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 |||||
간선버스 | 지선버스 | 마을버스 | 광역버스 | 순환버스 | 심야버스 |
폐선 목록 | |||||
간선 | 지선 | 마을 | 맞춤 | 광역 | 순환 |
개편 전 | |||||
0번대 | 100번대 | 200번대 | 300번대 | 400번대 | 500번대 |
600번대 | 700번대 | 800번대 | 900번대 | 1000번대 이후 | 맞춤버스 |
마을버스 | |||||
한정면허 (특수 체계) | |||||
공항버스 | 시티투어 |
-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
목차
- 1 개요
- 2 9101(대원여객)
- 3 9201(대원교통)
- 4 9202(대원교통)
- 5 9203(대원교통)
- 6 9204(대원교통)
- 7 9205(대원교통)
- 8 9301(대원여객)
- 9 9400(남성교통)
- 10 9401B(남성교통)
- 11 9402(남성교통)
- 12 9405(동성교통)
- 13 9406(남성교통)
- 14 9407(동성교통)
- 15 9409(남성교통)
- 16 9410(대성운수)
- 17 9411(대성운수)
- 18 9412(남성교통)
- 19 9413(동성교통)
- 20 9414(동성교통)
- 21 9502(우신버스)
- 22 9503(대원여객)
- 23 9504(우신버스)
- 24 9600(신길운수)
- 25 9601(신길운수)
- 26 9602(김포교통)
- 27 9702(신성교통)
- 28 9704(신성교통)
- 29 9705(선진운수)
- 30 9706(동해운수)
- 31 9708(동해운수)
- 32 9710(신성교통)
- 33 9711(제일여객)
- 34 9711B(신성교통, 제일여객)
- 35 9712(제일여객)
- 36 9713(동해운수)
1 개요
여기에는 폐선, 통합, 변경 등으로 인해 번호가 소멸된 노선을 기재하는 공간으로, 추가할 때는 오름차순으로 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편 당시 계획에 들어있었으나 실제로 운행하지 않았거나 노선이 바뀐 경우는 제외합니다.
시내버스 문서인 만큼, 마을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폐선된 마을버스의 경우,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문서를 이용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폐선 사유에서 노선의 흑자, 적자에 대해서는 될 수 있으면 기재하지 않도록 합니다. 준공영제하에서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2 9101(대원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101a.jpg
출처
운행구간 : 양주(덕정동) - 덕정역 - 율정동 - (TS아파트/봉양동 - 골프장) - 덕고개 - 양주시청 - 양주역 - 의정부북부역 - 의정부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삼거리역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 성균관대입구 → 창경궁 → 동대문 → 종로5가 → 혜화역 → 대학로 → 한성대입구역 → 이하 역순
구 902번 심야좌석버스[1]로, 대개편 때 번호만 변경되었다. 개편 당시에는 9101이라는 광역버스 노선이었으나, 도봉-미아로 수요가 굉장히 많아서 중앙차로에 추월차로를 설치해 놓아도 통과시킬 정류장이 아예 없었다. 그래서 간선 노선과의 시간 차이가 얼마 나지 않았다. 게다가 당시 광역버스는 환승혜택마저 없었다. 그리고 개편 전 종로5가역 4번 출구 앞에 의정부에서 오는 다른 노선 버스들과 같은 정류장에 정차해서 접근성이 좋아 편리하게 이용하기 좋았다. 하지만 개편 후, 광역버스로 전환 후 정류장이 뒤에 떨어진 광역버스 전용 정류장에 따로 정차하니 당연히 전에 타고 내렸던 정류장에서 거리가 멀으니 당연히 승객들의 외면하기도 했었다.
이로 인해 2005년 8월 결국 형간전환을 하게 되었고, 이 때 1권역 간선번호가 하나도 남아있지 않자 가장 관련이 없던 당시 108번의 번호를 가지고 오게 된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08 문서 참조.
개편 전과 개편 이후에는 TS 3차와 골프장 코스 이렇게 두 노선으로 분리 운행하였으나, 형간전환 이후에는 GS아파트 쪽으로도 분리운행하게 된다.
