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간선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광역버스순환버스심야버스
폐선 목록
간선지선마을맞춤광역순환
개편 전
0번대100번대200번대300번대400번대500번대
600번대700번대800번대900번대1000번대 이후맞춤버스
마을버스
한정면허 (특수 체계)
공항버스시티투어

목차

1 개요

1970년 4월 1일 개편으로 정릉부터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1번부터 165번까지 번호를 부여받았다. 이후 변경과 폐지, 신설, 165번 이후의 번호 부여 등으로 인해 이 체계가 무너졌다.

2 100 (개봉여객 → 광명운수) (★)

운행구간 : 광명(광남사거리) - 개봉사거리 - 구로소방서삼거리 - 목동8~14단지 - 오금교 - 구로역 - 구로구청 - 신도림역

신설 초기에는 개봉동 → 신촌 → 광화문 → 서울역 → 영등포 → 노량진 → 개봉동 간을 운행하였다. 이후 1973년 3월 14일부로 노선이 100번과 140번으로 분리되면서 개봉동 - 노량진 - 서울역 간을 운행하게 된다.출처(동아일보, 1973. 3. 14, 6p)
1974년 8월 16일부터 100번은 개봉동 - 영등포시장 - 양화대교 - 신촌 - 시청 - 서울역 - 삼각지 - 한강대교 - 영등포시장 - 개봉동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출처(매일경제, 1974. 8. 13, 7p)
이후 개봉동 - 영등포 -신촌 - 광화문 - 서울역 - 시청 구간으로 변경(1978), 신촌으로 단축(1979. 2. 1), 광명 연장 및 당산동 단축(1981), 목동아파트단지 입성(1989. 2. 1), 신도림 단축(1993. 8. 10)을 거쳐 1997년에 폐선되었다.

3 100-1 (개봉여객 → 광명운수 → 범일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1.jpg
출처
운행구간 : 광명(노온사동) - 광남사거리 - 광명역(현 광명사거리역) - 개봉입구(개봉역) - 동양공전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 - 당산역 - 롯데/해태제과 - 목 1>2>3>4>7>5>6단지

1978년에 신설된 노선으로 해태제과 - 영등포 - 개봉동 구간을 오가는 노선이었다. 이후 목동아파트단지 연장(1989), CBS 경유(1993. 8. 10)를 거쳐 대개편 때 최종 폐선되었다. 대신 100-3번의 후신인 6637번이 이 노선을 어느 정도 답습하고 있고, 당산역-목동 구간은 603번이 대체해주고 있다.

4 100-2 (개봉여객) (★)

1980년 11월 21일에 구로구청 신청사가 완공하게 되면서 신설된 노선으로, 광명리 - 개봉동 - 고척교 - 구로동입구 - 소방서 - 구로구청 간을 운행하였다.출처(경향신문, 1980. 11. 21, 7p) 1989년에 폐선.

5 100-3 (개봉여객 → 광명운수 → 범일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3.jpg
개봉여객에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3a.jpg
범일운수 이관 이후의 모습.출처
운행구간 : 노온사동 - 광남사거리 - 광명역(현 광명사거리역) - 개봉입구(개봉역) - 동양공전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 - 목동아파트단지(6>1>2>3>4>7>5>6)

1989년 2월 1일에 신설된 노선으로, 개편 때 서울 버스 6637로 존치되었다.

6 101 (영일교통 → 보성운수)

운행구간 : 난곡(난향동)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역 - 노량진수산시장 - 본동가칠목

원래는 후암동까지 다니던 노선.

7 101-1 (보성운수)

운행구간 : 난곡 - 나무앞 - 우림시장 - 남강중고교 - 종합시장 - 신일교회 - 국민은행 - 난곡입구 - 남서울중 - 신림사거리 - 전매서 - 관악초교 - 전화국 - 봉천사거리 - 낙성대

난곡 - 낙성대역의 그 짧은 구간에 다니던 노선으로 운행대수만 28대, '정규' 배차간격 2분.
개편기준 1일 운행횟수 436회였던 전무후무한 전설의 노선. 나름 빗자루라고 소문난 부천의 88이나 안산의 52도 여기 앞에서는...

개편 때까지만 해도 전 구간 존치되어 5521번이 되었는데 그 이후가 문제였다. 서울 버스 5522, 서울 버스 5523 참조.

8 102 (상마운수) (★)

운행구간 : 봉천동(현대시장) - 당곡사거리 - 신대방삼거리 - 서울공고 - 대방역 - 영등포시장 - 양남로터리 - 오목교 - 목동오거리 - 목동사거리 - 화곡전화국 - 화곡동(중앙골목시장) - 신월초교 - 화곡중.고 - 발산사거리 - 마포고 - 가양동(회차)

당시 신정동과 봉천동을 오가던 109번에서 분리 신설된 노선이었다. 신설 초기에는 봉천동에서 신월동까지만 운행하였지만, 이후 발산동과 가양동 순으로 연장되었다.(봉천동 회차시 봉천역을, 가양동 회차시 가양아파트단지를 경유하였다.)

상마운수가 부도하기 직전인 2002년 8월 26일부로 폐선되었다. 다만, 이 때 영인운수가 105번을 신설하면서 사실상 노선이 양도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후 내용은 아래 105번 항목 참조.

9 103 (안양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3.jpg
출처
운행구간 : 안양(비산동) - 안양역 - 안양유원지입구 - 석수역 - 시흥 - 구로디지털단지역 - 신풍역 - 대신시장 - 영등포 - 당산역 - 합정역 - 홍대입구 - 신촌 - 아현동

개편 이후 영등포 - 아현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서울 버스 5625 참조.

10 103-1 (안양교통)

운행구간 : 안양(비산동) - 안양역 - 안양유원지입구 - 석수역 - 시흥 - 남구로역 - 구로구청 - 신도림역 - 구로역 - 개봉동

개편과 함께 그대로 운행하다가 이후 신도림역 왕복 경유를 폐지하고 오류동에서 온수역까지 연장되어 지금에 이른다. 서울 버스 5626 참조.

2003년 때 환타 광고에 출연했었다. 링크

11 103-2 (안양교통) (★)

1기 노선은 1990년대 초에 안양 비산동에서 평촌을 경유하여 시흥대로. 신길로. 영등포시장과 영등포구청. 당산역까지 갔었다가 폐선되었다. 그리고 2000년에 부활하여 안양에서 개봉사거리까지는 103-1번과 노선이 동일했고, 광명사거리를 경유하여 광명7동 까지 내려갔지만 그리 오래 가지 못하고 폐선되었다.

12 104 (유진운수 → 경동교통 → 유진운수 → 군포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4.jpg
단축 전의 모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4a.jpg
단축 후의 모습.출처
운행구간 : 산본4단지 - 산본공고 - 산본2동사무소 - 산본시장 - 금정역 - 명학역 - 안양역 - 석수2동사무소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구로공단역 - 보라매공원 - 서울지방병무청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 순복음교회

1970년 개편 이전엔 89번 일반좌석이었으며, 이후 유진운수 시절에는 안양1번가에서 여의도, 마포, 만리동고개, 서울역, 광화문을 거쳐 삼청동까지 운행하였다. 이후 군포까지 연장되었다가 1992년 7월에 여의도로 단축 운행.

당시 우신버스와 같은 산본4단지 차고지를 사용하였다. 물론 4단지 차고지는 우신버스가 주인이었고, 유진운수는 세입자 처지였다. 군포시에서 광화문을 넘어 삼청동까지 갔다가 92년 말에 여의도로 단축되었다.[1][2] 한때 군포, 안양에서 서울로 향하는 노선 중에 704번 다음으로 잘 나가는 노선이었고, 여의도로 단축된 이후에도 황금노선으로 자리매김하며 남부럽지 않게 다녔다. 서울 한강과 맞닿은 곳까지 간다는 메리트 때문에 여의도에서 타는 승객도 많았다.

그러나 1996년 8월에 서울시의 일방적 노선 구조조정에 항의하는 뜻으로 파행 운행하여 세간의 신문과 뉴스에도 나왔고, 이듬해에는 유진운수가 1차 부도를 맞으면서 시내버스들이 압류, 처참하게 버려진 모습이 뉴스데스크에도 나올 정도로 무지 힘든 과거도 겪었다. (부도난 회사, 버려진 시내버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에 남은 기사님들은 있는 걸 모두 털어, 14억의 회사 채무를 거의 다 갚고 버스 운행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하였다. 1998년 5월 중순 채무 관계에 있던 우신버스104-1번을 매각하였고, 회사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간판인 104번을 살리기 위해 중고차를 끌어온다. 타 업체 폐업으로 풀리거나, 혹은 타 업체가 쓰던 BS106L 무냉방 및 냉방개조 차량을 가져왔고, 서울에서 차를 구하기 어려워지자 지방의 무냉방차량을 구입하고, 나중에는 중고차로도 한계가 있었는지 기존 차량 중 그나마 쓸만한 AM937L 무냉방차량 몇대를 당시 냉방버스용 도색이었던 노란색으로 덧칠하여 다니는 등...

이렇게 홀홀단신으로 다니다가 1999년 11월 경에 있었던 서울시 강제퇴출 업체조정 중에 제대로 걸렸는지 2000년 2월 26일 유진운수는 운수사업자 사업면허 취소와 함께 퇴출 명령을 받고 말았다. 그렇게 유진운수가 폐업된 직후 인근의 군포교통이 104번의 노선 운영권을 가져가게 되었다.(기존 유진운수 차량들은 모두 폐차되고, 면허를 새로 발급받아 신차출고 후 운행) 운행업체가 변경되면서 기점도 산본4단지가 아닌 군포시 당동으로 이전하였고, 초기에는 4단지를 2번 경유했으나 얼마 못가 아예 미경유로 변경하여 다녔다. 이듬해 8월 말에는 당동 차고지에서 부곡동 군포보건소앞에 있는 군포공영차고지로 입주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5623 항목 참조.

13 104-1 (유진운수 → 경동교통 → 유진운수 → 우신버스)

출처
운행구간 : 산본4단지 - 흥진중고교 - 군포시청 - 금정역 - 안양역 - 안양유원지입구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남부경찰서 - 신림역 - 봉천역 - 서울대입구역

1980년대까지는 사당, 양재를 거쳐서 개포동까지 운행했다.

1991년에 '봉천사거리 - 개포동' 구간을 불법으로 단축 운행했다가 적발된 적이 있다.관련 기사

1992년에 단축이 승인되었다. 이후 군포시 구간도 산본11, 13단지 경유에서 현재와 같은 직선 코스로 변경되었는데 이것이 지금 운행 중인 5530번의 뼈대라 할 수 있다.

1996년에 서울시가 버스 구조조정을 요구했고, 이에 유진운수가 반발하여 104번과 같이 파행운행을 맞게 되었다.

1997년 5월, 유진운수가 1차 부도를 맞는 바람에 104번, 104-1번 차량 상당수가 방치되었고 이것이 언론에 실리기도 했다.관련 뉴스[3]

1998년 5월에 우신버스가 노선을 인수하면서 운행이 정상화되었다. 또한 인수 직후 1997년 12월에 폐선된 동부운수 67번의 잉여면허를 인수했다.]

2001년 봄에 '봉천사거리 - 서울대정문'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사당역으로 단축되었고, 번호도 5530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5530 문서를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5530 문서의 73판, 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버스 5530&action=history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4 104-2 (유진운수 → 경동교통 → 유진운수 → 군포교통)

운행구간(1기) : 산본4단지 - 산본공고 - 산본2동사무소 - 산본시장 - 금정역 - 명학역 - 안양역 - 석수2동사무소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구로공단역 - 보라매공원 - 서울지방병무청 - 대방역 - 노량진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삼각지 - 서울역 - 시청 - 광화문 - 삼청동

운행구간(2기) : 삼청동 - 동십자각 - 광화문 - 세종문화회관, 한국통신 - 시청 → 삼성플라자 → 서울역 → 염천교 → 숭례문 → 이하 역순

1기 노선은 여의도를 거쳐서 삼청동까지 가던 104번의 지선격 노선이다.
2기 노선은 104번이 삼청동에서 여의도로 단축되면서 신설된 노선. 현 서울 버스 종로11의 전신이다.

15 105 (공항버스 → 신촌교통) (★)

운행구간 : 부천(원종동) - 김포공항 - 발산동 - 염창동 - 당산역 - 영등포 - 대방역 - 노량진 - 흑석동 - 반포 - 고속터미널

1992년에 폐선.

16 105 (영인운수)

운행구간 : 양천향교입구 - 발산역 - 곰달래로 - 목동역 - 양남사거리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보라매역 - 신대방삼거리 - 당곡사거리 - 봉천5동

원래 상마운수의 102번 노선이었으나 2002년 경 상마운수의 경영악화 및 부도로 영인운수에서 이어서 운행하였다.

