용림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27.jpg
출처
운행구간 : 목련아파트 - 건영아파트 - 시티2차아파트 - 청담중학교 - 한양아파트 - 갤러리아백화점 - 학동사거리 - 프리마호텔 - 영동대교남단 - 경기고 - 삼성역 -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 한티역

현재는 버스가 들어가지 않는 청담중 뒷편(선릉로190길)을 경유한 노선이다.

2005년 7월 1일에 '삼성역 -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 한티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012번 신설을 위해 2005년 8월 24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6.18 4428(금진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28.jpg
출처

운행구간 : 양재역 - 강남세브란스 - 선릉역 - 삼성역

서울 버스 강남07 참조.

6.19 4429(금진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29.jpg
출처

서울 버스 서초22 문서 참조.

6.20 4430(금진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30.jpg
출처

서울 버스 강남10 문서 참조.

6.21 4431(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431.jpg
출처

서울 버스 강남08 문서 참조.

6.22 4434(대원교통)

서울 버스 4434 문서 참조.

6.23 4511(도선여객)

운행구간 : 개포동 - 개포시영아파트 - 매봉터널사거리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남부터미널 - 방배역 - 내방역 - 이수교 - 국립현충원 - 명수대현대아파트 - 한강대교남단 - 노량진역 - 동작구청 - 장승배기역 - 상도2동

구 288번의 대체로 생긴 노선. 2005년 8월 22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7 5권역

7.1 5011(풍양운수)

출처

운행구간 : 봉천동 - 은천길 - 상도동 - 한강대교 - 용산역 - 삼각지역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구) 85번으로, 당시에는 용산역까지만 운행했다.

2004년 10월 9일에 삼각지까지 연장되었다.

2008년 6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기사

7.2 5411(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411.jpg
출처
운행구간 : 대학동차고지 - 서울대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사당역 - 예술의전당 - 양재역 - 염곡동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2005년 8월 19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7.3 5412(관악교통)

서울 버스 5412 문서 참조.

7.4 5512(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512.jpg
출처

운행구간 : 서울대 제2신공학관 → 농생대 → 서울대 정문 → 관악구청 → 봉천동(회차) → (서울대 정문까지 동일) → 경영대 → 서울대 제2신공학관

개편 전 413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변경되었다.

2008년 6월 1일에 5511번으로 흡수되었다. 대신 5511번이 법대를 먼저 경유하던 것이 경영대 우선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기사

태생적으로 교내순환버스의 성격을 띤 노선이었다.

7.5 5514(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514.jpg
운행구간 : 봉천3동현대아파트 - 봉천동동아아파트 - 봉원중 - 봉천중앙시장 - 서울대입구역

구 495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5514번으로 바뀌었다.

2008년 6월 1일에 5515번으로 흡수되었다. 대신 5515번을 봉천3동현대아파트까지 연장했다. 관련 기사

7.6 5518(한남운수)

운행구간 : 서울대학교 대학본부 - (→법대입구 →/← 행정관입구 ← 법대 ←) - 서울대정문 - 신림여중 - 신화단지 - 신림역 - 당곡사거리 - 보라매병원

구 도시형 52-1번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서울대학교 대학본부 - 서울대정문' 구간이 단축되었고, 번호도 5518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12월 20일에 '서울대학교 대학본부 - 서울대정문' 구간이 환원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8년 1월 21일에 5516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 영향으로 5516번이 노량진으로 갈 때, 153번의 회차 구간으로 가게 되었다.

7.7 5520(한남운수)

서울 버스 506 문서 참조.

7.8 5520(관악교통, 풍양운수 → 관악교통, 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520.jpg
출처

운행구간 : 성현동 현대시장 - 서울대입구역 - 서울대학교 정문 - 미림여고 - 호압사입구 - 경인교육대학교

2008년 8월 1일에 5412번이 폐선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643번과 함께 다음날인 8월 2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신설 1주일 만인 8월 9일에 서울대학교에서 경인교육대학교로 연장되었고, 은천삼거리에서 U턴해 신봉초교 입구를 경유하던 것이 낙성대입구 경유로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16일에 운수업체가 풍양운수에서 오케이버스로 변경되었다.

주로 호압사, 미림여고 주민들이 서울대입구역방면으로 갈 때[14] 이용하며 가축수송으로 악명 높은 서울 버스 5515의 기능을 분담하는 역할을 한다.[15]서울 버스 5515서울 지하철 2호선과 주로 환승하지만 이 노선은 강남 방면으로 오가는 남부순환로 쪽에서의 환승이 편리하다.[16]

하지만 각 회사의 사정[17]으로, 양천관악교통에서 운행하는 5614번과 합쳐졌고, 번호도 6515번으로 바뀌었다. 통폐합 과정에서의 남게 된 차량들 중 오케이버스 분은 5524번에, 관악교통 분은 643번에 들어갔다. 그리고 삼막사거리 첫차는 훨씬 늦어졌다. 관련 공지사항

7.9 5521(보성운수)

운행구간 : 난곡 - 난곡사거리 - 신림동 - 낙성대입구역

난곡과 서울 지하철 2호선 연선의 연결을 책임졌던 노선. 서울 버스 9401부천 버스 88조차 명함을 못내밀 일일 운행횟수 436회의 무시무시한 배차간격으로 유명했던 노선.

2006년 11월 24일부로 폐선되었고, 남는 차를 모아서 5522번을 신설한다.

7.10 5522(보성운수)

운행구간 : 난곡종점 - 신림복지관 - 난우중입구 - 우림시장 - 남강중입구 - 난곡종합시장 - 신일교회 - 문성골사거리 - 신림고 - 문성터널 - 동산교회 - 문화교 - 신화단지 - 신림6동시장 - 신림9동우리은행 - 신림여중 - 서울대학교

현재 운행 중인 5522번과는 무관한 노선이다.

구 801번 버스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5522번으로 바뀌었다. 다만 한남여객운수, 관악교통, 보성운수가 공동배차로 운행[18]하던 개편 전과 달리 개편 후에는 보성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했다.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문화교까지는 서울대와 신림역을 오가는 다른 시내버스 노선들과 동일하게 운행하였다. 그러다가 문화교 이후 문성터널 방면으로 좌회전한 뒤, 문성터널을 통과한 후 난곡우체국 사거리에서 난곡 방면으로 좌회전하였다. 이후에는 난곡 종점까지 수많은 다른 시내버스들과 동일한 경로로 운행하였다.