3 9201(대원교통)
700px
출처
운행구간 : 남양주(차산리) - 마석 - 평내동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역
구 765-1번 좌석버스가 번호만 변경된 노선이었다. 9205번과 중복되는 구간이 많아(마석 - 청량리역) 2005년 7월 5일부로 폐선되었다. 이후 내용은 아래 9205번 항목 참조.
4 9202(대원교통)
남양주 버스 1200 문서 참조.
5 9203(대원교통)
운행구간 : 남양주(덕소) - 덕소역 - 수석동 - 강변북로 - 잠실역
먼 옛날 태화상운에서 운행하던 좌석버스 1670번을 대원교통이 인수한 뒤 경기고속과 대원교통이 공동 배차하다가 대개편을 맞아 번호만 변경되었다. 하지만, 2005년 10월에 바로 아래 9204번과 같이 경기도 면허인 대원운수로 넘어가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후 내용은 경기광주 버스 1670 문서 참조.
6 9204(대원교통)
운행구간 : 남양주(덕소) - 덕소역 - 강북정수장 - 워커힐호텔 - 광나루역 - 강변역
먼 옛날 태화상운에서 운행하던 좌석버스가 KD 운송그룹으로 넘어가면서 대원교통과 경기고속에서 공동 배차를 하기 시작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대원교통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1660번,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112-3번으로 번호가 달랐다는 점.
그러단 2004년 서울 대중교통 개편에 따라 1660번 좌석버스는 9204번 광역버스로 번호만 바꿔 운행을 하기 시작했는데, 광역버스로 바뀌자 수입이 급감했다. 112-3번이 그대로 다니는데다 환승할인도 안돼[2] 굳이 이 노선을 탈 이유가 없없던 것. 그래서 2005년 말 대원교통에서 대원운수로 노선이 넘어갔고, 번호는 다시 1660번으로 운행하다 조용히 112-3번으로 통합되었다. 하지만, 이후 부활하였고 이번엔 오히려 112-3번을 흡수해버렸다.
여담으로, 서울시 광역버스 시절에는 길이가 가장 짧은 광역노선이었다.(왕복 약 32km)
7 9205(대원교통)
600px
해당 차량은 현재 도시형으로 대차되어 서울 버스 2016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남양주(차산리) - 마석 - 평내동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2~6가 - 서울역
구 직행좌석버스 765번으로,[3] 대개편 때 번호만 변경되었다. 당시 서울시 광역버스 중 최하위권이었지만, 차산리 주민들에게만큼은 그 어떤 노선보다 소중한 존재였다.
2004년 12월 20일에 '대성리 - 마석' 구간이 단축되었고, '제기동 - 을지로 - 서울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심야버스도 마찬가지로 서울역까지 연장되었다.[4]관련 공지사항
2005년 8월 1일에 금곡로와 사릉입구를 거치지 않고 바로 경춘로를 통해 지나가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러다 2005년 6월경 차산리에서 청량리로 가던 9201번을 흡수해서 차산리로 연장하고, 을지로 경유를 종로로 바꾸고 서울역으로 입성하기에 이르렀다. 이 당시에는 주간도 나름 잘 나가던 편이었지만 심야 기능이 탁월했다. 차산리에서 막차는 23시 30분에 나갔고, 서울역에서는 기본으로 새벽 1시에, 남양주 방면 청량리역 정류소에서는 1시 30분 즈음에 탈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노선은 남양주 시내[5]에서 서울 도심으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그러나 영 수익성도 좋지 못한 데다 운행 길이는 현재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들 중 706번, 108번, 703번, 760번, 462번[6]에 버금가는 수준이라서[7], 운행하던 대원교통은 단축을 벼르고 있었다. 당연히 이를 알게 된 남양주시, 특히 평내지구, 호평지구와 차산리에서는 상당히 반대를 했지만...[8] 대세는 어쩔 수가 없었다. 결국 2006년 12월 1일에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203번으로 바뀌었고, 동시에 차산리 - 망우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그리고 중랑공영차고지로 들어가게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대체노선으로 신설된 것은 765-1번(차산리 - 경동시장)이었다. 현재는 203번, 765-번 모두 폐선되고, 65번 홀로 남은 상태. 이후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문서의 203번 항목을 참조.