개편 당시 5612번과 6630번으로 분할되었으나 5612번은 5526, 6618번과 통합하여 6516번으로 바뀌었다.

17 105-1 (공항버스) (★)

운행구간 : 부천(원종동) - 김포공항 - 발산동 - 염창동 - 당산역 - 영등포

1980년대에 폐선.

18 106 (공항버스 → 보성운수 → 신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6.png
출처
운행구간 : 신월동 - 화곡1동복개도로 - 까치산역 - 화곡터널 - 화곡역 - 우장산역 - 발산역 - 가양사거리 - 강서구청 - 화곡역 - 서안복음병원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가리봉역

처음엔 공항버스에서 개통한 노선으로 부천 (원종동) - 영등포 - 구로동 - 시흥동 간을 운행하였으며 1976년경 보성운수에 노선 운영권과 차량을 매각하면서 시흥동 - 구로동 - 영등포 간을 운행하게 되었다. 1985년 신길운수에 양도되었다. 388번의 유사노선으로 운행하다가, 90년대 중반 수출의다리 보수로 인하여, 388번이 구로IC - 가산초교 유턴 방식으로 임시 변경이 되었던데 반해, 106번은 가리봉역 - 디지털5거리 - 시흥동 구간이 단축되어 개편과 동시에 노선이 증발하였다. 388번에 신차가 우선배정되었던 데에 반해, 106번은 차급이 떨어지는 편이었다. 개편때 폐지되었다. 사족으로 보성운수/신길운수에서 운행중인 서울 74사 1381~1386호가 이 때문에 유입된 차적들이다.

19 106-1 (보성운수 → 신길운수) (★)

운행구간 : 신월동 - 화곡동 - 오목교 - 양평동 - 문래역 - 도림동 - 신길동 우성아파트 - 대림동 우성아파트 - 대림역 - 가리봉역

1984년 5월 22일 개통, 1985년 신길운수에 매각. 1992년 8월 20일 폐지. 이후 전차량 588-1번에 증차하였다.

20 107 (옥성운수 → 범일운수) (★)

운행구간 : 시흥동 - 은행나무 - 금천구청 - 시흥본동 - 시흥고개 - 말미고개 - 코카콜라 - 독산동고개 - 구로공단역 - 신대방1동 - 우성아파트 - 교수아파트 - 남부세무서 - 학교 앞 - 대방동 - 국정교과서 - 노량진전화국 - 수산시장(동작구청) - 사육신묘 - 노량진본동

시흥동 기점을 출발하여 시흥대로에서부터는 98번(현 5531번)과 노량진까지는 동일 노선코스로 다녔으나, 2001년 8월에 76번과 통합되었다. 덕분에 76번이 적/청 분리운행을개시하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이전에는 용산 - 서울역을 거쳐 서소문까지 운행했다.

21 107 (좌석) (범일운수) (★)

운행구간 : 광명(소하동) - 시흥동 - 독산동 남문시장 - 대방동 - 노량진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 - 서소문 - 시청앞

1991년 4월 1일, 도시형 107번 독산동 남문시장 경유 노선을 좌석으로 전환 및 소하동 연장. 대우 BS106 하이파워 하부냉방 차량으로 운행. 1996년 8월 14일 폐선.

22 107-1 (옥성운수 → 범일운수) (★)

운행구간 : 시흥동 - 은행나무 - 금천구청 - 시흥본동 - 시흥고개 - 말미고개 - 코카콜라 - 독산동고개 - 구로공단역 - 신대방1동 - 태양의집 - 남서울아파트 - 신풍시장 - 우신초교 - 영등포공원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3동사무소 - 대한통운 - 당산4가 - 강남아파트 → 당산역 → 롯데제과 → 해태제과 → 양평동 → 당산역 → 이하 역순

2001년 7월 1일 108번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폐지되었으나 2011년 10월 1일부로 108번의 후신인 지선버스 5620번이 이 노선의 핵심구간이었던 양평동 구간을 대체하게 되었다. 실제로 해당업체 홈페이지에서 107-1번 폐지직전에 107-1번 폐지로 이동수단을 잃게되어 폐지를 보류해달라는 민원이 올라올 때 마다 관계자분께서 장문의 게시글과 함께 '불편하시더라도 108번을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라는 답글을 게시하였다고 한다.

23 107-2 (옥성운수 → 범일운수)

출처
운행구간 : 광명(소하동) - 70동 - 부대 앞 - 현대연립 - 학교 앞 - 소하2동사무소 - 기아의집 - 서울차량 - 교회앞 - 가리대 - 소하1동사무소 - 구 종점 - 시흥1동 - 시흥고개 - 말미고개 - 코카콜라 - 독산동고개 - 구로공단역 - 신대방1동 - 썬프라자 - 남서울아파트 - 우신극장 - 우신초교 - OB앞 - 신세계 - 영등포시장

서울 버스 5627 참조. 구 107-2번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 - 영등포역 구간이 단축된 게 현 5627번이다.

24 108 (옥성운수 → 범일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8.jpg
출처
운행구간 : 시흥동 - 삼거리 - 새흥초교 - 법원단지 - 남부여성발전센터 - 근로여성회관 - 정훈단지 - 남문시장 - 고개앞 - 구로전화국 - 공단입구 - 대림동 - 썬프라자 - 수녀원 - 사러가쇼핑 - 우신초교 - 영등포공원 - 영등포시장 - 건양병원 - 영등포방사선병원 - 학원앞 - 영등포구청역 - 당산4가 - 당산역

서울 버스 5620 참조.

25 108-1 (옥성운수 → 범일운수)

운행구간 : 시흥동 - 은행나무 - 시흥초교 - 법원단지 - 시립부녀복지관 - 근로여성회관 - 정훈단지 - 독산4동 - 남문시장 - 관악농협신림지소 - 구로전화국 - 남부A - 가리봉동사무소 - 공단오거리 - 가리봉시장 - 남구로역(구.종점) - 구로시장 - 구로4동우체국 - 고대구로병원후문 - 구로구청 - 구로고 - 구로등기소 - 가로공원 - 구로우성A - 신도림역

서울 버스 5619 참조.

26 109 (상마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9.jpg
(출처 : MBC 뉴스데스크)
운행구간 : 신정동 - 신트리4거리/고척근린공원 - 고척동(칼산) - 목동8~14단지 - 오목교역 - 영등포역

1960년대에 신설된 80번 좌석(양평동 - 영등포 - 신림동)이 그 시초이다. 1970년 대개편 때 109번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1972년 8월 12일에 양평동에서 신정동까지, 신림동에서 봉천동까지 연장되었다.
1973년 3월 109번이 96, 102, 109, 115, 116번으로 분리되면서 신정동 - 구로공단 간을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다.
이후 구로공단 구간이 둘로 분리되었다가 1989년에 A로 통합되었다.(A : 삼성물산, 노동사무소, 구로1공단, B : 가리봉역, 구로3공단)

2002년 1월에 영등포역 - 신길동 - 구로공단 구간이 단축되었고, 동년 6월 24일에 폐선되었다.

27 109-1 (상마운수) (★)

운행구간 : 신정동 - 목동8~14단지 - 고척동(칼산) - 목동8~14단지 - 목동운동장(안양천변 도로 경유)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신길동 - 대림2동 - 공단5거리 - 가리봉역

1982년에 109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이다. 1991년에 폐선.

28 110 (영인운수 → 한성운수) (★)

운행구간 : 구로2공단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역 - 대방동 - 영등포 - 목동 - 신정동

영인운수 시절에는 신정동 - 목동 - 영등포 - 대방역 - 노량진 - 용산 - 삼각지 - 서울역 - 남대문 - 미도파 - 을지로 - 경찰병원 간을 운행하였다. 80년대에 위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한성운수에 인수된 후 1989년에 폐선되었다.

29 111 (세풍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11.jpg
출처
운행구간 : 신정동 - 양천구청 - 오목교 - 영등포 - 노량진 - 흑석동 - 정금마을 - 사당역 - 서울대입구 - 신림동 - 난곡

서울 남서부 지역을 물음표 형태로 지나가는 굴곡 노선으로 상당히 수요가 많았으나 개편과 동시에 폐선되었다. 신정동 차고지가 협소했던 관계로, 운행 종료 후에는 온수동 본사로 상당수의 차량이 공차회송했었다. 신정동차고지는 개편 후 매각하여 상업용지로 변경되었다.

30 111-1 (세풍운수)

출처
운행구간 : 신정동 - 양천구청 - 오목교 - 영등포 - 신도림 - 개봉동 - 오류동 - 천왕동 - 광명시계 - 시흥계수동 - 은행단지 - 삼미시장 - 포동 - 연성1지구

부천/광명을 지나 시흥시까지 갔던 말 그대로 전설의 노선. 서울 버스 6640 항목 참조.

31 111-2 (세풍운수) (★)

운행구간 : 난곡 - 우림시장 - 난곡시장 - 난곡입구사거리 - 신림역 - 봉천역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까치고개 - 사당역 - 관악경찰서(회차)[4]

신설된 직후에도 파행운행을 겪다가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32 112 (흥기운수) (★)

운행구간 : 가산동 - 디지털오거리 - 만민중앙교회 - 남구로역 - 대림역 - 성락교회 - 도림4거리 - 양남동 - 영등포시장 - 여의도 - 공덕동 - 만리동 - 서부역 → 서울시청 → 미도파 → 염천교 → 서부역 → 이하 역순

5호선 개통의 여파로 승객이 줄어 여의도 - 시청구간이 단축되었지만, 대부분이 겹치는 120번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한때는 만민교회앞 3거리에서 구로남초등학교 - 남구로역 - 대림역 구간을 대신하여 구로디지털단지역 - 대림성모병원을 경유하는 루트로 변경도 해보고, 도림동에서 문래동 방향 대신 신길역방향으로 운행, 여의도 대신 당산동 경유하는 식으로 변경도 해보지만, 갈수록 적자가 쌓여가던 이유로 결국 순환노선인 419번으로 형간전환되고 만다. 마을버스요금만 받고 운행을 하다가 결국 2001년 부도를 맞이하고, 역사에서 사라진다.
419번 폐선과 동시에 설립된 16-4번 마을버스로 대림역 - 가산동 구간이 잘린 나머지 노선이 운행하게 되며, 당시 419번에서 운행하던 차량도 도색변경 없이 차량면허만 신규발행되어 대림운수에서 꾸준히 굴려, 개편 이후 영등포 04번 마을버스로 존치 중이다.

이후 419번은 진아교통에서 별개의 노선으로 개통하였다. 419번 항목 참조.

33 112 (좌석) (흥기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6년 6월 폐지.

34 113 (대원여객) (★)

운행구간 : 의정부(가능동)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역 - 쌍문동 - 수유리 - 미아리 - 미아3거리역 - 미아리고개 - 돈암동 - 삼선교 - 대학로 - 종로5가 - 을지로5가 - 장충동 - 한남동 - 신사역 - 반포3단지 - 교대역 - 서초역 -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 반포3단지

1988년에 폐지.

35 113 (좌석) (대원여객)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13좌.jpg
(출처 : MBC 뉴스데스크)
운행구간 : 의정부(가능동)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역 - 쌍문동 - 수유리 - 미아리 - 미아3거리역 - 미아리고개 - 돈암동 - 삼선교 - 대학로 - 종로5가 - 을지로5가 - 장충동 - 한남동 - 신사역 - 반포3단지 - 교대역 - 서초역 -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 반포3단지

1997년 12월에 폐지.

36 114 (보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14.png
출처 영화 광고에서 노려보는 눈이 예사롭지 않다. 박한별 주연 분신사바로 추정.
운행구간 : 구로동종점 - 남구로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대림시장 - 신풍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금천경찰서 - 신림역 → 서울대입구역 → 서울대 → 신림본동(서원동)사무소 → 신림역 → 이하 역순

서울 버스 6512 참조.

37 115 (보영운수) (★)

운행구간 : 광명(하안동) - 하안주공A - 광명경찰서 - 공단오거리 - 가리봉시장 - 구로시장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 - 양평동

1997년 12월 1일에 폐지.

38 115-1 (보영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15-1.jpg
출처
운행구간 : 광명(하안동) - 하안주공1.3단지 - 하안주공4.9.10단지 - 하안주공12단지 - 하안주공7.8.13단지 - 공장아파트 - 한신아파트 - 하안주공14단지 - 독산역 - 협진식품 - 코카콜라 - 공단입구 - 구삼립식품 - 공단오거리 - 가리봉시장 - 구종점 - 구로시장 - 구로4동우체국 - 구로소방파출소 - 변전소 - 구로역 - 신도림역 - 문래동 - 영등포세무서 - 영등포역 - 영등포유통상가 - 현대아파트 - 영등포구청 → 현대아파트 → 목동6단지 → 목동1단지 → 목동2단지 → 목동3단지 → 목동4단지 → 목1동사무소 → 목동7단지 → 대학학원 → 기독교방송국 → 5단지성당앞 → 5단지동사무소 → 5단지501동앞 → 목동이대병원 → 양정고교 → 삼익아파트 → 영등포구청 → 이하 역순

개편 후 일부 구간이 조정되어 서울 버스 5630이 되었다.