이 버스노선이 경유하는 전철역이 단 하나도 없었다는 것이 특징. 그래서인지 당시 서울대, 고시촌에서 난곡으로 갈 수 있는 가장 빠른 길로 운행했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길다보니 다른 노선들로 환승해서 가는 게 더 빨랐고, 환승할인도 되다보니 요금에서도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승객 수가 많지 않아 2005년 8월 23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현재는 난곡-고시촌(서울대)의 연결을 서울 버스 506이 대신하고 있다.

수요는 난곡동에 있는 강원학사에 거주하는 서울대생들(또는 방값이 싼 난곡동에 거주했던 서울대생)이 가장 많았다.

7.11 5523(보성운수)

운행구간 : 난곡종점 -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 - 난곡우체국사거리 - 난곡중.독산고 - 독산3치안센터 - KT구로지사 - 조원동사무소 - 신대방역 - 우방아파트.보라매공원입구 → 롯데백화점관악점[19] → 보라매병원 → 보라매로5길 → 우방아파트.보라매공원입구 → 이후 역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특이하게 난곡우체국사거리에서 좌회전하는 노선이었으며, 보라매병원 회차도 당곡사거리와 보라매로를 거쳐서 하지 않고 골목길만을 이용해 회차했다.

배차간격도 40분 간격으로 길었던 데다가 난곡과 보라매병원을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도 아니었던지라 수요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했던 5521번의 증차를 위해 2005년 11월 13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5522번의 신대방역 경유, 5524번의 난곡공영차고지 입주의 계기가 된 노선이라 할 수 있겠다.

5616번이 구로디지털단지을 3번 경유하는 걸 생각해보면, 노선을 없애지 말고 5524번이 조원동 구간을 한 바퀴 돌고 나오는 것처럼 '조원동사무소 - 보라매병원' 구간을 자르고 조원동을 돌았으면 그나마 나았을 지도 모르겠다. 신대방역까지 자르고 난곡로를 타고 내려가는 방법도 있겠지만 폐선 당시에는 신대방역부터 난곡사거리까지 왕복 2차선 도로였던지라...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5523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7.12 5526(풍양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526.jpg
운행구간 : 성현동(현대시장) - 봉천동 - 은천길 - 신대방동 - 독산동 - 석수역

구 550번 도시형버스(시흥3동 - 종로2가)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은천삼거리 - 종로2가' 구간을 단축했으며, 번호도 5526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8월 11일에 봉천5동(현 성현동) 방향만 경유하던 관악동부센트레빌아파트, 봉천사거리, 신봉초교입구 구간을 단축했다. 관련 공지사항

2012년 9월 18일에 석수역에서 박미삼거리로 단축되면서 5612번, 6618번과 통합되어 서울 버스 6516이 된다. 관련 공지사항

구 도시형 550번의 금천 - 관악 구간을 계승한 노선이었고, 신대방역 등으로 환승을 연계하기 위한 노선이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6516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7.13 5527(범일운수)

운행구간 : 호압사입구 - 범일운수종점 - 시흥동은행나무 - 은행나무사거리 - (→ 시흥사거리 →/← 백산초교 ←) - 박미삼거리 - 석수역

2005년 7월 5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7.14 5529(동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529.jpg
출처

운행구간 : 삼막사사거리 - 호압사입구 - 삼복터널 - 삼성산주공아파트 - 삼성산성지 - 신우초교 - 미림여고 - 관악농협신림동지점 - 쑥고개입구 - 문화교 - 신림역 - 보라매병원 - 모자원고개 - 신대방삼거리 - 성대시장 - 상도초교입구 - 아이리스프라자 - 동작구청앞 - 노량진역 - 본동가칠목.한강대교남단 - 흑석동빗물펌프장 - 중앙대

구 25-1번 도시형버스(삼막사사거리 - 중앙대)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5529번으로 바뀌었다.

2007년 1월 20일에 152번과 통합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7.15 5532(군포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532.jpg
출처
운행구간 : 군포공영차고지 - 군포역 - 군포시청 - 시민회관 - 산본시장 - 금정역 - 만안구청 - 안양1번가 - 유원지입구 - 관악역 - 석수역

구 지역순환 499번으로, 개편 전후에 대야미에서 군포차고지로 단축되었다.

2005년 7월 6일에 폐선되었으며, 이 때 대체노선으로 6번이 8월 16일에 신설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에 있다. 관련 공지사항

7.16 5533(범일운수)

서울 버스 5633 문서 참조.

7.17 5537(대운교통)

서울 버스 금천05 문서 참조.

7.18 5538(관악교통)

운행구간(편도로 운행) : 호압사입구 → 미림여고 → 미림여고입구교차로 → 서울대학교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유턴) → 봉천로 → 봉천역 → 당곡사거리 → 보라매공원 → 당곡사거리 → 신림역 → 문화교 → 삼성동시장 → 미림여고입구교차로 → 미림여고 → 호압사입구

2005년 6월 1일에 5613번이 보라매병원으로 단축되면서 번호가 5538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5년 8월 9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 노선도 편도순환 노선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던 데다가, 당시 '시흥2동 - 서울대입구역' 구간은 5412번빗자루질을 하고 있었고, '신림역 - 시흥2동' 구간도 5529번과 5711번과 중복되었기 때문에 공기수송을 면치 못했다. 편도 순환노선이라는 점과 노선 대부분의 구간이 다른 노선과 중복된다는 점에서 4012번과 비슷했다.

7.19 5538(오케이버스)

운행구간 : 봉천역 - 봉일시장 - 보라매공영주차장 - 성원홈아파트 - 당곡중고교 - 연희빌라 - 재넘이고개

서울 버스 관악11 참조.

7.20 5612(풍양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612.jpg
출처

운행구간 : 성현동(현대시장) - 봉천동 - 신대방동 -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역

구 105번 도시형버스(가양동 - 봉천동)가 전신이다. 이 때는 영인운수에서 운행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가양동 - 양남동로터리' 구간을 6630번에게 물려주고 단축했으며, 영등포구청 회차로 변경했다. 번호도 5612번으로 바뀌었다.

2011년 2월 8일부터 영등포구청 방향은 보라매병원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2년 9월 8일에 선유로, 당산로 구간이 단축되고 5526번, 6618번과 통합되어 서울 버스 6516이 되었다. 단축된 구간은 6630번이 맡게 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6516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7.21 5613(관악교통)

운행구간 : 시흥2동 벽산아파트 → 미림여고 → 서울대 → 관악구청 → 서울대입구역 → 봉천로 → 당곡사거리 → 보라매병원 → 당곡사거리 → 신림역 → 신림동 → 미림여고 → 시흥2동 벽산아파트

구 도시형 72-1번이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여의도로 단축되었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서울대 - 신림동 - 당곡사거리 - 신대방삼거리역 - 보라매역 - 공군회관 - 여의교 → 원효대교남단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여의도역 → 여의교 → 이후 역순

2005년 6월 1일에 보라매병원으로 단축되었고, 동시에 서울대입구역과 시흥2동 벽산아파트로 들어가게 되었다. 또한 기점이 서울대에서 벽산아파트로 변경되었고, 번호가 5538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위에 있는 5538번 항목을 참조.