8 9301(대원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301.jpg
위 차량은 서울 버스 341로 넘어간 후 2010년에 대차되었다.
경기광주 버스 9301 문서 참조. 출처
9 9400(남성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400.jpg
출처
운행구간 : 성남(테크노파크) - 목련마을 - 중탑동 - 장미마을 - 차병원 - 이매촌 - 아름마을 - 내곡동 - 양재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 - 녹사평역 - 남산3호터널 → 명동 → 종로1가 → 광화문 → 서울역 → 숭례문 → 남산3호터널 → 이하 역순
구 직행좌석버스 1005-2번으로, 대개편 때 번호만 변경되었다.
2007년 1월 20일부로 폐선되었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1005번이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당시 분당에서 강남과 도심을 잘 이어주었으나 KD의 직선 제미로 인해 수익이 많이 좋지 않게 되었다 남산터널의 문제도 한몫 했다.신설 당시에는 9400번과 노선이 동일했지만, 일주일 만에 1500-1번(외대 - 강남역)과 통합되면서 외대 - 서울역이라는 초장거리 노선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경기광주 버스 1005 문서 참조.
10 9401B(남성교통)
운행구간 : 구미동차고지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오리초등학교 - 이마트분당점 - LH한국토지주택공사 - 정자동한솔플라자 - 이매촌한신아파트 - 백현마을1,2단지 - 낙생육교(판교역입구) - 경부고속도로(판교요금소 ~ 한남대교) 무정차 - 한남동(순천향대병원입구) - 명동성당입구 - 종각역 - 조계사 - 광화문(세종문화회관) - 태평로삼성생명본사 - 서울역시내버스환승센터 - 숭례문 - 롯데백화점본점(국민은행명동영업부) - 명동성당입구
서울 버스 9401B 참고. 2014년 7월 16일 부로 국토교통부의 고속도로 경유 광역노선 입석금지에 따라 9401과 통합되었다.
11 9402(남성교통)
운행구간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대원사거리 - 정자동사무소 - 계원예고 - 한솔/양지마을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서현역 - 백현마을 - 낙생육교 - 판교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한남대교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중앙시네마 → 청계2가 → 종각역 → 조계사 → 안국동 → 세종문화회관 → 삼성프라자 → 서울역 → 숭례문 → 을지로입구역 → 중앙시네마 → 이후 역순
구 직행좌석버스 9000번으로, 대개편 때 번호만 변경되었다. 2005년 8월 5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여의도로 가던 9409번이 한남동 단축, 소월길 변경을 거쳐 9401B란 번호를 달고 운행하게 되면서, 이 노선을 어느 정도 답습하게 되었으나 이후 폐선되었다.
12 9405(동성교통)
출처
운행구간 : 오리역 - 푸른마을 - 이매촌한신A - 경부고속도로 - 양재역 - 강남대로 - 신사역 - 압구정역
구 909번으로, 강남역까지 운행하다가 2004년 11월 10일부로 광화문, 서울역으로 연장되어 9401번과 완벽하게 겹치는 노선이 되어버렸다. 결국 2005년 6월 7일부로 9401번에 흡수되었다.
13 9406(남성교통)
운행구간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대원사거리 - 정자동사무소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서현역 - 이매역 - 야탑역 - 여수동사거리 - 시흥동사거리 - 분당내곡 간 도시고속화도로 - 양재AT센터 - 강남역 - 교보타워사거리 - 논현역 - 신사역
구 심야좌석 910번으로, 그 이전에는 739-1번 좌석버스였다. 대개편 때는 번호만 변경되었지만, 중복되는 노선이 많아 2005년 6월 21일에 폐선되었다.
14 9407(동성교통)
성남 버스 9407 문서 참조.
15 9409(남성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409-광화문정류장촬영.jpg
서울 버스 9409 문서 참조.