39 117 (흥안운수)

출처
운행구간 : 상계4동 차고지 - 동일로/공릉구길 - 먹골역 - 중화동 - 청량리역 - 왕십리역 - 성수대교 - 갤러리아백화점 - 강남구청역 - 영동시장 - 고속터미널

개편 이전에는 흥안운수를 대표하는 노선이었으나, 개편과 함께 폐선되었다.

40 117-1 (흥안운수) (★)

운행구간 : 상계4동 - 상계역 - 중계주공4~6단지 - 중계시영3단지 - 노원경찰서 - 경기공고 - 서울산업대 - 안마을 - 묵동구길 - 중화동 - 동부시장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 경동시장(고속터미널 방면 한정) - 고산자로 - 왕십리역 - 삼표레미콘, 경마장(현 서울숲) - 성수대교 - 갤러리아 - 강남구청사거리 - 관세청 - 영동사거리 → 고속터미널(호남선) → 고속터미널(경부선) → 이하 역순

1992년 중계아파트단지 수요를 위해 117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 이후 1993년 8월 10일 중계동 구간 일부 변경. 이후 응봉동으로 단축된 후 폐지되었다.

41 118 (보영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18.jpg
출처
운행구간 : 광명(하안동) - 하안6~8단지 - 하안12단지 - 하안4, 9, 10단지 - 하안1, 3단지 - 하안5단지 - 철산A - 광덕초교 - 광명경찰서 - 철산3~4단지, 철산한신A - 3공단(한전앞) - 2공단사거리 - 공단오거리 - 가리봉시장 - 남구로역 - 구로시장 - 고대구로병원 - 구로4동우체국 - 구로구청입구 - 구로변전소 - 구로역 - 구로공구상가 - 신도림중 - 신도림역 - 문래동 - 구로세무서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은송병원 - 강남맨션 - 당산역 - 서서울호텔 - 합정역 - 서교동로터리 - 서교호텔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이대입구 → 대흥동 → 서강대후문 → 한국전기안전공사 → 서강대 → 서강대입구 → 신촌로터리 → 이하 역순

서울 버스 5714 참조.

42 119 (보성운수)

1-114_ft2love_samurai1696.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19.jpg
출처
5호선개통전까지는 여의도-시청앞까지 운행되었으나 이후 여의도까지로 단축됨 동일한 번호의 좌석버스도 운행했지만 폐선
운행구간 : 난곡 - 우림시장 - 남강중.고교 - 종합시장 - 난곡입구 - 남부경찰서 - 대림여중 - 구로전화국 - 남부A - 공단5거리 - 만민교회(여의도 방면)/가리봉시장(난곡 방면) - 남구로역 - 구로시장 - 우체국 - 구로중앙시장 - 구로변전소 - 구로역 - 신도림역 - 문래동 - 영등포세무서 - 영등포역 → 전경련회관 → 증권거래소 → MBC → 공작A → 여의나루역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KBS본관 → 영등포역 → 이하 역순

서울 버스 5615 참조.

43 119 (좌석) (보성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7년 5월 폐지.

44 119-1 (보성운수) (★)

운행구간 : 난곡 - 우림시장 - 남강중.고교 - 종합시장 - 난곡입구 - 남부경찰서 - 대림여중 - 구로전화국 - 남부A - 공단5거리 - 만민중앙교회(여의도 방면)/가리봉시장(난곡 방면) - 남구로역 - 구로구청 - 구로역 - 신도림역 - 문래동 - 영등포세무서 - 영등포역 - 여의도 - 공덕동 - 아현동 - 서대문 → 광화문 → 시청앞 → 서울역 → 염천교 → 경찰청 → 서대문

1982년 4월 17일 구로구청 신청사 개청에 의해 신설. 1989년경 폐지.

45 120 (보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0.png
출처
운행구간 : 시흥동 - 시흥성당 - 금천구청 - 시흥사거리 - 말뫼고개 - 코카콜라 - 공단오거리 - 가리봉동 - 남구로역 - 대림역 - 대동초교 - 신길5동사무소 - 성락교회 - 도림동새마을금고 - 문래동 - 영등포세무서 - 영등포역 → 전경련회관 → 여의도역(라이프쇼핑) → 미성A → 한성A → KBS별관 → 원효대교입구 → 여의나루역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KBS본관 → 영등포역 → 이하 역순

서울 버스 5618 참조.

46 121 (세풍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1.jpg
출처
운행 구간 : 철산1동 - 광명북고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개봉동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신길역 - 보라매역 - 신대방삼거리 - 신림역 - 서울대

개편 후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경유를 구 30번의 운행 구간으로 바꾸어 서울 버스 6513이 되었으며 이후 여의도 환승센터 개장에 따라 여의도를 경유하게 되었다.(환승센터는 서울대 방향 한정 정차)

47 121 (좌석) (세풍운수) (★)

운행 구간 : 철산1동 - 광명북고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개봉동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여의도

1997년에 폐선.

48 121-1 (세풍운수)

운행 구간 : 철산1동 - 광명북고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개봉동 - 오류동 - 온수동

서울 버스 6616 참조. 현재의 노선은 철산1동-수궁동 구간을 운행하던 121-3번과 통합한 노선이다. 광명북고경유 모세로구간으로 운행하게 된 건 지하철7호선 개통후 화영운수 21번이 철산주공7-13단지 구간(구, 2-3 구간)을 단축하면서 대체로 운행하게 되었다.

49 121-2 (세풍운수) (★)

운행 구간 : 철산1동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개봉동 - 오류IC - 금옥여고

개봉중, 오류중, 금옥여중고 학생들의 통학전용 노선으로, 평일 한정으로 일 4회 운행하였다. 통학노선인만큼, 공휴일 및 방학 기간에는 운휴. 1990년대 초반에 폐선되었다.
항동마을버스[5]로 분리되기 전까지는 항동까지 운행하였다.

50 121-3 (세풍운수) (★)

운행 구간 : 철산1동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개봉동 - 오류동 - 동광상고(현 서서울생활과학고)

1990년대 초반에 121-1과 통합 후 폐선되었다.

그런데 통합하여 운행효율화하는 것은 좋았으나, 기존 121-3번의 회차지였던 서서울생활과학고(구 동광상고), 예림디자인고(구 경기여실)에 통학하는 학생들의 불편이 커져 이후 15-19번 마을버스가 만들어졌다. 이후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마을버스에서 15-19번 항목이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400번대에서 470번 항목을 참조바람.

51 122 (영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2.jpg
출처
운행구간 : 외발산동 - 강서면허시험장 - 신광명마을 - 충효원사거리 - 파출소 - 제일병원 - 대림아파트 - 백구사 - 까치산역 - 화곡사거리 - 신정초교 - 성석교회앞 - 목동사거리 - 목동7단지 - 대학학원 - 오목교역 - 관악고교 - 신동아APT - 양남동로터리 - 문래역 - 상업은행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신길동 - 대방역 - 국정교과서 - 노량진중계소 - 수산시장(동작구청) - 장승배기 - 대림아파트 - 상도시장 - 숭실대입구 - 봉천고개 - 봉천극장 - 봉천중학교 - 중앙시장 - 봉천사거리 - 낙성대

개편 후 강서구 구간이 변경되어 서울 버스 650이 되었다.

52 122-1 (영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2-1.jpg
출처
운행구간 : (적색 한정 수협공판장 경유 ←) 강서면허시험장 - 충효원사거리 - 서안복음병원 - (청색 한정 신원중 경유) - 국민은행신월동지점 - 신월보건센터 - 강서제일병원 - 화곡대림A - 백구사 - 까치산역 - 화곡사거리 - 화곡8동사무소 - 신정초교 - 성석교회 - 목동사거리 - 목동오거리 - 목동7단지 - 대학학원 - 오목교역 - 관악고 - 영등포기계공구상가 - 양남로터리 - 문래역 - 영등포시장로터리 - 신세계벽화점 - 영등포역 → 전경련회관 → LG트윈타워 → 여의나루역 → 공작A → 증권거래소(MBC입구) → 여의도역 → 여의도공원 → 영등포역 → 이하 역순

추가 운행구간 : 외발산동 - 강서면허시험장 - 수협공판장 - 강서면허시험장 - 본선(적색)/본선 - 서안복음병원 - 신월3동파출소 - 신원중 - 신월3동파출소 - 국민은행신월동지점 - 본선(청색)

서울 버스 6628 참조.

53 123 (세풍운수)

출처
운행구간 : 온수역 - 오류동역 - 개봉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여의도 - 마포역 - 공덕역 - 광화문 - 시청 - 서울역 - 경찰청

서울 버스 600이 유사하게 운행 중이나 공식 승계 노선은 아니다.

54 123-1 (세풍운수) (★)

운행구간 : 역곡(카톨릭대) - 유한공전 - 성공회대 - 오류동 - 고척동 - 신정네거리역 - 목동8~14단지 - 오목교역 - 양남로터리 - 영등포역 - 여의도

신원교통 9-2번이 단축되면서 대체용으로 신설된 노선이다. 전량 무냉방 하이파워 5대로 운행했고 수요가 저조하여 역곡 - 온수동 구간을 단축하였다가, 2001년 폐선되었다. 폐선되면서 해당 차량 면허는 모두 말소.

55 124 (옥성운수 → 범일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4.jpg
출처
운행구간 : 소하동 - 시흥대교 - 박미고개 - 20m도로 - 구로전화국 - 공단역 - 대방동 - KBS별관 - 용산전자상가 - 청파동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신세계

개편때 여의도 이남으로 5533번(노온사동 - 노량진/현 서울 버스 5633 노온사동 - 순복음교회)과 서울 버스 505번(노온사동 - 신세계)로 분리되었다. 2011년 2월 11일 개편으로 505번이 기아대교가 아닌 소하1동 - 시흥대교를 경유하게 되면서 구 124번 운행경로와 많이 비슷해졌다.

56 125 (공항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5.jpg
출처

서울 버스 6631 참조.

1980년대까지는 부천시 오정구 내동에서 영등포 구간을 운행했던 노선이었다.

57 125-1 (공항버스) (★)

운행구간 : 방화동 - 공항시장 - 가양동(제일제당) - 염창동 - 당산역 - 영등포구청

125번과 달리 양천길(현 양천로)을 가로지르는 노선이었다.

58 125-2 (공항버스) (★)

운행구간 : 부천(내동) - 원종동 - 오쇠동 - 김포공항 - 공항시장 - 방화동

125번의 부천구간 단축으로 인해 신설된 노선이었다. 이후 소리소문없이 폐선.

59 126 (세풍운수) (★)

운행구간 : 온수동 - 오류동 - 개봉동입구 - 동양공전 - 구로역 - 구로소방파출소 - 구로구청 - 신도림역 - 구로구청 - 구로동 - 공단오거리 - 독산동 - 시흥동 - 박미고개(회차)

구로구청이 현재 위치로 이전함에 따라 신설된 노선이었다. 초기에는 구로구청까지만 운행했지만, 이후 시흥동까지 연장되었다.
120번과의 경쟁에서 밀려 1980년대 중반에 폐선.

60 127 (미아운수 → 선일교통)

출처(사진 속의 차량은 노선 개편 시행 직전 다시 녹색으로 도색했다.)
운행 구간 : 4.19국립묘지 - 광산사거리 - 숭미초등학교 - 선덕고교 - 쌍문역 - 수유역 - 화계사입구 - 삼양시장 - 길음동 - 돈암동 - 보문동 - 청계7가 - 동대문

61 128 (공항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8.jpg
출처
운행구간 : 방화동 - 구.주택은행 (→ 우촌연립 → 대금연립 → 국제예식장 →/← 방화1동사무소 ← 방화주유소 ←) 공항시장 - 김포공항 - 송정역 - 공하전화국 - 발산역 - 발산2동사무소 - 하이웨이주유소 - 등촌중 - 강서보건소 - 염창동도시가스 - 당산역 - 강남맨션 - 신화병원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역 - 신길역 - 대방역 - 동작전화국 - 수산시장 - 노량진역 - 사육신공원 - 용산역 - 삼각지 - 남영역 → 갈월동 → 서울역 → 후암삼거리 → 후암동시장 → 용산고 → 남영우체국 → 남영역 → 이하 역순

서울 버스 605 참조. 현재는 서울역을 경유하긴 하나, 살짝 훑고 가는 정도.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62 128 (좌석) (공항버스) (★)

도시형 128번과 달리 노량진본동에서 회차 운행하였다. 1990~1992년식 BS105랑 1992년식 에어로시티 520 [6] 으로 운행하다가 1998년 폐지되었다. 폐지직전까지 6대로 운행하였다.