7.22 5614(관악교통)

700px
출처

운행구간 : 서울대 - 신성초교 - 문화교 - 신림사거리 - 보라매병원 - 신대방삼거리역 - 성대시장 - 상도초교 - 동작구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 동양미래대학 - 고척시장 - 개봉1동주민센터 - 신정/고척동 - 양천공영차고지

구 94번 도시형버스(서울대 - 금옥여고)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5614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10월 24일에 신정동 방향은 영등포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영등포시장에 들어갔다가 나오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노선답게 지역주민들의 발로써 활약한 노선이었지만, 차고지 계약 문제로 인하여 양천공영차고지로 이전했고, 2006년 4월 쯤부터부터 기종점이 서로 바뀌었다. 그래도, 짧은 배차간격과 많은 구간수요 덕에 별 탈 없이 운행하였다.

200년 5월 3일에 양 방향 모두 영등포역 경유로 바뀌었다.

2011년 2월 8일에 구 5520번과 통합하여 6515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7.23 5622(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622.jpg
출처 깨알같은 옛 로또 로고
운행구간 : 가산동 - 구로역 - 동양미래대학 - 고척시장 - 신정네거리역 - 까치산역 - 화곡터널 - 화곡역 - 우장산역 - 발산역 - 가양동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2006년 5월 1일부로 양천공영차고지 - 가산동 구간이 단축되어 서울 버스 6657이 된다. 이후 2년 가량 운행하다가 노선이 도원교통에 매각되었다.

7.24 5628(한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628.jpg
출처
운행구간 : 독산한신아파트 - 하안아파트 - 철산역 - 광명시청 - 철산주공7~13단지 - 디지털오거리 - 구로디지털단지역

구 도시형 26-4번이 번호만 변경된 노선이었으며, 2006년 9월 4일부로 폐선되었다.

7.25 5629(한성운수)

운행구간 : 광명(철산동) - 광명경찰서 - 디지털오거리 - 대림역 - 우신초교 - 신길역 → 전경련 → 여의도역 → 증권거래소 → MBC → 여의나루역 → 국회의사당 → 신길역 → 이하 역순

지선버스 최초로 폐선

7.26 5631(대운교통)

서울 버스 금천06 문서 참조.

7.27 5632(대운교통)

서울 버스 금천07 문서 참조.

7.28 5711(동아운수)

출처

운행구간 : 시흥2동 벽산아파트 - 신림역 - 공군회관 - 여의도 - 광흥창역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서강대교입구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시흥2동 벽산아파트 - 신림역 - 성대시장 - 노량진 - 여의도 - 광흥창역 - 신촌오거리 - 이대역 - 서강대교입구'였다.

2005년 2월 3일에 '장승배기 - 노량진 - 대방역 - 신길역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구간을 '보라매역 - 서울지방병무청 - MBC[20] - 국회의사당'으로 변경하였다.

2005년 7월 10일에 증권거래소, 여의도역, 여의도지하차도 대신 여의도환승센터, 전경련회관, 여의서로, 국회의사당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6년 9월 15일에 서강대교입구 방향은 강남중학교 정류장을 중앙버스차로 정류장 정차로 바뀌었다.

21대로 운행하고 있어서 배차간격 면에서는 절대로 꿇릴 일이 없었던 노선이었는데, 정작 문제는 서강대교 입구 노상에서 차량들이 대기하다 보니 이 구간의 교통 흐름에 지장을 상당히 많이 주었고, 신대방삼거리 밑으로는 152와 완전히 중복되다 보니 노선 관리 면에서도 효율성이 그다지 없었다. 여기에 2005년부터 시작된 가스차량 의무출고가 결정타였다.

중복노선을 보고 싶지 않던 서울시청은 이 노선과 170번을 합칠 것을 지시하였다. 그 결과 2007년 4월 23일에 170번과 통합되면서 153번이 되었다.

2010년까지 153번에 남아있던 크고 아름다운(?) 물음표 형태의 여의도 코스가 2005년 변경 전 노선의 흔적이다.

8 6권역

8.1 6600(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오케이버스)

서울 버스 6600 문서 참조.

8.2 6612(세풍운수)

출처
운행구간 : 온수동 - 수궁동 - 세종과학고 - 서부트럭터미널 - 금옥여고 - 계남초교 - 고척시장 - 구일역- 구로구청 - 고대구로병원 - 남구로역 - 이마트구로점 - 구로디지털단지역

2005년 7월 29일에 노선을 대폭 변경하여(신정네거리 - 화곡동 - 목3동 - 등촌역 - 도시가스 - 합정역 - 홍대/신촌 → 서강대 → 이대), 현재의 6716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6716번 문서를 참조.

8.3 6615(세풍운수)

출처
운행구간 : 온수역 - 서서울생활과학고 - 서부트럭터미널 - 금옥여고 - 신트리공원 - 양천구청 - 목동중.목동8단지(회차) - (중략) - 서서울생활과학고 - 천왕역 - 서서울생활과학고 - 온수역

구 지역순환버스 470-1번으로 본래는 '온수역 - 오류동역 - 개봉사거리 - 광명사거리역 - 천왕역 - 서서울생활과학고 - 서부트럭터미널 - 금옥여고 - 신트리공원 - 양천구청 - 목동중.목동8단지(회차)' 구간으로 운행하려 했으나, 대개편 직전에 위와 같은 구간으로 운행하게 되었다.관련 게시물 이후 2005년 3월에 폐선.

이로 인해 천왕동 - 온수동을 오가는 노선이 없어져 인근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으나, 서울 버스 구로14가 신설되면서 해결되었다.관련 게시물

8.4 6618(중부운수)

운행구간 : 양천구청 - (→ 양천문화회관 →/← 양천구청역 ← 양천노인종합복지관 ← 신트리공원 ←) - 9단지B상가 - 신서고.서울영상고 - (→ 해풍아파트 →/← 신서고.영상고입구 ←) - 목동오거리 - 목동사거리 - 강서고 - 신목아파트 - 영도초교 - 성원.극동아파트 - 목동보건지소 - 목2동사무소 → 양동중 → 등촌시장 → 강서보건소 → 목2동사무소 → 이후 역순.