16 9410(대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410.png
출처
운행구간 : 신구대학 - 금광동 - 단대오거리 - 구.성남시청 - 태평역 - 경원대학교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양재AT센터 - 강남역 - 교보타워사거리 - 신사역 - 한남동 - 장충단로입구 - 버티고개역 - 약수역 - 장충체육관 - 동대입구역 - 동대문운동장 - 흥인지문 - 혜화동 - 대학로
개편 전에는 심야좌석 917번이었고, 그 전신은 739번(성남-청계7가, 동대문운동장) 좌석버스였다. 2000년에 혜화동으로 노선이 연장되어 파란만장하게 다니다하지만 2006년 12월 18일부터 간선버스로 변경, 407번을 부여받았다.[9] 이 과정에서 가스충전문제로 심야버스 운행을 중지했다가[10] 이용 승객들의 민원으로 2007년 9월 30일부터 재개하였다.
현재는 대성운수 소속 노선 중 유일하게 성남시를 경유하는 노선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407 문서 참조.
17 9411(대성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411.png
출처
운행구간 : 성남(금광동) - 단대쇼핑앞 - 구.성남시청 - 태평역 - 경원대학교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양재AT센터 - 강남역 - 교보타워사거리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백병원 → 종로2가 → 세종문화회관 → 삼성플라자 → 숭례문 → 남대문시장 → 명동롯데 → 중앙극장 → 남산호1터널 → 이하 역순
개편 전 직행좌석버스 9009번이었으며, 강남대로가 아닌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해서 도심을 갔었다[11]. 2004년 1월 초 경부고속도로에서 강남대로 루프로 변경 후 강남역만 정차했었고 회차코스도 남산1호터널 지나서 중앙극장, 종로2가, 종로1가, 광화문, 시청, 서울역,숭례문,남대문시장(회현역) 루프로 변경 했었다.
이후 대개편을 맞아 번호만 9411번으로 바뀐 채 운행하였고, 이후 2004년 11월 초에 남대문시장(회현역)에서 롯데영프라자, 을지로입구로 회차루프가 변경되었다.
하지만, 강남대로 전 정류장 정차가 의무화되면서 일반 간선버스들과 차이가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자, 2008년 1월 15일부로 간선으로 형간전환하여 408번이 되었다. 이 형간전환은 신의 한 수가 되면서, 구성남 시가지의 대표적인 심야버스로서 활약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그리고 어떻게 되었는지는 서울 버스 408 문서 참조.
18 9412(남성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412.jpg
출처
운행구간 : 송파차고지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구.성남시청 - 태평역 - 경원대학교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양재AT센터 - 강남역 - 논현역 - 고속터미널 - 동작역 - 노량진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역 → 신길역 → 이후 역순
구 736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며, 이후 심야좌석이 도입되면서 916번으로 바뀌었다가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9412번으로 변경되었다.
차고지 문제로 인해 2005년 8월 20일에 '송파차고지 - 산성역 - 남한산성입구' 구간이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덕분에 서울에서 출발하는 유일한 광역버스 노선이 되었다.
2006년 12월 20일 미어터지는 '강남대로 - 고속터미널' 수요를 잡기 위해, 노선이 상당히 중복되던 4423번과 통합해 462번이 되었다. 이후 대체노선이 없는 '고속터미널 - 남부터미널' 구간을 위해 4423번이 부활했다.
19 9413(동성교통)
운행구간 : 오리역 - 미금역 - 정자역 - 수내역 - 서현역 - 이매역 - 야탑역 - 여수동 - 모란역 - 분당수서 간 도시고속화도로 - 삼성의료원 - 대모산입구역 - 학여울역 - 대치동 - 삼성역
왜 신설했는지 모를 노선. 노선 전체가 100명을 못 태웠던 날도 있을 정도로, 노선을 설계한 사람의 머리 속이 궁금해지는 노선. 결국 2004년 11월 15일에 폐선되면서, 서울 광역버스 중 가장 먼저 폐선되는 위업을 이루게 된다.
설계자 : 강남리 마을 전철이 너무 느리니까 급행 노선이 필요하잖아요
설계자 2:여수동도 들러야죠. 그래야 구성남에서 승객을 받을 수 있잖아요
- 사실 이 노선이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를 경유한 거리는 극히 적다. 「복정(!)~수서(!!)」
20 9414(동성교통)
성남 버스 9414 문서 참조.