63 129 (화곡교통 → 범양여객 → 한남운수)

1982년의 모습

출처

운행구간 : 신평시장 - 유림주택 - 고척파출소 - 계남초교 - 그린공원 - 신서중 - 약수터입구 - 신정사거리 - 고려병원 - 백구사 - 대림아파트 - 강서제일병원 - 신월초교 - 화곡역 - 화곡시장 - 제일성심병원 - 우장초교 - 강서구청 - 하이웨이주유소 - 등촌중 - 도시가스 - 인공폭포 - 국민일보 - 해태제과 - 양화대교 - 합정동 - 영빈예식장 - 서교호텔 - 홍대입구역 - 동교동 - 신촌시장 - 신영극장 - 이대역 - 아현동 - 굴레방다리 → 서대문 → 광화문 → 시청 → 서울역 → 경찰청 → 경기대 → 굴레방다리 → 이후 역순

2004년 개편 때 31번을 대체하기 위해 '고척동 - 구로역 - 가산동' 구간이 연장된 대신, '아현역 - 광화문 - 서울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5712 문서를 참조.

MBC 드라마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노선이었다. MBC와 한남운수가 계약을 맺어 버스가 필요할 때면 항상 129번 차량을 빌려갔기 때문이다. 그 결과 드라마속 불변의 법칙 33가지에 등극되는 영광(?)을 얻었다. 그러나 2004년 개편 이후에는 소품 업체에서 빌린다.

64 129-1 (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29-1.jpg
출처
본전려객 실사판도 아니고 뭔 스티커가 덕지덕지

서울 버스 6620번 참조. 기아 그랜버드 차량이 운행하였던 노선이었으나 이후 사진속 BH116으로 대차되어 노선 개편과 함께 매각되었다.
(1990년대에는 아시아 AM927로 운행)

고척동차고지 - 신트리사거리 - 목동아파트단지 - 양평동 - 양화대교 - 합정동 - 홍대입구 - 신촌 - 이대입구 - 서대문 - 세종문화회관 - 시청앞 - 서울역

2001년 9월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는 심야전용버스로 양천구청에서 신촌로터리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이후에도 5712번 차량을 몇 대 차출하여 심야전용버스 때 경로로 운행하였지만, 얼마 못 가 환원되었다.

65 130 (김포교통)

1983년의 모습

파일:/data21/2007/3/7/264/1999061800533.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0.jpg
출처
운행 구간 : 김포(불로동 - 청, 감정동 - 적) - 김포시청 - 고촌 - 방화동 - 가양동(가양동아파트단지 - 적, 양천길 직통 - 청 - 염창동 - 마포구청 - 연세대 - 신촌

본디 광화문, 시청까지 가는 노선이었으나 좌석버스 노선 개통 이후 신촌으로 단축되었다. 청색노선은 불로동 - 송정역 구간으로 단축되면서 번호가 230번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개편 이후는 서울 버스 6712 문서를 참조.

참고로 서울시내버스에서 버스 안내양이 마지막으로 근무한 노선이기도 하다. 관련 기사

66 130 (좌석) (김포교통)

출처
운행 구간 : 김포시 - 김포시청 - 고촌 - 방화동 - 가양동 - 염창동 - 마포구청 - 연세대 → 광화문 → 시청 → 아현동 → 신촌 → 연세대 → 이하 역순

과거에는 김포공항을 경유하였으나, 이후 미경유로 바뀌었다. 대개편 이후의 내용은 서울 버스 672 참조.

67 131 (경성여객)

출처
서울 버스 271 참조.

68 131 (좌석) (경성여객)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69 131-1 (경성여객) (★)

운행구간 : 면목8동 - 우림시장 - 상봉동 - 면목6거리 - 중랑전화국 - 서울우유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 - 제기동 - 용두동 - 신설동

131번의 단축판 노선. 1994년~1995년식 에어로시티 540SL, 1994년식 BS106L 하이파워 무냉방차량으로 운행하다가 2002년 1월에 공식폐선. 이후 맞춤버스 8220으로 잠깐 계승했지만 이것도 역시 폐선.

70 132 (경성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2.jpg
출처
운행구간 : 면목8동 - (아래 내용 참조) - 면목8동 - 서일대학 - 면일초교 - 우림시장 - 뉴서울예식장 - 하나은행망우동지점 - 국민은행망우동지점 - 성아병원 - 망우역 - 상봉역 - 중화동(동부시장) - 중랑교 - 위생병원 - 휘경동입구 - 시조사삼거리 - 서울시립대입구 - 청량리역 - 동서청과물시장 - 제기동역 → 시립동부병원 → 동대문구청 → 신설동역 → 용두동로터리 → 제기동역 → 이하 역순

운행구간(면목8동 - 중곡동 구간) : 면목8동 - 중화중 - 면중초교 - 용마한신A - 용마빌라 - 폭포공원 - 용마산역 - 용곡삼거리 → 용암사입구 → 대원중.고교 → 중곡2동사무소 → 중곡우체국 → 중곡동성당 → 국립서울병원(중곡역) → 용곡삼거리 → 이하 역순

과거에는 서울 동쪽 끝인 면목8동서 서쪽 끝인 망원동까지 운행하던 장거리 노선이었다. 서울 버스 1213 참조.

71 132-1 (경성여객 → 수도교통) (★)

운행구간 : 마천동 - 송파 - 잠실 - 화양리 - 왕십리 - 동대문

1980년대 폐선. 송파상운의 서울 74 사 12XX는 132-1과 관련 있다.

72 132-1 (경성여객) (★)

운행구간 : 망원동유수지 - 망원동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 - 이대입구 - 아현역 - 서대문 - 광화문 - 종각

132번이 망원동에서 종로5가로 단축되면서 분할된 노선이다. 1990년대에 폐선.

73 133 (서부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3.jpg
분리 이전의 모습.(출처 :국가기록원)
운행구간 : 북가좌동 - 모래내 - 신촌 - 서강대 - 공덕역 - 만리동 → 서울역 → 시청 → 롯데백화점 → 종근당 → 만리동 → 이하 역순

같은 회사의 133-2, 134번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시망스러웠던 노선. 134번과 같은 구간이던 북가좌동과 신촌 사이에선 두 노선의 차이를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신차는 죄다 134번에 넣어주고 이 차엔 그 흔한 냉방차량도 잘 넣어주지 않고... 게다가 수요가 많은 것도 아니어서 그대로 폐선. 그나마 수요가 나올 공덕/만리동 구간도 588이 죄다 쓸어간 탓에... 원래 바로 밑의 133-1번이 다니는 월곡동까지 가던 노선이었는데 더욱 안습했었다. 임의결행은 예삿일도 아니어서 이런 파행으로 가장 큰 불편을 겪었던 KIST 인근 주민들의 민원으로 1992년 133-1번이 분리 및 본선이 단축된 것이다.

74 133-1 (서부운수)

운행구간 : 하월곡동 - 월곡시민아파트(현. 샹그레빌아파트) - 청량리 - 제기동(경동시장)

어째 133과 133-1은 서로 만나는 일이 없이 각각 134의 기종점 끝자락에 걸쳐있는데 바로 위에서 설명한 대로 133번의 동쪽 고리를 뚝 잘라서 이 노선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후 지역순환 442번으로 전환되고 도원교통이 인수했다가 다시 영신여객에 매각되어 그냥저냥 다니다가 개편과 함께 1219번으로 바뀌었으나 이후로도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쳐 서울 버스 1166이 되었으며 월곡동 - 경동시장 구간만 남아 서울 버스 1226을 신설했다.

75 133-2 (서부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3-2.jpg
(출처 : 서울시)
운행구간 : 북가좌동 - 모래내 - 연세대/신촌 - 서강대 - 공덕역 - 여의도 - 신풍역(보라매공원) - 구로디지털단지역 - 독산동 - 시흥

133형제 중 가장 팔자가 나았던 노선. 장거리 구간에 배차도 나쁘지 않았다. 당시 안양 비산동에서 여의도 구간을 운행하던 703번이 서강대교 경유 신촌으로 연장되고 선진운수 145에 털리면서 2000년대 초반에 신풍역 - 시흥 구간을 자르고 운행하더니 결국 노선이 증발하였다. 시흥 - 여의도 - 신촌 구간을 다닌단 점에선 70번의 라이벌 노선이기도 했건만...

76 134 (서부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4.jpg
출처
운행구간 : 북가좌동 - 모래내 - 연희104고지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종근당 - 종로 - 동대문 - 신설동 - 청량리역(현대코아) - 떡전교사거리 - 시조사삼거리 - 경희대 - 한국외대

서부운수의 대표적인 노선 중 하나로, 외대와 경희대 수요를 싹쓸이[7]하며 개편 전까지 종로를 주름잡던 노선들 중 하나였다. 종로에서 100km/h를 밟으며 했던 131번과 134번의 피튀기는 경쟁과 레이스는 안성-평택간 버스경쟁과 더불어 이따금씩 회자되는 추억거리 중 하나...[8]

2004년 대개편 때 번호가 705번으로 바뀌었고, 경로도 뜬금없이 창신동으로 변경되었다. 개편 1년 뒤 건대입구역으로 다시 연장되면서 번호가 721번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21 참조.

2002년 때 SBS에서 방영한 드라마 명랑 소녀 성공기에 출연하였다. 링크

77 134 (좌석) (서부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78 135 (도원교통, 유성운수)

출처
운행구간(공배 전) : 평창동 - 세검정 - (부암동/자하문터널) - 효자동 - 광화문 - 세종문화회관 - 시청 - 서울역 - 남영역 - 용산전자상가 - 원효로 - 청암동 - 마포 - 서강대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 - 연남동 - 연대앞 - 봉원동로터리
운행구간(공배 후) : 국민대 - 평창동 - 세검정 - 적선동 - 광화문 - 서울역 - 남영동 - 원효로2가 - 용문동 - 공덕역

서울 버스 1711 참조

79 135-1, 135-2 (유성운수)

출처
서울 버스 7016 참조.
본래 135-1은 마포구청까지, 135-2는 성산동까지 가는 지선이었으나, 상암동이 개발되면서 둘 다 상암동까지 연장되어 노선이 같아지고, 머지않아 135-2번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16 참조.

80 135-1 (좌석) (유성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5-1좌.jpg
(출처 : 서울시)
자하문터널 경유를 제외하면 135-1과 동일한 경로로 운행하였다. 이후 도시형 135-4번으로 형간전환되었으나 아예 운행하지 않았으며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다가 소리없이 폐지되었다.

81 135-3 (유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5-3.jpg
출처
운행구간 : 평창동종점 - 평창동사무소 - 신영상가 - 세검정 - 상명대입구 - 하림각 (← 부암동사무소 ← 청운A ← 청운중 ← 경복고 ←)(광화문 방면은 자하문터널, 경기상고 경유) 효자동 - 적선동 - 경복궁역 → 국립중앙박물관 → 안국동 → 조계사 → 종각역 → 교보문고 → 광화문 → 경복궁역 → 이하 역순

서울 버스 1020 참조.

82 136 (유성운수 → 선진운수) (★)

운행구간 : 구산동 - 역촌동 - 불광동 - 구기터널 - 세검정 - 적선동 - 미도파 - 해방촌 - 반포대교 - 고속터미널 - 교대역 - 양재역(서초구청)

136-1의 본선으로 이전에는 가락시장까지 운행하였다. 원래 136-1번은 미도파까지만 운행하던 노선으로, 136번의 지선에 지나지 않았으나 큰형님이 먼저 폐선되어 버렸다. 이것을 계기로 안그래도 시궁창같던 삼호가든 일대의 시내버스는 41번과 편도한정이지만 212-1번에만 의존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되었고, 이조차도 2004년 대개편 때 4423번 하나로 줄은 다음, 이 노선 마저도 폐지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그 덕에 인근 주민들은 3012번이 신설될 때까지 마을버스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83 136-1 (좌석) (선진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1년 노선을 대폭변경하여 노선번호를 151번으로 변경.

84 136-1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6-1.jpg
출처
운행구간 : 구산동종점 - 구산파출소 - 구산중 - 시립서대문병원 - 대한기독교대확 - 신사동고개 - 신사오거리(응암역) - 신진공고 - 서부병원 - 서대문세무서별관 - 역촌오거리 - 대조시장 - 교회앞 - 국립보건원 - 구기터널 - 구기동 - 신영A - 세검정 - 하림각 - 부암동사무소 - 청운A - 청운중 - 경복고 - 효자동 - 적선동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 시청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광교 → 조계사 → 한국일보 → 경복궁역 → 이하 역순

서울 버스 7022 참조.