파일:Bus6618.jpg

꽤 오랜 역사를 지닌 노선인데, 전신은 3번 마을버스였으며, 전문 폴딩도어 아시아 코스모스가 주력 차종이였다. 그 당시에는 양천구청역까지 운행했다. 양천구의 유명한 빗자루질 노선이였는데, 이유인 즉슨, 양천구에 있는 지하철역은 1996년 8월 12일 이전까지 양천구청역 하나 뿐이였기 때문이다. 심지어 양천구청역1992년에 생겼다!!! 이후, 지역순환버스 453번으로 바뀌면서, 현대 에어로타운이 주력 차종이 되었고, 문래동까지 연장했다가 단축된 노선이다. (단축된 문래동 - 양천구청 구간은 6625번이 담당.)

한창 리즈시절의 배차간격은 10분이였다.

영도중/강서고,신목아파트와 해풍아파트 등 현재 버스노선이 없는 구간을 많이 경유했으며, 마을버스만 다니는 목동보건지소 쪽도 거쳐갔다. 이 거 주로 이용하던 승객 중 절반은 중고등학생이였다. 학생 수요가 꽤 많았는데, 특히 영도중/강서고 정류장은 학교 교문 바로 앞에서 승객을 취급했었다. ㅎㄷㄷ

괴악한 노선 구조를 자랑하고 있는데, 목동사거리 ~ 바이더웨이 구간이 특히 그랬는데, 곰달래고개 - (좌회전) - 영도초등학교 - 좌회전 - 영도중/강서고 - 오약국 - 우회전 - 대일고등학교 - 목동중앙남로11길 - 목동중앙본로7길 - 고개를 넘어 바이더웨이 보이면 좌회전 ~ 양동중 방면으로 가는 ㄹ자의 괴악한 노선 구조를 자랑하고 있었다.

1996년 8월 12일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되고 나서도 이 노선이 쭈욱 황금기를 이루었던 이유는 학생 수요가 꽤 많았기 때문. 2000년 12월 4일에 순환형으로 승객되면서, 453번을 부여받는다. 얼마 뒤에는 문래동까지 연장됐지만, 증차를 하지 않아 배차가 벌어져버렸다. 빙빙 돌아가는 노선 길이 때문에 점점 공기수송을 하다가 양천구청역으로 단축될 때 목동의 일부 구간이 변경됐다.

원래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목동사거리에서 곰달래고개로 가서 영도초등학교를 거쳐, 영도중/강서고 거치고 대일고 거쳐서 바이더웨이로 넘어가던 노선이 목동사거리에서 직진을 해서, 동방주유소 건너편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영도중/강서고를 거치고, 빠져나와서 영도초/신목중을 거치고 건너편 길로 들어가서 바이더웨이에서 우회전을 하는 노선으로 바뀐다. 영도초~강서보건소 구간은 1번, 2번 마을버스하고, 노선이 완벽히 겹치는 데다, 배차간격까지 밀리니, 경쟁이 될 리가... 결국 감차를 시키고, 15~30분 간격이라는 극악의 배차간격으로 다니다가, 2005년 8월 1일에 폐선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운행차량 5대는 6624번(2대)과 6625번(3대)으로 이동하였다. 출처

8.5 6618(도원교통, 오케이버스)

운행구간 : 양천차고지 - 금옥여고 - 신정3동우체국 - 고척2동주민센터 - 고척로 - 오금교 - 구로역 - 신도림현대아파트 - 신도림역(2번 출구)

2011년 5월 9일에 신설된 노선으로, 총 6대(도원교통 4대, 오케이버스 2대)로 운행하였다. 관련 공지사항

2012년 9월 8일부로 새말로 대신 경인로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5526번, 5612번과 통합되어 서울 버스 6516이 된다. 이 때 도원교통 차량은 빠지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6516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8.6 6619(세풍운수)

700px
출처
운행구간 : 신정동 - 서울남부지법.지검 - 목동오거리 - 목동사거리 - 곰달래고개 - 신목중 - 발전소 - 이대목동병원 - 롯데제과 - 당산역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본래는 영등포역으로 가던 노선이었다.

2004년 8월 10일에 구 6622번과 통합하면서 '목동역 → 곰달래고개 → 신목중 → 발전소 → 롯데제과 → 당산역 → 영등포 → 김안과 → 양남사거리 → 오목교역'(목동 방면, 역순은 신트리 방면)의 순환급 노선이 된다.

하지만, 수요가 안됐는지 2005년 5월에 영등포 방면이 6657번으로 분리되면서, 위와 같은 노선이 되었다.

2005년 8월 9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8.7 6621(신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21.jpg
출처
운행구간 : 구로3공단 - 신월동 - 목동역 - 양천구청 - 목동아파트 - 당산역 - 여의도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구 도시형 325번의 한강 이남 구간을 대체하는 노선이었다.

2005년 4월 말~5월 초에 폐선되었다. 이 때 차량들이 당시 가산동 - 서울대를 운행하던 5528번으로 거의 이동하게 되면서 엄청난 득을 봤다.

8.8 6622(세풍운수)

운행구간 : 세풍운수종점 - 신정4동농협 - 신정네거리역 - 신정사거리 - 신곡시장앞 - 풍양운수종점 - 신월지하차도 - 신월아파트정문 - 푸른마을/넓은마을아파트 - 신정현대아파트 - 양천고 - 정랑고개 - 신트리아파트 - 신트리공원 - 목동12단지 - 양천구민체육센터 - 양천구청 - 양천공원 - 신정2동사무소 - 오목교역 - 관악고 - 영등포기계상가 → 영등포구청 → 당산삼성아파트 → 당산역 → 당산유원아파트 → 영등포구청 → 이하 역순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었으며, 2004년 8월 10일부로 6619번과 통합하였다.관련 게시물 겨우 40일동안 존재했던, 노선이었다.

8.9 6633(공항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33.jpg
출처
운행구간 : 방화동 - 가양단지 - 인공폭포 - 당산역 → KBS → 여의도환승센터 → MBC → 여의나루역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당산역 → 이하 역순

구 도시형 9번에서 가양아파트단지 구간이 변경된 노선이었다.

2005년 7월 10일에 국회의사당, 여의도역 경유에서 KBS, 여의도버스환승센터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고, 결국 2010년 1월 8일부로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참고로.. 이 노선은 2008년 무한도전 지못미 특집에서 정형돈이 탔던 노선이다. 마침 차량도 위 사진과 같은 BM090

6633번을 없애고 605 등에 증차하면서 한동안 605에 중형차가 다니기도 했었다.