21 9502(우신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502.jpg
출처
서울 버스 502 참조.
22 9503(대원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503.jpg
출처
운행구간 : 군포복합화물터미널 - 당동 - 군포역 - 산본역, 군포시청 - 산본 10~13단지 - 금정역 - 범계역, 동안구청 - 평촌신도시(샛별.공작.한가람마을) - 부림마을 - 인덕원역 - 과천전화국 - 과천도서관 - 선바위역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구 3030번 직행좌석버스가 번호만 바뀐 노선으로, 한 때 가장 최남단으로 내려갔던 광역버스이자, 4권역과 7권역을 제외한 유일한 타 권역 광역버스이기도 했다.
기존 9503번이 441번과 인덕원역~신사역구간이 완전히 겹쳤고, 우면지구 주민들의 시내버스 노선 증설에 관한 요구가 수용되어, 2013년 12월 11일부로 형간전환되었고, 양재대로-양재IC-강남대로(식유촌-교육개발원 구간) 대신 우면지구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542 문서 참조.
23 9504(우신버스)
서울 버스 540 참조.
24 9600(신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600.jpg
출처
운행구간 : 부천(상동) - 송내역 - 반달마을 - 상동시장 - 부천시청 - 덕유마을 - 신흥동 - 내동사거리 - 오정동 - 봉오대로 - 신월5동사무소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연희104고지 - 연세대학교 - 이대부고 → 경복궁역 → 광화문역 → 서울특별시청 → 서소문 → 충정로역 → 이대역 → 신촌역(경의선) → 이대부고 → 이하 역순
구 62번 좌석버스(상동 - 신촌)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9600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그럭저럭 운행했지만, 인가댓수가 적어(13대) 배차간격이 12~30분으로 널뛰었던지라 2007년 7월 및 2008년 9월에 수도권 통합 요금제가 도입된 이후, 소신여객 70번 시리즈에 밀렸다.
결국 2008년 10월 25일에 6711번과 통합되어 607번 간선버스가 되었다. 이후 연혁은 서울 버스 673 문서를 참조.
25 9601(신길운수)
출처
운행구간 : 부천(상동) - 고강동 - 강서구청 - 여의도(MBC) - 마포역 - 충정로역 → 서울시립박물관 → 광화문 → 시청 → 충정로역 → 이하 역순
구 62-1번 좌석버스. 원래 9600번과 같이 성산대교를 건너 마포구청과 연대앞, 이대후문, 금화터널을 거쳐 광화문을 갔으나 2004년 12월 1일부로 위와 같은 경로로 변경되었다.
2005년 여의도로 단축되고 서울 버스 661로 형간전환되었다.
26 9602(김포교통)
위 차량은 간선버스로 전환될 때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다. 출처
서울 버스 672 문서 참고.
27 9702(신성교통)
운행구간 : 탄현/중산지구 - 일산경찰서 - 백석역 - 행신동 - 연대앞 - 서울역
구 2000번이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9702번으로 바뀌었다.
서울 면허로 마지막으로 신설된 노선이지만 이리치이고 저리 치이다가(그래도 당시 서울 광역노선 치고는 제법 태우고 다녔다. 대당 220명대) 신설된 지 1년 6개월 만에 9711번을 분리시켰다. 분리 후 자신은 6대로 운행하다가 차돌리기의 귀재 신성댁답게다른 노선에서 2대를 빼와 8대로 운행.