85 137 (영동교통) (★)

운행구간 : 잠원동 - 고속터미널 - 반포본동 - 국립현충원 - 흑석동 - 노들섬[9] - 노량진 - 동작구청 - 장승배기 - 성대시장 - 신대방동 - 신대방역(회차)
한때는 문정동에서 신대방동을 운행했던 노선[10]으로, 한강을 2번 건너는 노선이었다. 1990년대에 신대방동 - 고속터미널로 단축되었고, 1996년 회사 부도로 인해 폐선되었다. 2014년부터 간선버스 642번이 18년만에 이 버스의 대부분 노선을 이어받게 되었다(잠원동, 신대방역 구간 제외).

86 137-1 (영동교통) (★)

운행구간 : 문정동 - 가락시장 - 송파 - 잠실 - 광진구청 - 어린이대공원 - 노룬산시장 - 청담동 - 압구정동 - 고속터미널

137번의 고속터미널 - 문정동 구간을 독립시킨 노선. 원래는 137번과 동일하게 운행했으나 90년대 중반부터 137번과 분할되어 고속터미널까지 다축되었다. 이건 문정동, 잠실 일대에서 광진구청 일대의 구간 수요가 괜찮아서 잘 운행하다가, 잠원동과 신사역, 압구정역 순으로 단축되다가 영동교통이 부도하면서 결국 폐선되었다. 이후 동부운수 522번이 문정동 - 광진구청 구간을 운행하였다.

87 139 (신촌운수 → 중부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39.jpg
운행구간 : 문래동 - 남부법원 - 영등포역 - 양남로터리 - 강서세무서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전철역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충정로역 - 서울역 - 퇴계로 - 동대문운동장 - 신설동 - 서울약령시장 - 전농동 - 답십리 - 장안동 - 면목동 복개천

신촌운수에서 운행하다가 2000년 5월 최종 퇴출된 후 북부운수/대흥교통에서 잠시 공배로 운행했다. 그러다가 최종적으로 중부운수에서 인수하여 개편 때까지 운행하였다.

7, 361과 더불어 아현고가를 지나던 3개의 일반버스 노선 중 하나였으나 개편 후 아현 고가를 넘는 일반 버스 노선은 죄다 전멸. 그러다가 한참 후에 9600번이 6711번과 통합하여 607번이 되면서, 아현고가를 넘는 일반 버스 노선이 잠시 부활했지만, 이 또한 얼마 가지 못했다. 그리고 아현고자차도 자체도 2014년 4월에 철거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음반 광고로 드물게 당대 최고의 톱스타 가수였던 유승준의 4집 광고를 이 노선에서 주로 집행하였다.

88 139 (좌석) (신촌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89 140 (개봉여객 → 광명운수 → 범일운수)

운행구간 : 광명(노온사동) - 과림동 - 천왕동 - 광명사거리역 - 개봉사거리 - 구로역 - 영등포역 - 노량진역 - 국립묘지 - 사당역

1970년대에 개봉동 → 신촌 → 광화문 → 서울역 → 영등포 → 노량진 → 개봉동 간을 운행하던 100번이 1973년 3월 14일부로 노선이 100번과 140번으로 분리되면서 개봉동 - 신촌 - 시청 간을 운행하게 된다.출처(동아일보, 1973. 3. 14, 6p)
이후 1974년 8월 16일부터 개봉동 - 영등포시장 - 신길동 - 노량진 - 흑석동 - 반포아파트[11] - 사당동 - 봉천4동사거리(현 서울대입구역사거리) - 서울대로 노선이 변경되었다.출처(매일경제, 1974. 8. 13, 7p)
이후 고속터미널 경유, 관악구청 단축(1977. 4. 11), 영등포시장 미경유(1979. 3. 10), 반포동 미경유(1986), 노온사동 연장(1998. 5. 7)을 거쳐 맨 위에 서술한 구간대로 운행하다가 대개편 때 노온사동 - 영등포 구간으로 단축되어 6639번이 되었다.
이후 구로역, 개봉역 순으로 다시 단축되었고 2006년 11월 30일에 폐선되었다. 해당 차량들은 서울 버스 5537로 이동.

90 141 (신촌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1.jpg
운행구간(1기) : 덕은동 - 수색 - 모래내 - 신촌 - 공덕동 - 효창동 - 녹사평 - 고속터미널 - 강남구청 - 봉은사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1a.jpg
출처
운행구간(2기) : 국방대학원(덕은동) - 수색 - 모래내 - 신촌로터리

본래 772번 좌석노선의 시내버스 버전으로 노선도 완전히 일치. 즉 현재의 서울 버스 740의 전신은 오히려 이 버스라고 봐도 타당하다.

헌데 일단 강남구 부분이 배차가 시망스러웠으며, 무엇보다 좌석버스인 772가 요금을 더 받음에도 불구하고 장사는 더 잘 됐다. 즉 신촌교통 입장에선 굳이 이 시내버스를 유지할 이유가 없었고, 좌석버스 772 신설 이후 은마아파트로 단축되었다가 1997년에 폐선되었다.

이후 지역순환 434번이 141번으로 변경하면서 2000년대에 부활했지만, 예전의 노선은 흔적도 없이 덕은동과 신촌을 연결하는 마을버스 수준으로 전락하였다. 이후 대개편 때 7725번이 된 후 7726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91 141-1 (신촌교통) (★)

운행구간 : 덕은동 - 수색 - 모래내 - 신촌 - 공덕동 - 효창동 - 녹사평 - 고속터미널 - 강남구청 - 봉은사 - 종합운동장 - 잠실 - 송파 - 가락시장

141번의 지선으로, 지금 기준으로 봐도 엄청나게 긴 운행구간을 자랑했다. 운행구간으로 따지면 전설일 정도인 212와 맞먹을 정도로. 이 버스의 좌석 버전인 773조차도 가락시장에서 연세대까지만 운행했기에 이 노선보다 짧았다.

다만 본선인 141부터가 배차가 시망인데 이 노선이라고 배차가 더 잘 될 리도 없고, 애초에 같은 회사 안에서 772가 141형제를 팀킬하고 있었다. 게다가 유사노선인 33조차도 그놈의 배차관리 실패로 단축을 맞은 걸 보면 이 노선이라고 딱히 장사가 잘 될 리도 없었다.

결국 1997년 12월에 141이 먼저 없어진 후 이후 유령노선으로 전락하다 2001년 폐선. 141이 반토막난 형태로나마 예토전생되긴 했지만 이 노선은 그조차도 없이 두번 다시 부활하지 못했다. 이 노선 폐선 후 773이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연세대에서 수색까지 연장해 다닌 경력이 있다.

92 141-2 (신촌교통)

운행구간 : 덕은동 - 현천동 - 국방대학원 - 수색 - 모래내 - 신촌

지역순환 435번으로 434번과 같이 신설되었으며 이후 435번에서 141-2번으로 변경. 개편 후의 상황은 서울 버스 7726 참조.

93 142 (신촌교통)

download?fid=64224fdbbfdbd9b694194feb3c53a494&name=2003012.jpg
어후 사고났네....

운행구간 : 덕은동 - 수색 - 연세대학 - 신촌기차역 - 이대입구 - 충정로 - 서대문 - 서울역 - 용산역 → 노량진 → 동작구청 → 장승배기 → 보라매공원 → 서울대입구 → 상도동 → 숭실대 → 상도터널 → 용산역 → 이하 역순

관악구/동작구 거대 순환형 노선이다.

수색에서 바로 서울대로 가지 않고, 교통흐름이 좋지 못한 도심까지 돌아서 간다는 이유로 언론에 실리기도 했다. 동아일보, 1999.10.11., 29p 아니 그 시절이면 노선 하나 만들면 되지 뭘

2004년 7월 개편 때 대대적으로 변경되어 지금의 서울 버스 753과는 전혀 상관 없는 753번이 되려 했으나 백지화되어 이 노선은 폐지되었다.

이 순환고리의 반대방향으로 142-1번이 있었다. 적청제 시절에는 142번이 적색, 142-1번이 청색이었다.

여담으로 운동권 학생들이 참 사랑한 노선이다. 특히 서울대생. 서울의 웬만한 집회 장소(서울대, 보라매공원, 시청앞 광장, 광화문, 연세대 등을 경유. 종로,대학로,여의도 정도만 제외.)장소는 다 들렀고 연계되는 대학(서울대, 숭실대, 숙명여대, 경기대, 이화여대, 연세대. 약간 걷는 걸 감안하면 중앙대, 명지대까지)도 많아서 무척이나 애용되었던 노선. 그보다는 덜하지만 25번(서울대에서 종로, 대학로, 성균관대, 한성대, 성신여대를 경유한다. 약간 걷는 걸 감안하면 고려대까지.)도 상당히 애용되었다. 덕분에 시위용품을 든 학생들과 버스기사와의 트러블도 상당히 많았다.

94 142-1 (신촌교통)

출처
운행구간 : 덕은동 - 수색 - 연세대학 - 독립문 - 서대문 - 서울역 - 용산 → 상도터널 → 숭실대 → 상도동 → 서울대입구 → 보라매공원 → 장승배기 → 동작구청 → 노량진 → 용산 → 이하 역순

동작/관악구의 142번의 반대방향 순환 노선이다. 원래는 142와 같이 신촌기차역 - 이대입구 - 충정로 구간을 운행했으나 2003년 봄에 금화터널 - 독립문 - 영천시장(지금 서울 버스 750의 형태)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개편 때 142번과 142-1의 강남 고리를 서로 분리하여 각각 753(수색 - 신촌R - 공덕오거리 - 삼각지 - 노량진 - 장승배기 - 서울대)과 751(수색 - 신촌R - 공덕오거리 - 삼각지 - 상도터널 - 숭실대 - 서울대)로 운행하려 했으나 (지금의 751, 753과는 전혀 관계 없음) 개편 직전 753번이 백지화 되면서 142번은 사실상 폐선되었다.

개편 직전 번호가 750으로 바뀌면서 노선도 기존 142-1처럼 연세대 - 금화터널 - 경찰청 경유로 변경되었고 유성운수와의 공동배차로 바뀌게 되었다.

95 143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3.jpg
출처
운행구간 : 서오릉 - 구산중 - 시립서대문병원 - 신사동고개 - 신사오거리 - 신사초교 - 응암오거리(응암역) - 대림시장입구 - 가좌전화국 - 북가좌동 - 남가좌동 - 사천교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대앞 - 신촌로터리 - 이대입구 - 아현역(굴레방다리) - 충정로역 - 경찰청 - 서울역 - 갈월동 - 남영역 - 삼각지 - 용산역 - 데이콤앞 - 한강대교 - 사육신공원 - 노량진역 - 동작구청 - 아이리스프라자 - 장승배기역 - 대림A - 상도시장 - 숭실대입구역 - 숭실대 - 상도동(회차)

서울 버스 751 참조.

96 143-1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3-1.jpg
출처
운행구간 : 구기동(이북5도청) - 부암동 - 경복궁 - 종로3가

전신 428번. 개편 때 0012번이 되어 기존 노선대로 운행하려 했으나 동대문운동장 - 옥수동 구간의 구 76, 구 154번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종로3가 - 옥수동구간을 연장하여 0212번이 되었다. 2010년 8월 잉여노선 7717번의 재탕인 7740번과의 통합으로 서울 버스 7212번으로 변경/연장되었다.

97 143-2 (선진운수) (★)

운행구간 : 경문고 - 이수역 - 총신대 - 숭실대 - 장승백이 - 동작구청 - 노량진역 - 본동가칠목

1999년에 범진여객이 최종 부도처리되면서, 사당3~4동이 하루아침에 교통오지가 되어버렸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특히 구 89번, 89-1번) 143번이 일부 시간대에는 이수교까지 연장하는 형태로 바꾸었는데,[12] 이후 혼란을 막기 위해 아예 노선을 분리시키면서 143-2번이 되었다.

얼마 후에 152-1번으로 흡수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52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98 145 (선진운수 →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운행 구간 : 갈현동 - 예일여고 - 역촌역 - 응암오거리 - 모래내시장 - 신촌지하철역 - 서강대 - 공덕동 - 마포역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숭실대 방향)/KBS별관 → 여의나루역(갈현동 방향) - 보라매역 - 신대방삼거리 - 장승배기 - 숭실대

개편과 함께 여의도 - 상도동 구간이 단축되고 연세대 - 연세로를 경유하도록 바뀌어 서울 버스 7613이 되었으나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가 완공되면서 강북 구간은 개편 전으로 돌아왔다.

99 146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6.jpg
서울시 천연가스버스 시범도색 중 하나로, 1달 여만에 사라진 비운의 도색이다.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수색전철역(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신사오거리 - 서부병원 - 은평구청 - 홍제역 - 서대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 → 풍물시장 → 청계9가 → 도선사거리 → 성동서 → 상왕십리

원래는 어린이대공원을 거쳐 풍납동까지 운행했던 초장거리 노선이었다. 개편 때 대체노선 없이 폐지됐다가 그나마 서울 버스 7025가 일부 구간을 대체 중이다.