8.10 6634(신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34.jpg
출처
운행구간 : 손치과앞 - 까치산역 - 화곡역 - 발산역 - 가양동 - 강서구청 - 화곡역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구로2/3공단(가리봉역) - 시흥IC - 코카콜라 - 박미고개

구 388번을 계승한 노선으로, 예나 지금이나 남부순환로에서 엄청난 수요를 보이는 노선이었다. 2005년 12월에 시흥대로 버스중앙차로가 개통하였고, 중앙차로를 이용하기 위해 간선버스인 서울 버스 652로 전환하였다.

이후 석수역으로 연장되어 운행했다가, 다시 독산사거리로 단축되었다.

8.11 6636(세풍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36.jpg
출처
운행구간 : 철산동 - 철산역 - 광명사거리 - 개봉동 - 고척동 - 목동14단지 - 오목교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구청 → 당산역 → 이하 역순

2004년 9월 6일까지만 운행하고 폐선되었다. 그 대신 6638번이 고척중 - 오목교 쪽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8.12 6639(범일운수)

운행구간 : 광명(노온사동) - 과림동(탄평마을) - 옥길동 - 천왕역 - 광명사거리 - 진성학원 - 개봉역

노온사동과 사당역을 오가던 구 도시형 140번이 대개편 때 단축된 노선으로, 개편 초기에는 영등포까지 운행하였다.

2005년 8월 23일에 구로역으로 단축되었고, 애경백화점을 지나서 U턴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개봉역으로 단축되었다.

2006년 11월 30일에 폐선되었다. 서울시버스조합 공지사항 범일운수 공지사항 현재 대체노선으로는 1번, 39번이 있다.

8.13 6641(김포교통)

서울 버스 6641 문서 참조.

8.14 6644(정평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44.jpg
출처

운행 구간 : 가양9단지 → 가양3동주민센터 → 강서구청별관 → 현대아파트 → 마포중.고교 → 강서구청 → 우장초교 → 제일성심 → 대동연립 → 우신아파트 → 양서아파트 → 우장산역 → 발산역 → 등촌4단지 → 등촌1단지 → 가양사거리 → 가양1~6단지 → 가양초교 → 이마트가양점 → 가양9단지

본래 2005년 8월 19일에 6642번과 통합될 예정이었으나, 민원이 대량 발생해 무산되었다. 관련 기사 관련 게시물

2008년 7월 5일에 6642번과 통합하였다. '마곡수명산파크 - 가양동' 구간을 운행하게 된 것이 바로 이것 때문.

8.15 6646(정평운수)

운행구간 : 길훈아파트 - 마곡푸르지오 - 구.공항버스종점입구 - 신방화사거리 - 공항중 - 송정역 - 공항시장 - 강서농협 - 방화1동주민센터 - 한서고 → 방화역 → 방화3동주민센터 → 삼익아파트 → 한서고 → 이후 역순

2005년 7월 29일에 '건우아파트 - 서광주택 - 세민여자정보고 - 군산회집 - 동부아파트 - 방화사거리 - 구.600번종점 - 방화사거리 - (→ 개화산역 → 방화11단지 → 개화산역 →) - 방신시장' 구간이 '건우아파트 - 방화동종점 - 구.공항버스종점입구 - 방화1~2단지 - 방화역 - 보람아파트 - 국민은행방화동지점 - 방신시장'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9년 9월 21일에 '방화역 - 강서공고 - 신방화사거리' 구간이 단축된 대신 '송정역 - 신방화사거리' 구간이 연장되었다. 그리고 송정역 회차에서 방화역 회차로 바뀌어 '길훈아파트 - 신방화사거리 - 방화역 - 공항시장 - 송정역' 노선에서 '길훈아파트 - 신방화사거리 - 송정역 - 공항시장 - 방화역'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4년 6월 25일에 6647번으로 흡수되었다.

8.16 6648(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48.jpg
출처
서울 버스 양천04 문서 참조.

8.17 6650(오케이버스)

서울 버스 영등포12 문서 참조.

8.18 6651(오케이버스)

서울 버스 영등포13문서를 참조.

8.19 6652(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52.jpg
출처

서울 버스 영등포07 문서를 참조.

8.20 6653(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53.jpg
출처
서울 버스 영등포09 문서 참조.

8.21 6654(오케이버스)

서울 버스 6654 문서 참조.

8.22 6655(원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55.jpg
출처
서울 버스 강서05 문서 참조.

8.23 6656(세풍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56.jpg
출처
운행구간 : 온수동 - 수궁치안센터 - 온수어린이집 - 초운교회

광역에 9413번이 있다면, 지선에는 6656번이 있다.

노선 길이 왕복 1.3km로, 노선기획자의 의도가 실로 궁금해지는 노선. 동네주민들 챙겨주려고? 그럴거면 다른 곳이나 좀 신경써주지 결국 2004년 10월 15일에 폐선된다. 그래도 6622보다는 오래 다녔다.

8.24 6656(오케이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656a.jpg
출처
서울 버스 영등포06 문서 참조.

8.25 6657(세풍운수)

운행구간 : 신정동 - 신정4동농협 - 신정네거리역 - 신트리공원 - 목동아파트단지 - 양천구청 - 양천공원 - (→ 신정2동사무소 →/← 목동중 ←) - 오목교역.청학스포츠타운 - 오목교 - 관악고 - 영등포기계상가 - 양남로터리 - 당산동진로아파트 - 김안과 → 신세계백화점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경원극장) → 영등포시장.연흥극장 → 김안과 → 이후 역순

목동과 당산역, 영등포역 구간을 크게 순환하던 구 6619번에서 파생된 노선으로, 영등포역 방면을 담당하였다.

2005년 7월 29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8.26 6711(신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711.jpg
출처

운행구간 : 부천(상동) - 송내역 - 송내초교 - 넘말 - 계남고교 - 미리내마을 - 부천시청 - 중흥중학교 - 약대동 - 부천북중 - 도당동 - 원종동 - 고강동 - 신월5동사무소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연희104고지 → 연세대학교 → 신촌역(지하) → 동교동3거리 → 연희104고지 → 이하 역순

구 588-1번 도시형버스(상동 - 신촌로터리)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6711번으로 바뀌었다.

2007년 2월 24일에 '성진그린타운 - 고강1동사무소' 구간을 오정대로(현 봉오대로) 직통으로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그럭저럭 운행했지만 적은 운행 대수에 배차 간격이 극악할 정도로 심해, 결국 2008년 10월 25일에 9600번과 합쳐 607번 간선버스가 되었다. 이후 연혁은 서울 버스 673 문서를 참조.