배차는 30분이여서 고양 버스 1200에 수요가 비교적 밀렸지만, 이 노선의 특장점은 엄청나게 빨랐다. 과속의 귀재 명성도 울고 갈 정도의 속도였다. 중앙로에서 달리는 표정속도가 100km/h(!!!)는 그냥 넘겨버렸을 정도로 빨라서 주민들은 탄현에서 이 버스가 먼저 오면 무조건 이 걸 타고 나갔다. 1200번이 군데 군데 훓고 지나가는 반면, 이 노선은 1200번이 경유하는 탄현/중산지구의 일부만 경유하고, 바로 일산경찰서로 빠져나간다. 탄현에서 서울역까지 아래처럼 노선이 바뀌었을 때도 고작 1시간 밖에 안 걸렸던 전설적인 노선. 안전벨트가 얼마나 중요한 지 알려주는 노선이였다. 일단 백석역에서 타는 손님들은 자리에 앉자마자 안전벨트부터 채웠을 정도니까 더 이상 설명이 필요할까 싶다. 그 8대를 운행하는 기사님들은 9714번으로 옮겨갔다 카더라[12]
2006년 7월 20일에 '금화터널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 시청 → 서울역 → 경찰청 → 서대문역 → 영천시장 → 금화터널' 구간이 '금화터널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 시청 → 염천교 → 서울역 → 시청'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8년 12월 20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차량 8대는 전부 동생격 노선인 9711번에 몰빵했지만 지금은 그 동생격 노선이 더 잘 된다.
28 9704(신성교통)
운행구간 : 다율리 - 교하월드1~2차 - 교하현대A - 지산초교 - 자유로아이파크A - 가구공단 - 월마트 - 대화역 - 주엽역 - 태영프라자 - 마두역 - 흰돌마을 - 행신초교 - 햇빛23단지, 샘터2단지 - 가라뫼 - 연대앞 - 광화문 - 서울시청 - 서울역
개편 전 1000번(대화역 - 서울역)이었는데, 당시 운행업체는 동해운수와 명성운수였다.
2002년 9월에 동해운수가 명성운수의 방해운행 등으로 인해 결국 항복하면서, 노선이 서울 신성교통으로 양도되었다.
그 뒤로 큰 변동없이 잘 다니다가 2004년 대개편 때도 번호만 변경되었다. 서울면허 노선이라 개편 직후 카드로 1400원을 받았지만, 명성운수 1000번이 1200원을 받아 승객들이 1000번으로 몰리자 서울면허 노선으로는 9702번과 함께 예외적으로 1200원을 징수했다.
2004년 9월에 교하신도시로 연장되었다.
교하택지지구 경유가 시계외 30km 제한에서 벗어나자, 2006년 4월 7일에 파주시 면허로 넘어가면서 번호도 2000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기존 면허는 모두 말소되었다.
29 9705(선진운수)
700px
출처
운행구간 : 일산(가좌동) - 덕이동 - 후곡/강촌마을 - 풍동 - 원당 - 역촌동 - 녹번역 - 독립문역 - (← 사직동 ← 적선동 ← 한국통신 ← 시청 ← 남대문/영천시장 → 서대문경찰서) - 서울역 - 남영동 - 삼각지역 - 용산역 - 신용산역
2004년 7월 서울시내버스 대개편 당시 일산에서 서울역을 오가던 158-4번 좌석버스가 9705번 광역버스로 변경되면서 생긴 노선.
고양 버스 1000에게 밀렸던 노선. 원래는 독립문역 → 경찰청 → 서울역 → 명동롯데 → 종각 → 독립문역으로 회차하였으나 2004년 12월 23일부터 용산역으로 연장되었다.
2005년 7월 1일부로 폐선되었다.
30 9706(동해운수)
700px
출처
운행구간 : 일산(대화동) - 국립암센터 - 백석역 - 가라뫼 - 수색역 - 연대앞 - 서울역
구 심야좌석 915-1번이 번호만 바뀐 노선이었다. 이후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서울 버스 700 문서 참조.
31 9708(동해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9708.jpg
출처
운행구간 : 대화동 - 대화역 - 강선마을 - 정발산역 - 마두역 - 금계초교 - 일산병원 - 삼성당마을 - 능곡역 - 소만마을 - 서정마을 - 화전역, 항공대학교 - 은평공영차고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희104고지 → 연대앞 → 금화터널 → 광화문 → 시청 → 숭례문 → 서울역, YTN → 미동초교 → 이대역 → 신촌오거리 → 동교동삼거리 → 연희104고지 → 이하 역순
구 심야좌석 903번이 번호만 바뀐 것으로, 동해운수가 제일 마지막까지 운행한 광역버스 노선이었다.