100 146 (좌석) (범양여객)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01 146-1 (범양여객 → 우신운수) (★)

운행구간 : 풍납동 - 영파여고 - 올림픽공원 평화의문 - 성내역 - 광진구청 - 어린이대공원 - 화양리 - 한양대 - 왕십리 - 상왕십리

1990년 146번의 풍납동 - 상왕십리 구간을 분리하여 신설한 노선으로, 1998년에 폐선되었다.

102 146-2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운행구간 : 은평차고지 - 은평터널 - 새절역 - 신사오거리 - 서부병원 - 은평구청 - 녹번역 - 유진상가

개편때 7717번이 되었으나 2005년 8월 수요 부족으로 폐선됐다. 개편 전에도 사람 안 타는 노선이긴 했다.

2012년 2월 철거된 홍은고가 밑 회차 노선 중 하나였고 홍은 고가 밑에서 회차한 노선들은 153-1(갈현동 - 유진상가/2003년 폐선), 205-1(면목동 - 녹번역/구 205 좌석, 2003년 205와 통합), 155-1번(기자촌 - 유진상가/현 서울 버스 7722), 147(화전 - 서울역이었다가 2001년 단축/현 서울 버스 7730, 운행사 보광교통으로변경), 158-1(지금 703번 말고 95년 폐선된 화전 - 서울역간 노선. 폐선 직전 홍은사거리 불법 단축) 등이 있다.

103 147 (동해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7.jpg
서울역까지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출처
운행구간 : 고양(화전) - 예비군훈련장 - 화전역 - 항공대 - 덕은동 - 은평차고지 - 수색전철역 - 증산역 - 새절역(적색 왕복)/와산교(청색 하행) - 서부병원 - 은평구청 - 녹번역 - 유진상가

원래는 서울역까지 운행했다가 2001년 무냉방 에어로시티를 BM090으로 대차하면서 유진상가로 단축했다.

월드컵 행선판도 잠깐 붙였다가 무슨 이유인지 몰라도 전면만 구식 행선판으로 다시 돌아갔다.(아마 적/청 구분을 위해 그런 것 같다)

개편 때 7730번을 부여받고 전 구간 존속되었으나 운행업체가 동해운수에서 보광교통으로 변경되었고 차량도 같이 넘어갔다.

화전 영업소 위치는 서울 버스 7727, 서울 버스 7728등이 정차하는 '화전동 주민센터' 바로 앞이고 원래 이 정류장 명칭이 '동해운수'였다. 현재는 주차장 내지 화물 관련 용도로 사용되는 것 같다. 시멘트 벽돌 담장이 당시에도 있었는데 지금도 이 담장을 사용 중이다. 과거 자주 지나갔던 버덕후들이라면 담장 너머로 빼꼼히 보이던 초록색 버스가 생각날 듯하다.

개편 후에도 이 영업소는 사용되었고 나중에 화전 예비군 훈련장 인근으로 영업소를 옮기게 된다.

104 148 (동해운수)

서울 버스 7728 참조.

105 148-1 (동해운수) (★)

운행경로 : 덕이동 - 농수산물센터 - 후곡신현대A - 암센터 - 백마1동사무소 - 백송한신A - 능곡역 - 행신동 - 화전역 - 항공대 수색역 - 모래내 → 성산회관 → 연대앞 → 신촌역 → 신촌R → 동교동 → 연남동 → 모래내 → 이하 역순

1993년 8월 신설. 이후 좌석으로 형간전환 후 1997년 12월 폐선.

106 150 (신인운수)

(구)서울 버스 150 참조.

107 150-2 (신인운수) (★)

운행구간 : 서울대 - 봉천사거리 - 숭실대 - 장승배기 - 노량진 - 용산 - 삼각지 - 서울역 - 시청 - 광화문 - 사직공원 - 독립문 - 홍제동 - 녹번동 - 서부병원 - 북가좌동

1980년대에 폐선.

108 150-3 (신인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0-3.jpg
운행구간 : 가산동 - 구로주공아파트 - 가산디지털단지역 - 디지털2.3단지 - 시흥IC - 신림역 - 서울대입구역 - 숭실대 - 장승배기 - 노량진역 - 본동가칠목

개통 초기에는 논현동 경복아파트까지 운행했으나 서초동 서울지방법원. 검찰청 이전으로 논현동 경복아파트에서 1989년 8월 21일부터 서초동 법조단지로 단축되었다. (관련 기사, 한때 150-3번이 논현동 경복아파트까지 운행했음을 보여주는 기사)

개설 초기에는 신차가 우선 투입되던 노선이었지만, 지하철 3호선과 4호선 개통 이후 수익이 줄어 90년대 후반에는 본동가칠목까지 노선이 단축되었다. 이후 150번에 몰빵을 하기 위해 기타 노선들을 정리하게 되었던 터에 2000년 지하철 7호선 한강 이남 구간이 개통되면서 지하철 개통 이후 수요부족으로 2000년 12월 31일까지 운행하고 폐선되었다.

특이점으로, 한때 광명시를 운행했던 적이 있었다. 90년대 초반 수출의다리 보수공사 때 광명시 출발 노선들(26-2, 26-3, 118)이 가리봉역 쪽으로 임시 우회하여 남부순환로로 빠졌던 데 반해[13], 광명시와 상관없던 150-3번과 좌석 54번은 남부순환로로 우회하게 되면서 내친 김에 철산대교를 넘어가 철산주공 9, 12, 13단지 정류장에 정차한 뒤, 광명대교를 넘어가 차고지로 들어갔다. 안양천길이 손님이 많은 구간이 아닌지라, 종점으로 향할 때 손님이 없을 경우 임의 결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임시운행기간이 그리 길진 않았던지라 별 탈 없이 넘어갔다.

109 151 (신인운수 → 과천여객 → 서울여객 → 삼성여객 → 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1.jpg
출처

서울 버스 506 참조.

최초에는 신인운수에서 좌석버스 150번으로 운행하였던 노선이었으나(최초면허 차량은 서울 5 사 5570~5582호), 과천여객에 인수이후 여러 업체를 거쳐 삼성여객이 1999년에 도시형으로 전환하여 151번이 된다. 좌석으로 운행시 적자노선이었으나, 도시형 전환 후 성공적으로 안착하여, 난곡쪽에서 시내방향으로 나가는 마땅한 도시형노선이 없던 갈증을 해소해 주었다. 그러나, 삼성여객의 경영난으로 인해 79-1번과 통합운행하여, 난곡-미도파-보광동 노선으로 운행도 해보았지만, 양쪽 이용승객의 불편으로 인해 다시 79-1번과 분리환원 된 이후, 돈이 되는 노선인 151번을 한남여객운수에 매각하게 되었고, 이후 개편과 함께 5520번으로 변경되어 본동가칠목까지 단축되었다가, 506번으로 변경되면서 다시 환원되었다.

110 151 (좌석) (선진운수) (★)

도시형 153번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11 152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2.jpg
서울 버스 702 참조.

112 152-1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2-1.jpg
출처

운행구간 : 구산동 - 예일여고 - 역촌오거리 - 은평구청 - 녹번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광화문 - 세종문화회관 - 시청 - 서울역 - 삼각지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흑석동 - 이수교차로 - 총신대 - 상도동 - 노량진 - 본동가칠목

152번의 예일여고 경유 노선이 아예 분리되면서 152-1번이 되었다. 이 때는 예일여고만 경유할 뿐, 152번처럼 서울역까지 운행했다.

1999년에 143-2번과 통합하면서 본동가칠목까지 연장되었다. 회사에서도 기대가 컸는지, 다른 노선에 있던 비교적 새차들(주로 95~96년식 BS106L 하이파워)을 모아서 투입했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했는지 점차 감차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한강대교남단 - 흑석동 - 숭실대 - 본동가칠목' 구간을 '한강대교남단 - 상도터널 - 상도시장 - 숭실대'로 변경했고, 번호도 752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52 문서를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52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13 153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3.jpg
출처
운행구간 : 갈현동 - 시립서북병원 - 신사동 - 녹번동 - 홍제동 - 독립문 - 서울역 - 명동 - 스카라극장 - 중구청 - 대한극장 이후 역순

114 153-1 (선진운수) (★)

bs106.JPG
출처

운행구간 : 구산동종점 - 구산사거리 - 역촌오거리 - 서부경찰서- 서부병원 - 녹번역 - 홍은고가

일명 '3단박스'라고 불리는 냉방개조차로만 운행했다. 그런데 이 노선과 모든 구간이 겹치는 155-1번은 당시 신차였던 AC540L이었던지라, 장비면에서도 우월했고 배차간격에서도 우월했다.

결국 경쟁에서 밀리면서 2003년 4월에 폐선되었다. 어차피 2004년 버스개편 때 합쳐졌거나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노선이었겠지만, 155-1번이 153-1번의 몰락에 적지않게 이바지한 건 사실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722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15 154 (제일여객)

500px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4a.jpg
영화 '안녕 UFO'에 나온 장면으로, 해당 차량은 우신운수에서 차출된 차량이다.실제 운행차량출처

운행구간 : 기자촌 - 신도초교/연서시장 - 불광역 - 녹번역 - 독립문역 - 광화문 - 종로 - 동대문운동장 - 장충체육관 - 약수역 - 청구역 - 신금호역 - 금남시장 - 옥수동

개편과 함께 '종로6가 - 옥수동' 구간 대신 구 157번의 '동대문 - 답십리' 구간을 이어받아 서울 버스 720이 되었다. 이후 '청량리역환승센터 - 서울시립대' 경유로 변경되었고, 은평뉴타운 조성으로 다시 일부 조정이 있었다.

116 154-1 (제일여객)

운행 구간(1기) : 기자촌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구기동 - 평창동 - 국민대 - 길음역 - 종암동 - 고려대 - 숭인동 - 성동기계공고 - 문화동 - 금남시장 - 옥수동

운행 구간(2기) : 기자촌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구기동 - 평창동 - 국민대 - 길음역 - 종암동 - 고려대 - 신설동역

1기 노선은 1990년대 폐선되었고, 2기 노선은 154번 좌석노선이 2000년경에 도시형으로 형간전환한 것이다.

이후의 행적은 서울 버스 7211 참조.

117 154-2 (제일여객) (★)

운행 구간 : 기자촌 - 불광동 - 구기동 - 평창동 - 국민대 - 길음역 - 종암동 - 고려대 - 용두동 - 상왕십리 - 왕십리 - 무학여고 - 응봉동

1992년에 폐선.

118 155 (제일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5.jpg
운행구간 : 기자촌 - 폭포동 - 독바위역 - 불광역 - 홍제동 - 서대문 - 종로2가 - 을지로 - 신당역 - 청구역 - 신금호역 - 금남시장 - 옥수동극동A

원래는 불광역 인근 현 한화생명 빌딩 부지가 종점 및 차고지였으나 제일여객의 주차고지인 기자촌(현 은평뉴타운 11단지)으로 이전하면서 노선을 연장했다.

2004년 개편 때 동대문운동장 - 옥수동 구간만 서울 버스 2233번으로 존치되었다.

119 155-1 (제일여객)

1997년 쯤에 '기자촌 - 신도초교 - 박석고개 - 갈현동선진운수종점 - 구산사거리 - 예일여고 - 서부병원 - 녹번역 - 홍은고가' 노선으로 개통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7722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22 문서를 참조.

120 156 (제일여객)

1980년의 모습

파일:/data22/2007/3/7/100/1997070100291.jpg
운행구간 : 양주(부곡리) - 송추역 - 72사단 - 예비군훈련장 - 북한산성 - 구파발역 - 연신내 - 불광동 - 홍제동 - 서대문 → 경찰청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조계사 → 안국동 → 세종문화회관 → 이하 역순

본선은 구파발(삼천리골) - 서울역간 노선이었고 지선으로 송추 - 구파발(자세한 내용 추가바람) 간을 운행했으나, 2003년 정식으로 송추로 연장하면서 8대를 장흥/일영방향으로 분리하여 156-1번을 신설하였다. 156-1번에 관한 내용은 아래 문서 참조.

개편 때 704번으로 전 구간 존속되었다. 개편 당시 차량이동이 좀 있었지만 4개월 후 다시 환원되었다. 서울 버스 704 참조.

121 156-1 (제일여객)

400px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6-1.jpg
첫번째 노선 (출처 : 한국관광공사)두번째 노선 출처

한 때 두 노선이 이 번호를 함께 사용하였다.
운행구간 : 구파발(삼천리골) - 연신내 - 홍제역 - 서대문 - 서울역 - 용산 - 한강대교 - 흑석동 - 반포 - 고속터미널
운행구간 : 양주(부곡리) - 송추역 - 장흥/일영유원지 - 구파발 - 연신내 - 홍제역 - 서대문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서울역사박물관 → 이하 역순

첫번째 노선의 경우, 한 때 화물터미널(현 남부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가 다시 고속터미널로 단축되었고, 이후 동작대교 경유로 변경되는 등 여러 변화를 겪다가 1980년대 중반에 폐선되었다.