9 7권역

9.1 7012(유성운수)

운행구간 : 상암동 - 성산시장 - 망원1동사무소 - 성산초교 - 합정역 - 서교동사거리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종근당 - 서소문 → 광화문 → 경복궁 → 안국동 → 조계사 → 을지로입구 → 시청 → 서소문 → 이하 역순

2004년 10월 25일부로 7011번에 통합되었다.

9.2 7014(보광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14.jpg
출처
운행구간 :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북가좌삼거리 - 북가좌초교 - 모래내우체국 - 연가교 - 남가좌현대아파트 - 명지대사거리 - 백련시장 - 연희삼거리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충정로역 - 서대문역 - 경찰청 - 서울역 → 퇴계로2가 → 중앙극장 → 을지로입구 → 명동롯데 → 남대문시장 → 서울역 → 이하 역순

구 50번을 대체하는 노선이었으며, 개편 초기에는 서부면허시험장과 월드컵경기장을 경유하였다.

이후 월드컵터널 - 증산중 - 증산3교 - 북가좌초교, 마포농수산물시장 - 성산아파트입구 - 상암지하차도 - 북가좌동삼거리 - 성산회관 - 연세대 순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상암동 경유는 맞으나 세부경로가 불확실하므로 자세한 내용 추가바람)

이후 상암동을 거치지 않도록 변경된 듯하다.

2005년 6월 27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9.3 7015(보광교통)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서부면허시험장 - 월드컵경기장 - 성산아파트 - 중동초등학교 - 성산2교 - 구성산회관 - 연세대학 - 이대입구 - 종근당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명동롯데 → 을지로입구 → 중앙극장 → 퇴계로1,2가→ 종근당 → 이하 역순 (불확실하므로 오류가 있을 시 수정바람)

위에 있는 한성운수 5629번(철산동 - 여의도)과 더불어 존재감 없이 빨리 폐지된 지선노선 중 하나. 이걸 적는 본인도 7015번을 딱 한 번 목격했을 정도로 배차도 길고 수요도 없던 노선이었다.

어렴풋이 기억나는 건 당시 저 회사에 있던 차들이 상태가 심히 안 좋았는데 그 중 GRYB 도색도 안 한 낡아빠진 96년식 에어로시티가 힘겹게 중앙극장에서 퇴계로 방면으로 갔다는 것.

2005년에 바로 위에 있는 7014번으로 통합되었다.

워낙 존재감 없던 노선이라 당 노선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많이 부족하므로 자세한 정보를 아는 사용자가 추가하길 바란다.

9.4 7019녹번역(현대교통)

운행구간 : 홍은동종점 - 명지전문대 - 강어지루의원 - 구150번 종점 - 강어지루의원 - 은평병원 - 백련산길 - 녹번역 - 유진상가

2007년 11월 신설된, 위에서 말한 출퇴근 맞춤버스와는 별개로 7019번의 백련산길 구간을 커버하기 위한 7019의 마이너 카피노선. 진짜 번호가 '7019녹번역'이었고 기존 7019번 노선에서 3대가 차출되어 운행했다.
맞춤버스가 아닌 상시운행이었고 7019번이 2008년 6월 수색으로 연장될 때 사라졌다.

9.5 7020(현대교통)

운행구간 : 홍은동 - 모래내 - 연대앞 - 남대문시장

구 도시형 543번이 동대문운동장까지 단축된 노선으로, 중복노선이 많아 이후에 남대문시장으로 다시 단축되었다.

2005년 4월 22일부로 간선버스인 708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후 7716 지선으로 강등되었다가 조용히 사라졌다.

9.6 7023(제일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23.jpg
출처

서울 버스 7725 문서 참조.

9.7 7111(선진운수)

운행경로 : 은평차고지 - 수색전철역 - 증산역 - 새절역 - 응암역(신사오거리) - 역촌역 - 불광역 - 구기터널 - 북악터널 - 국민대학교 - 정릉2동사무소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2개월 뒤 서울 버스 7025가 되었다.

9.8 7612(합정역)(현대교통)

운행구간 : 홍은동종점 - 명지대학교 - 백련시장 - 연희1동사무소 - 연희교차로 - 연남동 - 홍대전철역 - 경남예식장 - 합정역 회차구간의 강변북로 경유는 덤

7019(녹번역)가 만들어질 때 같이 만들어진 7612번의 하위호환 노선.
폭풍수요로 악명이 자자한 명지대 - 홍대 간을 보조하기 위하여 2007년 11월에 신설된 노선이다. 당시 7612번 차량 14대 중에서 4대가 차출되어 상시운행했다.

하지만 이 구간은 도저히 감당불가였던 모양인지 7019번(녹번역)과 함께 2008년 6월 폐지하고, 최후의 희생양으로 7611번과 7713번을 지목하여 2014년 10월 기준 이 노선이 있을 당시보다 무려 7대가 7612번에 증차되었다.

9.9 7614(서부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614.jpg
출처
운행경로 : 북가좌동 - 증산역 - 성산아파트 - 성서초등학교 - 마포구청 - 나이아가라호텔 - 가양단지 - 화진화장품 - 발산역 - 우장산역 - 화곡역 - 강서교육청 - 신월사거리

노선 자체는 참신했으나 6627번과 한강이남구간이 중복되어 수요는 영 아니었다. 그러다가 2005년 7월에 300번이 폐선되면서 당시 705번이 이를 대체할 필요성이 대두되자 이 노선 증차를 위해 2005년 7월 15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9.10 7712(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712.jpg
위 차량은 7613번으로 넘어간 뒤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 출처

운행구간 : 갈현동 - 역촌오거리 - 은평구청 - 홍제역 - 서대문 - 아현역 - 이대역 - 명물거리 - 신촌기차역

2008년 12월 20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그 대신 7740번이 신설되었다.

9.11 7714(현대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714.jpg
출처

운행구간 : 홍연2교 - 명지중.고교 - 명지대학교 - 연희중 - 연가초교 - 북가좌소방파출소 - 증산역 - 증산중 - 마포농수산물센터 - 월드컵경기장

2008년 6월 1일에 7019번에 흡수되었다. 이 때 7019번이 수색으로 연장되었다. 관련 기사 폐선된 구간 중 '홍연2교 - 증산역' 구간은 8771번 맞춤버스를 신설하여 대체하게 되었다.

현재 운행 중인 7714번과는 전혀 무관한 노선이다. 이 쪽은 2012년 3월 16일에 신설.