두번째 노선의 경우, 2003년 초반에 구파발 - 남대문시장을 정규노선으로 운행하던 156번을 송추로 공식 연장하면서, 장흥/일영구간을 딱 8대만 나눠 신설한 노선이다.
대개편 때 7023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이후 숱한 변화를 거치다가 폐선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25 항목 참조.

122 157 (신성교통)

출처
운행구간 : 삼송동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서대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 - 성바오로병원 - 전농동사거리 - 답십리회차

신성교통 설립 때 신설된 노선으로, 개편 전 까지 큰 노선 변경이 없었다.

운행대수도 31대로 상당히 탄탄한 수요층을 형성했고, 시계외요금 징수를 안했던 유일한 신성 소속 도시형 노선이었다.뭐? 삼송동이 고양시라고? 맞긴 하지만 거기부터 시외요금 징수하면 이건 그냥..

또 이 노선만의 특징이 있다면 개편 이후 2달까지 미리아를 사용하던 신성이지만 무려 개편 1년 전부터 이 노선에서는 전 차량 양진텔레콤을 사용했다.신성소속 도시형 노선 중에서는 유일했다. 912번과 922번이 2002년 말부터 슈퍼 에어로시티 가스형으로 대차를 시작하면서 안내방송을 미리아에서 양진으로 변경했지만 이들은 모두 좌석노선이다.

개편 후 대체노선은 서울 버스 720이지만 서울 약령시 이후 구간이 살짝 다르고 구파발 구간 대체도 되지 않아 공식적으로는 폐선으로 처리되었다. 실질적으로는 서울 버스 701이다. 하지만 구파발 구간은 대체노선이 상당히 많다는 것.

123 157-1 (신성교통) (★)

운행구간 : 원릉역 - 원당주공1,2단지 - 리스쇼핑 - 원당역 - 동산동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서대문 → 광화문 → 시청앞 → 서울역 → 염천교 → 경찰청 → 서대문

1985년경 원당주공아파트 입주로 인한 대중교통 확충 대책에 의거 신설된 노선. 동일노선 좌석형 노선으로 757번 역시 존재하였다. 1995년경 홍은동 유진상가 회차로 단축, 1997년 6월 감차를 자행, 당시 이 노선 앞으로 인가되어있던 차량 7대를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대진운수 5-1번, 710번 증차분으로 매각하였다, 이후 1997년 12월 1일 공식 폐지되었으며 이후 이 노선 앞으로 남아있던 모든 차량들을 남성교통 36번, 66번 (이후 66번에 증차된 차량들은 916번에 증차.), 신촌운수 92-2번, 139번 증차분으로 매각하였다.

124 158 (신성교통 → 제일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8a.jpg
출처
운행구간 : 파주(다율리) - 동패리(삽다리) - 덕이동 - 일산시장 - 북일산전화국 - 복음병원 - 리스쇼핑 - 원당 - 삼송역 - 구파발 - 연신내 - 홍제역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시청 → 한국통신 → 적선동 → 이하 역순

1965년 신성교통 창립 때 신설된 노선으로, 당시에는 갈현동과 서울역을 오갔다.

이후 월마트탄현점(현 이마트덕이점) 앞까지 연장되었다. 다만 일산신도시로 가지 않고, 구일산(본일산)을 거쳐서 갔다.

일부 시간대에 원릉역 및 동양쇼핑 경유 지선으로 운행하다가 158-6번(서부터미널 - 원릉역) 노선으로 아예 분리시켰지만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운정과 교하지구에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다율리차고지를 조성했고, 완공 전인 2001년 9월에 '월마트 - 야당리 - 운정동문.현대아파트 - 동패리 경기인력개발원, 벽산아파트 - 삽다리 - 만자고개 - 백송마을 - 월마트' 구간이 연장되었다.

다율리차고지가 완공되면서 2002년 1월 25일에 다율리로 연장되었다. 다율리로 연장될 때 운정삼거리와 탄현지구를 운행하는 158-5번(13대)을 분리하였고 동시에 원당주공아파트 경유 지선을 158-6번(4대)으로 분리하여, 차량은 기존 31대에서 13대로 대량 감축되었다.

2003년 7월에 노선을 제일여객으로 이관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불광동으로 단축했고, 번호는 7733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33 문서를 참조.

여담으로, 과거 SBS 드라마에서 158번 버스를 촬영용으로 많이 사용했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733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25 158 (좌석) (신성교통 → 제일여객)

출처

탄현·중산 - (고양대로) - 원당역 - 구파발역 - (통일로) - 독립문역 → 적선동(경복궁역) → 광화문 → 숭례문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 독립문역 이후 역순

  • 1994년 탄현동, 중산동 택지지구 개발로 인하여 향후 수요가 늘 것이라 판단한 신성교통에서 탄현동-서울역 노선으로 신설했다. [14]
  • 하지만 그 당시 탄현동은 이제 막 개발되던 곳(...)[15]이었다보니 대부분 수요는 중산동[16]에 가서야 나오던 실정.
  • 그러다가 1997년무렵부터 탄현동 1지구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탄현동에서도 수요를 잡기 시작한다. 그때만 하더라도 신촌교통에서는 921번 심야좌석만 탄현동에 굴렸었지 903-1번을 분리하기 전이었고, 그나마 명성운수 소속의 33번 좌석버스 정도만 있는 등 그야말로 시내버스 노선이 얼마 없었던 터라,[17] 유일하게 서울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각광을 받았다.
    • 특이하게도 심야좌석 열풍이 불던 때에도 이 노선은 별도의 심야좌석으로 전환된 적이 없었다는 점.
  • 그러다가 1998년부터 현대자동차 에어로 스페이스를 단계적으로 도입했는데, 채 5년도 굴리지 못하고(...) 조기대차해 버렸다. 안습[18]
  • 2002년 제일여객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서울 버스 9703 문서 참조.

126 158-1 (신성교통)

운행구간(1기) : 화전 - 예비군훈련장 - 용두사거리 - 창릉동 - 서삼릉입구 - 삼송역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서대문 → 시청 → 서울역 → 경찰청 → 독립문 → 이후 역순

운행구간(2기) : 광탄삼거리 - 용미리묘지 - 국군벽제병원 - 고양시장 - 시립장재장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서대문 → 시청앞 → 서울역 → 경찰청 → 독립문 → 이후 역순

1기 노선은 1995년에 홍은사거리로 불법 단축된 직후 폐선되었다.

2기 노선은 2000년 초에 158-3번에서 14대가 분리되어 158-3번(적)으로 신설되었다. 원래는 적색이 광탄삼거리, 청색은 기존 고양동까지 운행했으나 혼란 방지를 위해 적색노선만 2000년 중순에 아예 분리되어 번호가 158-1번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중순에 그 중 4대가 분리되어 향양리까지 연장된 향양리 지선으로 신설되어 1시간 간격으로 운행했다. 이 차량들은 행선판까지 '향양리(문산) 158-1 서울역'으로 부착하여 운행했는데 파주시/관내업체와의 이해관계로 인해 파주읍까지 단축했다가 결국 2004년 초에 폐지되어 본선에 통합되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용미리 묘지 등을 경유한 덕분에 명절이나 벌초 시즌에 이용객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노선이었다. 그 날은 아예 휴일 감차 없이 평일 배차간격으로 운행했다. 그리고 개편 전에 있었던 시계외요금[19]도 좌석버스보다 비쌀 정도로 극악이었다. 광탄면에서 서울역까지 가는 데만 해도 1,400원을 받았다.[20] 여기에 향양리행 지선은 1,600원을 받았다는 후문이 있다. 하지만 2004년 이후 거리비례를 받지 않게 되어 사실상 요금이 인하됐다 카더라

158-1번을 달고 다니던 2002년 6월, 일부 차량들을 지선 형식으로 문산시외버스터미널까지 연장한 후 문산터미널 하차 허용 및 기점은 현재처럼 봉서리의 문산여고(現 문산수억고)[21] 앞으로 운행했으나 시계외 거리 제한 30km 초과에 역시 파주시청, 신일여객의 태클로 인해 불과 한 달 만에 연장했던 노선을 파주읍(주내삼거리)로 단축한 후, 일부 시간 한정으로 광탄면에서 운행을 끊어서 다니다가 결국 신산리까지 완전히 단축한 흑역사가 있었다. 그렇게 되어 파주읍 지선이 완전히 폐선되었고, 완전히 광탄(신산리)차고지에서 출발·종착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2004년 7월 1일 때 번호만 703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03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27 158-2 (신성교통)

1981년의 모습

운행구간 : 금촌 - 시네마극장 - 파주시청 - 봉일천시장 - 내유동 - 관산동 - 시립장재장 - 삼송역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서대문 → 시청 → 서울역 → 경찰청 → 독립문 → 이하 역순

1980년대 신설된 노선이다. (정확한 날짜 추가바람)

동일 번호/노선의 심야좌석 노선도 있었는데 심야좌석노선의 번호가 900번대로 정해지면서 좌석노선만 번호가 912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노선에 관한 정보는 서울 버스 9709참조.

2002년 맥금동 차고지 완공으로 주변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158-2번만 연장되었다가 나중에 912번과 기종점을 서로 맞바꾸게 된다. 그렇게 해서 158-2번의 기점은 금촌, 912번의 기점은 맥금동이 된다.

2001년 이후로 서울시 소속 노선들은 본격적으로 양진텔레콤 안내방송을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유독 신성교통 소속 노선들 중 다수는 미리아를 사용했다. 개편 직전 04년식 디젤 슈퍼에어로시티가 이 노선에 몇 대 들어왔었고 이 노선에서는 이 차량들만 양진텔레콤 안내방송을 사용했다. (자세한 내용 추가바람)

개편 후 이 노선은 불광동으로 단축되어 7735번이 되었다가 05년 9월 구파발 - 영등포를 운행하던 760번에 통합되어 서울 버스 760이 되었다. 현재 노선형태만 보면 파주 버스 99가 이 버스의 정통후계다.

128 158-3 (신성교통)

운행구간 : 벽제묘지 - 고양시장 - 시립장재장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서대문 → 시청 → 서울역 → 경찰청 → 독립문 → 이하 역순

금촌 - 서울역간 158-2번이 신설될 때 함께 신설되어 운행한 노선.

2000년 초, 적/청분리로 적색은 광탄까지 연장되었다. 후에 적색은 158-1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개편때 본선이었던 게 청색이 7731번으로 변경/ 불광동까지 단축됐고, 가지치기였던 적색노선이 703번으로 존치되어 운행.

2008년 2월 폐선되었다.

해당 노선의 기점은 고양 버스 85의 기점이며 서현운수의 등기상 본사 소재지다.

129 158-4 (신성교통 →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8-4.jpg
출처
운행구간 : 고양(일산 가좌동) - 농수산물센터 - 후곡마을 - 밤가시마을 - 암센터 - 강촌마을 - 백마역[22] - 풍동 - 원당 - 서오릉 - 구산동 - 은평구청 - 녹번역 - 홍제역 - 독립문 → 서대문 → 미도파[23] → 서울역 → 경찰청 → 독립문 → 이하 역순

93년 노선조정 때 신성교통에서 신설된 노선은 아니고, 1996년에 신설된 노선이다.
93년 조정 때 '번호'가 생겼다고 봐야 맞다.

93년 신설된 노선은 도시형 노선이었고 동일번호/노선의 좌석노선도 같이 신설됐다.(노선 불문, 정확한 노선 추가바람)

월마트 - 후곡/밤가시마을 - 암센터 - 강촌마을 - 풍동지구 - 원당 - 삼송역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시청 → 광화문 → 적선동 → 독립문 → 이하 역순

이 노선은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운행하던 158-4번이고 1996년 생 초부터 노선을 일방적으로 운행 중단했다.

결국 이 노선은 사라지고 서오릉과 은평구청 경유로 다시 '신설'된다. 형태는 좌석.


이렇게 1996년에 신설했는데 적자로 99년 노선과 차량을 모두 선진운수에 매각한다.

2002년 12월에 대화동 차고지에서 가좌동으로 이전하였다.

그렇게 2004년 개편까지 가서 9705번이 되었다가 용산역으로 연장됐는데...최초의 일산 - 용산간 특급노선!! 2005년 7월 폐선되었다.

130 158-5 (신성교통 → 제일여객)

운행구간 : 다율리 - 출판물물류센터 - 월드/현대 - 운정삼거리 - 가구공단 - 탄현큰마을 - 일산시장 - 복음병원 - 리스쇼핑 - 원당역 - 원흥동 - 삼송역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시청 → 광화문 → 적선동 → 독립문 → 이하 역순

2002년에 158번이 다율리에 진출하면서 노선을 운정과 삽다리 행으로 이원화했는데 이 중 운정행이 158-5번이 되었다. 덕분에 26대였던 158번이 정확히 절반인 13대로 되었다.(원래는 31대였으나 5대는 원당주공 경유 지선을 아예 158-6으로 분리시켰다.)

이렇게 노선이 분리가 되면 배차간격이 서로 잘 유지돼야 하는데 당연히!! 서로 붙어다니는 경우가 허다했다.

다율리 기점 변경 후 가스차량으로 전부 대차되었고 2003년 여름 제일여객으로 노선이 이관되었다.

2002년 8월경에 탄현큰마을 경유로 변경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불광동으로 단축되어 7734번이 되었으나, 2005년 2월 28일에 수요 부족으로 7733번으로 흡수되어 다시 158번 품으로 돌아갔다.

131 158-6 (신성교통) (★)

운행구간 : 원당주공아파트 - 리스쇼핑 - 원당역 - 훼릭스 - 가시골 - 원흥동 - 삼송역 - 동산동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동시외버스터미널

서부터미널을 유일하게 들어가던 서울 노선. 158번이 158-5로 분리되면서 기존에 있던 5대의 원당 주공아파트 경유 노선을 번호화 시킨 노선이다.

전차량 1995년식 무냉방 에어로시티 540SL로 운행했으며 (서울 74사 5355, 5357, 5358, 5361호.) 이들 중 1대가 삼송영업소에서 창고로 쓰인 것은 동호인들 사이에서 매우 유명했다. 이 영업소에 가면 꼭 봐야하는 명물이었지 아마?

수요부족으로 폐선되었고 이 때의 차량번호는 모두 말소되었다.

132 159 (선진운수)

출처
운행구간 : 용두사거리 - 용두5.6.7통 - 용두초등학교 - 806전투경찰대 - 구산동 - 역촌역 - 서부경찰서 - 서부병원 - 은평구청 - 녹번역 - 홍제역 - 독립문 → 사직동 → 안국동 → 국세청(종로1가) → 광화문 → 서대문 → 독립문 → 이하 역순

개편 때 폐선되었으나 고양시 용두동 구간 일부는 서울 버스 702번이 702B로 계승중이다.

133 160 (상마운수 → 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60.jpg
출처
96번의 고리 반대 순환형. 2002년 상마운수 부도로 96, 303번과 함께 한남운수로 인계되었다. 서울 버스 5616 참조.

134 160 (좌석) (상마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35 161 (삼화교통 → 삼화상운) (★)

운행구간 : 월계동 - 드림랜드 (청) / 광운대 (적) - 상월곡동 - 월곡역 - 종암동 - 고려대 - 안암동로터리 - 숭인동 - 청계천 - 롯데백화점본점 - 서울역 - 서대문 - 홍제역 - 문화촌

삼화교통 시절 문화촌 - 장위동 노선으로 운행. 삼화상운 노선 인수 후 월계동 - 문화촌 노선으로 기종점 변경.

1995년에 월계동 - 서울역으로 단축되었고, 이후 1997년에 폐선되었다.

136 161 (좌석) (삼화교통 → 삼화상운) (★)

1990년대에 신설되었으며,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도시형이 폐선된 후 이 노선이 도시형으로 형간전환하였으나, 파행운행을 반복하다가 2001년에 폐선되었다.

137 165 (금성교통 → 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65.jpg
운행구간 : 남양주(호평동) - 평내동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 경동시장(회차)

1969년 서울승합 합승좌석 27번(홍릉-금곡)으로 시작하여 서울승합 홍릉영업소(금성교통) 분리, 금곡동으로의 차고지 이전, 165번으로 번호 변경, 70년대~80년대 을지로5가 연장과 경동시장으로 재단축에 이어 1996년 KD운송그룹으로 넘어가 대원교통 소속이 된 이후 호평동으로 연장했다. 개편 전까지 경춘로 터줏대감 노릇을 하다 개편때 2231번으로 번호 변경과 동시에 면목동으로 단축되면서 안습한 처지로 전락한다.
지금 운행중인 남양주 버스 165번은 개편 직후 별개로 KD에서 경기면허로 신설한 것이다. 정확히는 165-1번이 번호가 변경된 것이지만... 해당 문서 참고.

138 165-1 (금성교통 → 부흥교통) (★)

165번의 토평동 지선으로 한때 165번이 토평동 팻말을 걸고 운행한 적이 있었다. 부흥교통 55번과의 경쟁에 밀려 90년대 초반에 폐선. 한때 노선번호가 165-토 라는 노선번호를 달고 운행한 적이 있었다.

139 165-2 (금성교통 → 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65-2.jpg
출처
80년대 165번의 호평동 지선으로 개통하여 거의 변경 없이 개편때도 존치되어 서울 버스 2227이 됐다. 하지만 가스충전 문제, 통합환승제로 인한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청량리 구간 단축을 하더니 얼마 못가 경기도 구간이 잘려나가고 이후 2번의 노선 변경을 거쳐 지금에 이른다. 2014년 1월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어 운행 중.

140 165-3 (금성교통 → 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65-3.jpg
출처
90년대 초반 165번의 용정리(사릉) 지선으로 개통하였고 개편때 2230번으로 번호 변경와 동시에 면목동으로 단축됐다. 개편 반년도 못 있어 면목동 경유 청량리로 연장됐으나 2005년 1월 청량리 대신 면목동 - 왕십리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구간이 연장되어 2016번으로 바뀌었다. 같은 해 12월 중앙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2015번에 통합되면서 폐선.
이 노선의 폐선 직전 경기면서 대원운수 165-3번이 개통되어 73사단 구간을 대체하였으나 이것도 폐선. 지금은 경기광주 버스 30번이 대체 중이다.

141 166 (호수여객 → 호만여객 → 태화상운 → 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66.jpg
출처
태화상운의 덕소 - 경동시장 간 노선으로 2001년 5월 업체가 부도나면서 대원교통으로 매각. 개편 직전까지 변동 없이 운행하다가 2229번으로 번호만 바뀌었다. 2005년 12월 16일 이 노선과 완전히 겹치는 중앙선 전철 개통으로 폐선.

142 166 (좌석) (태화상운)

아래 166-2번 항목 참조.

143 166-1 (태화상운) (★)

운행구간 : 남양주(도곡리) - 덕소역 - 신앙촌 - 다리골 - 묘지앞 - 월문초교 - 월문리(회차)

93년 노선조정 때, 기존에 있던 166번의 월문리 - 도곡리 지선을 번호화 시킨 노선이다. 재미있는 점은 서울면허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근처로도 오지 않던 only 남양주 노선이었다는 것.

동사 400번 순환버스(도곡리 - 망우리고개)도 서울시 땅을 1mm도 밟지 않던 서울면허 노선이었다. 후에 이렇게 서울시를 외면하던 이 회사는 아예 OUT서울이 되어버렸다.

144 166-2 (태화상운 → 대원교통)

550px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66-2a.jpg
166번 좌석버스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출처 : 영화 '조용한 가족')형간전환 이후의 모습출처

운행구간 : 양평(양수리) - 능내역 - 팔당역 - 도곡리 - 덕소역 - 삼패동 - 도농동 - 구리역 - 교문사거리 - 상봉터미널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역 - 경동시장(회차)

원래는 태화상운이 166번 좌석버스로 운행하다가 2000년 7월경에 도시형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경영난으로 인해 2001년 5월에 대원교통으로 넘어갔다. 개편 후 2228번으로 운행하다가 폐선. 2228번을 그대로 이어받은 노선이 남양주 버스 167이다.

특이하게도 양평군 양수리까지 갔던 서울 차적버스이기도 하였다. 지금은 옛날 얘기라 서울 차적버스가 양평까지 갔다고 하면 놀랄만한 일이 되는 편이지만 옛날에는 저렇게 갔었던 적이 있다.

145 173 (세풍운수) (★)

운행구간 : 난곡 - 문성골길 - 구로전화국 - 신림역 - 서울대입구역 - 사당역 - 고속터미널

111번이 난곡길로 다녔던 것과 달리 이 노선은 문성골길로 다녔다.

2호선 완전개통의 여파로 1985년에 폐선.

이전 문서로
(0번대)
다음 문서로
(200번대)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여의도 내에서는 여의나루역을 거쳐 국민일보앞(구.SBS방송국)을 루프로 돌아 여의도 순복음교회까지 운행했었다. 다른 여의도 순복음교회 회차 및 경유노선과 달리 순복음교회 아래 여의도 관광호텔 앞 전용 정류장에 정차했다. 유진운수 → 경동교통 → 유진운수 시절부터 있던 정류장이다. 그리고 금요철야예배를 마치고 온 승객들을 위해 그 당시 버스 1대가 01시까지 대기하기도 한 전설도 있었다.
  2. 이 때 유진운수는 삼청동과 서울역을 잇는 104-2번을 군포교통과 공동 배차하였으나 얼마 못가 군포교통으로 차량을 모두 넘겼다. 이후 군포교통은 마을버스 회사에 104-2번을 매각하여 마을버스 노선으로 전환시켰는데 이것이 현 종로11번 마을버스의 기원이 되었다.
  3. 위의 MBC뉴스에서 보듯 유진운수는 우신버스의 산본4단지 차고지를 공유했지만 유진이 세입자 신세였고, 우신버스측은 유진을 상대로 15억원 가량의 채권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이후 유진운수의 운명은 서울 버스 5623 문서를 참조.
  4. 당시에는 방배경찰서 건너편에 있었다. 현재는 관악구청 근처로 이전.
  5. 개편 전 460번, 개편후 6614번
  6. 동북운수 일반좌석 8번에서 사용하던 중고차량이다.
  7. 물론 진아교통 38-2번, 상진운수 48번 등 다른 쟁쟁한 노선들도 꽤 있긴 했다.
  8. 서로 견제하면서 난폭운전과 신호위반을 일삼아 이게 공중파 뉴스에 보도되기도 했다.
  9. 당시에는 노들길에서 노량진 방향으로 좌회전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노들섬 앞에서 유턴해야했다.
  10. 장지동 - 문정동 - 오금동 - 방이동 - 가락동 - 송파 - 잠실역 - 잠실대교 - 자양아파트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 - 프리마호텔 - 청담동 - 학동사거리 - 한양A - 압구정 - 잠원동 - 고속터미널 - (이후 생략)
  11. 수요를 위해 반포본동을 찍고 다시 나오는 형식으로 운행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12. 이수교까지 가는 차량은 앞유리에 '총신대학교, 범진여객 차고지, 이수역 경유'라고 써져 있었다고 한다.
  13. 26, 115-1은 협진로 경유로 변경되었지만, 보수 완료 후에도 환원되지 않았다.
  14. 교하-서울역 간으로 운행하던 158번 도시형버스와는 전혀 다른 노선이다. 운행 업체는 일치했긴 했다만.
  15. 탄현동에 최초로 아파트가 들어선 게 1995년, 제니스 길 건너편의 진로, 경남 아파트 단지 하나 뿐이었다. 이 때 당시에는 아파트 주변에 아무것도 안 들어서서 그야말로 허허벌판에 똑하니 아파트만 있덨다고 한다(...) 이후 1997년에 뒤에 3단지가 추가되는 식으로 점차 개발되었고, 2000년 말에서야 11~16단지가 완공되어(2지구) 탄현지구가 완공되었다.
  16. 중산동 또한 1995년 봄부터 아파트가 들어서서 1996년 여름에 완공되었다. 중산지구에도 아파트가 없었던 개통 극초기에는 원당까지 가야 수요가 나왔다.
  17. 마을버스 노선은 꽤 오래 전부터 갖추어져 있긴 했다.
  18. 2002년무렵부터 7권역에 SAC 열풍이 불어닥친다. 제일 먼저 그리 대차한 건 동해운수. 동해운수를 손봅시다 동해운수는 나의 원수
  19. 개편 때 사라졌다. 물론 환승할 경우 5km 단위로 추가요금이 부과되는 약간 이상한 형태로 존속되고 있지만.
  20. 당시 좌석버스 요금이 1,200원 가량 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굉장히 비싼 셈이다. 그리고 당시 일반버스 요금은 개편 직전 교통카드 기준 700원. 즉, 기본요금보다 2배의 요금이 부과된 셈이다.
  21. 설립자 이름을 본따서 2015년에 남녀공학 전환과 함께 개명하였다.
  22. 서울행의 경우, 일산로를 잘 달리다 강촌마을로 내려가더니 별안간 다시 북으로 올라와 경의로에서 좌회전해 백마역으로 간다. 백마역 출발 직후엔 우회전하여 풍동을 거쳐 고양대로로 향한다.
  23. 지금의 명동 롯데 영플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