9.12 7716(유성운수)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서부면허시험장 - 상암동 - 성산아파트 - 중동초등학교 - 홍대전철역

2004년 10월 25일부로 7016번에 통합되었다.

9.13 7716(현대교통)

서울 버스 7716 문서 참조.

9.14 7717(선진운수)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덕은교 - 수색소방파출소 - 수색동사무소 - 수색대림아파트 - 은평터널 - 상신중 - 미성아파트 - 새마을금고 - 숭실고입구 - 응암오거리 - 서부농협 - 신진공고 - 서부병원 - 서대문세무서별관 - 은평구청 - 녹번역 - 미미예식장 - 유진상가

2004년 12월 20일에 752번이 연장되면서, 1대(서울 74사 4543)가 752번으로 넘어갔다. 관련 공지사항

2005년 8월 22일에 7025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9.15 7718(선진운수)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구.수색역 - 증산교 - 증산중 - 연서중 - 상신중 - 숭실고 - 신사오거리 - 역촌초교 - 역촌상가 - 구산역 → 예일여고사거리 → 대조동사무소 → 연신내역 → 동명여고 → 구산역 → 이하 역순

구 430번 지역순환버스가 번호만 변경된 노선이었다.

2005년 8월 22일에 당시 월드컵공원과 연신내역을 오가던 7715번(구 431번)에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9.16 7721(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721.jpg
위 차량은 7022번 예비차로 넘어간 뒤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운행 중이다. 출처

운행구간 : 갈현동 - 서울기독대학교입구 - 신사동고개 - 신사오거리 - 응암오거리 - 명지전문대 → 서대문구청 → 서대문문화체육회관 → 이하 역순

지하철역을 단 한 개도 지나지 않던 유이한 노선으로, 현재는 1166번만이 남아있다.[21]

총 인가댓수 4대로, 지선버스의 목적에 어긋나는 노선이었지만 꽤 오래 버텼다. 2008년 12월 20일에 폐선. 관련 공지사항

하지만, 이 노선과 7712번을 대체한다고 8774번을 신설했는데, 역촌역 왕복 경유였다가 하행만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9.17 7724(제일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724.jpg
출처

운행구간 : 진관사 - 기자촌 - 구파발역

진관사/구파발역과 기자촌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구파발역 방면으로는 7723번이 있고, 진관사 방면은 주말 등산객 수요로만 먹고 살던 구간이기 때문에, 40~45분이라는 서울시 시내버스답지 않은 배차간격을 보여주었다.

2008년 6월 1일에 7723번이 기자촌 대신 은평뉴타운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대신 기자촌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관련 기사

진관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2009년 11월 14일에 진관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고, 기자촌입구로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2010년 8월 2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9.18 7725(신촌교통)

서울 버스 7725 문서 참조.

9.19 7725(제일여객)

서울 버스 7725 문서 참조.

9.20 7729(선진운수)

운행구간 : 용두사거리 - 용두초교입구 - 애견훈련장 - 애기능 - 대성상회 - 다사랑교회 - 느티나무 - 서약국 - 은평차고지 - 덕은교 - 수색검문소 - 수색소방파출소 - 수색역 → 증산빗물펌프장 → 증산교 → 증산3교 → 수색역(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이후 역순

구 429번 지역순환버스(향동동 - 연희나들목)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7729번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6월에 '향동동 - 용두사거리' 구간이 연장되었고, 그 대신에 '구.수색역 - 연희나들목' 구간이 단축되었다.

총 5대로 운행하다가, 2006년 12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대체 노선으로 '삼송동 - 용두동 - 용두초교 - 향동동 - 은평차고지 - 화전역' 구간을 1대로 운행하던 명성운수 04번이 수색역까지 연장되면서 75번이 되었다. 이것이 바로 버스 동호인계에서 유명한 현 075번 마을버스의 시초.

9.21 7731(보광교통)

단축 전의 모습 출처
400px400px
개편 전에 400번[22]이 있었다면, 개편 후에는 7731번이 있다.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덕은동 - 화전동주민센터 - 항공대 - 화전동 - 화전예비군훈련장

본래는 화전에서 은평차고지, 수색역을 거쳐 북가좌초교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그런데 뜬금없이 2010년 11월 22일부로 은평차고지 - 북가좌초교 구간이 단축되어, 화전예비군훈련장 - 은평차고지라는 아웃서울 노선이 탄생하고 만다.

결국 2011년 8월 25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9.22 7731(신성교통)

운행구간 : 고양동 벽제묘지 - 고양시장 - 대자동 - 오금동 - 삼송역 - 구파발 - 연신내역 - 서부터미널 - 불광역

구 도시형 158-3번에서 '불광동 - 서울역' 구간이 단축된 노선이었다.

보다시피 703번과 중복되는 구간이 너무 많아, 결국 2008년 2월 18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703과 통합이라고 썼지만 고양동 구간이 통째로 없어지므로 폐선이다. 대체노선으로 330번이 개통하였다. 이 때는 불광역으로 가지 않았지만, 이후 경유하게 되었다.

9.23 7734(제일여객)

운행구간 : 파주(다율리) - 교하/운정지구 - 가구공단 - 탄현큰마을 - 탄현역 - 신원A - 일산시장 - 복음병원 - 식사오거리 - 고양시청 - 원당역 - 원흥동 - 삼송역 - 동산동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서부터미널 - 불광역

구 도시형 158-5번이 단축된 노선으로, 2005년 2월 27일부로 7733번과 통합하였다.

9.24 7735(신성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735.jpg
출처

운행구간 : 금촌 - 파주시청 - 공설운동장 - 봉일천시장 - 사단앞 - 장곡리 - 내유동 - 관산동 - 대자동 - 삼송역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동

구 158-2번 도시형버스(금촌 - 서울역)가 전신이다. 한때 158-2번이 아동동 종점에서 '팜스프링아파트 - 맥금동' 구간에 아파트 단지가 생기자 해당 지역의 교통편으로 시범 운행하다가, 정식으로 맥금동에 종점이 하나 더 생기자 맥금동차고지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과도한 운행 시간과 드문 배차간격 및 당시에 존재했던 시계외요금 등으로 인한 불편 때문에, 9709번의 전신인 912번 좌석버스와 기점을 맞바꿔 아동동으로 돌아왔다.

2004년 7월 1일에 '불광동 - 서울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번호도 7735번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9월 26일에 삼송동 차고지가 삼송지구 재개발로 인해 폐쇄되면서 760번이 아동동차고지까지 연장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760번에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60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9.25 7736(원버스)

운행구간 : 봉원사 - 세브란스병원 - 연대앞 - 신촌로터리

서대문구 8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7736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8월 10일에 7024번으로 흡수되었다. 7024번이 신촌과 서울역을 오갈 때 봉원사를 들어갔다가 나오는 게 바로 이 노선 때문.

9.26 7739(원버스)

서울 버스 7739 문서 참조. 폐선됐다가 다시 부활했지만, 일단 폐선된 적이 있으므로 기재하였다.

9.27 7740(선진운수)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수색기차역 - 은평터널 - 신사동고개 - 새절역 - 신사오거리 - 서부병원 - 서대문세무서별관 - 녹번역 - 유진상가

잉여노선 7717의 재탕. 2008년 12월 20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2010년 1월 8일부터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0212번의 공차회송문제 해소와 수요 증진을 목적으로 2010년 8월 21일에 0212번과 통합되어 7212번으로 변경되었다. 선진운수 공지사항 토피스 공지사항

9.28 7740(봉원교통)

본래 영운운수 11번 마을버스 노선으로 잠깐 7740번 시내버스로 영운운수가 봉원교통이란 이름으로 참여했다가 다시 은평05번으로 돌아갔다.

이런 예(시내 → 마을버스 전환)가 많이 있는데 하나같이 수요가 상당히 많다는 공통점이 있다.
  1. 1016, 109, 9705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KTX 연계를 목적으로 용산으로 연장됬으나 모두 단축/폐선되었다.
  2. 현대백화점이 셔틀버스를 못 굴리는지라 꼼수를 써서, 지역 버스회사인 동아운수의 이름을 빌려서 마을버스를 운영했다는 설이 있다. 당시 현대백화점에서 물건을 사면 정류소의 승차권을 뽑아서 443번을 무료로 타고가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 심지어 아무것도 안 사고 티켓만 뽑으면 무임승차도 가능했다고 한다. 폐선된 시기도 개편 직후인지라, 나름 신빙성 있는 소문이다.
  3. 좌개차이며, 하이파워로써는 보기 드문 중문 폴딩형 차량이었다. 대개편 이전에는 구 도시형 720번(노원교차고지 - 경동시장. 좌석버스 시절에는 종로와 마포를 거쳐 여의도까지 갔다.)에서 운행하였다.
  4. 정확히는 평안운수로 넘어갔다. 01~03년식인지라 대차시키고 바로 재도색해서 로얄미디ᆞ하이파워ᆞ현대차의 대차분으로 투입
  5. 안암오거리부터 고려대학교까지는 일방통행 구간이다.
  6. 당시엔 A/B 표기가 없던 때라 청량리역 방면, 우신향병원 방면으로 표기했다.
  7. 당시에는 서울 버스 1128도 지금과는 달리 1권역을 순환하는 형태였다.
  8. 9205번과는 다르게 진건 주민들의 민원은 없었다. 금곡과 예비군훈련장까지 돌아서 도심으로 가는데, 굳이 민원을 넣을 필요가 없었기 때문.
  9. 공식적으로는 중랑차고지이나 실제로는 양원역, 송곡여고에서 회차했다. 당시엔 중랑공영차고지가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아 지금처럼 많은 노선들이 입주하기 어려운 상태이였기 때문. 실질적으로 북부운수 노선중 중랑차고지 첫 입주 노선은 262번이다.
  10. 광진경찰서 정류장(아차산역 방면만 해당), 즉 당시의 동부경찰서 정류장은 지금도 그렇지만 구의사거리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노선은 경찰서 앞 횡단보도서 구청 쪽으로 약간 떨어진 정류장에만 정차하며, 이외의 노선들은 모두 횡단보도서 구의사거리 쪽으로 약간 떨어진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그런데 원래 2221번 노선은 구의사거리서 직진을 하기 때문에 사거리 쪽과 가까운 정류장에 정차했으나 2221번 대공원정문 노선은 구의사거리서 좌회전을 하기 때문에 구청 근처의 정류장에만 정차했기 때문에 같은 2221번이라도 정차 정류장이 다른 상황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여기서 하차하려는 승객이나, 여기서 승차하려는 승객이나 큰 혼란이 생기고 이로 인해서 민원이 발생한 것.
  11. 당시 승객들 대부분은 대공원 정문 노선이 생긴 것을 잘 몰랐기 때문에(특히 학생들) 갑자기 버스들이 무정차를 시작했다며 분통을 터트리는 일이 종종 있었다.
  12. 참고로 광역버스를 제외하면 구리,남양주를 다녔던 서울 시내버스중 가장 먼저 숙청된 노선이다(2015년 기준 가장 늦게 숙청된 시내버스는 1225번).
  13. 제기로 홍파초교 후문, 제기동주민센터 -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 구간에는 버스가 하나도 다니지 않는다.
  14. 이 노선 대신 쑥고개를 경유하는 5517번도 있으나, 배차 간격이 끔찍하므로 5520번을 탈 확률이 훨씬 더 높았다. 6516번으로 변경된 후에는 배차 간격 차이는 더 심해졌고... 게다가 5517번은 노선도 완전히 꼬여 있다!
  15. 단 서울대입구역에서 탑승할 때에는 관악구청 쪽으로 올라가서 탑승해야 한다.
  16. 노선이 낙성대입구를 경유하는 쪽으로 바뀌었기 때문. 이렇게 만든 이유는 이 노선이 폐선된 5412번 버스를 대체하기 때문이다. 노선 변경 초기에는 낙성대역이나 사당역까지 가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었다. 때문에 기점인 현대시장 쪽에서 이 버스를 이용하려면 낙성대입구 쪽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시간 손실이 크다.
  17. 오케이버스는 조원동 차고지를 팔아서 그 쪽에서 주박하는 5524번 버스를 보성운수 난곡차고지 근처로 옮기는 과정에서 5524번 버스의 거리연장으로 인해 몇 대의 차가 필요했고 관악교통은 5520번 버스를 양천차고지에 주박해 종점과 주박지와의 공차거리가 상당했다.
  18. 과거에는 상마운수도 참여해 회사별로 1대씩 운행했지만, 상마운수가 부도로 인해 폐업하면서 이 인가분은 한남운수가 인수했다. 이후 한남운수가 2대, 나머지 회사가 1대씩, 총 4대가 15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19. 현 보라매로5가길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했다.
  20. 당시에는 여의도에 있었다.
  21. 다만 우이경전철이 개통되면, 이 노선도 지하철역과 연계되는 노선이 된다.
  22. 망우리고개 - 도곡리를 오가는 노선으로, 대표적인 아웃서울 노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