개편 초기에는 신촌까지만 운행하였지만, 원당 출신인 9713번이 일산으로 입성하게 된 후 보조수단으로써 2005년 6월 20일에 서울역으로 연장되었다.
2010년 3월 말에 정류장 개수를 줄여서[13]광역급행버스로 운행했으며 고급화도 준비했었으나 경기도 광역버스의 고급화[14]와 엄청난 물량 공세때문에 2010년 11월 4일부로 결국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고 고양시 구간은 그대로 둔 채 서울시 구간에서 전 정류소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7 문서 참조.
32 9710(신성교통)
운행구간 : 문산터미널 - 문산역 - 봉암리 - 파주역 - 월롱역 - PX마을 - 봉일천사거리 - 내유동 - 벽제주유소삼거리 - 관산동 - 삼송역 - 구파발역 - 박석고개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울역사박물관 → 광화문 → 서울시청 → 서울역, YTN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 이하 역순
삼송지구 입주에 따른 대책으로 노선이 단축되면서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서울 버스 705 문서 참조. 기존 노선은 파주 버스 9710이 대체 중이다.
33 9711(제일여객)
운행구간 : 교하동차고지 - 운정신도시 - 송산동 - 일산가구단지 - 탄현역 - 성저초교 - 고양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 장성중학교(대진고등학교) - 문촌마을 6,7단지 - 강선초교 - 강선마을 - 일산경찰서 - 일산구청 - 강촌마을8단지 - 강촌동아아파트 - 강촌한신아파트 - 백석고교 - 백송마을 - 백석1동주민센터 - 일산병원 -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 백석동 - 대곡역 - 고양경찰서앞 - 화정역 - 덕양구청 - 화정1동주민센터 - 고양어울림누리 - 성사2동주민센터 - 신원당마을 7단지 - 신원당마을 - 원당역 - 성사동 - 훼릭스 - 가시골 - 원흥동 - 달걀부리마을 - 삼송교 - 동산고교, 용두동입구 - 창릉동주민센터 - 동산동 - 구파발역입구 - 박석고개 - 세명컴퓨터고교 - 연신내역 - 서부터미널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안산초교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 → 경찰청 → 서울역 → 숭례문 → 시청 → KT광화문지사 → 경복궁역 → 사직단 → 독립문역 → 이후 역순
1993년 개통된 907번 심야좌석버스가 그 시초이다. 2001년 2월에 전국 최초로 심야좌석에서 심야도시형으로 형간전환되어 다니다가, 2002년 9월에 신성교통에서 제일여객으로 운수업체가 변경되었다.
2002년 9월에 교하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다율리로 연장한 후 초장거리 버스로 등극되어 다니다가 대개편을 맞게 되었고, 이 때는 번호가 바뀌고 도시형버스에서 광역버스로 바뀌어 운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요가 적어 2004년 11월에 간선버스 706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6 문서 참조.
현재 운행하고 있는 9711번과는 전혀 무관한 노선이다.
34 9711B(신성교통, 제일여객)
서울 버스 9711 문서를 참조.
35 9712(제일여객)
운행구간 : 다율리 - 교하/운정지구 - 야당리 - 송산동 - 이마트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마두역 - 백석역 - 대곡역 - 고양경찰서 - 화정역 - 화정지구 - 원당역 - 가시골 - 원흥삼거리 - 동산동 - 구파발역 - 불광역 - 무악재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숭례문 → 시청 → 광화문 → 적선동 → 독립문 → 이하 역순
교하에서 서울역으로 들어가는 노선이었으며, 706번과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동일했다. 차이점이라면 일산신도시 구간에서 706번과 달리 중앙로 직통(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경유)이었다는 것.
개편 전 907번 도시형버스(현 706번)에서 차출되어 신설된 907-1번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다. 9701번의 전신인 72-2번을 이기기 위해 신설했지만, 적은 인가대수로 인해 참패하였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9712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9711번과 함께 간선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707번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수요가 부족했던 데다 배차간격마저 엉망진창이어서 2006년 12월 1일에 706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애초에 지선버스급 노선으로 광역버스를 굴리는데 왜 탐 800, 1900, 9701, 9600 : ???
36 9713(동해운수)
서울 버스 771 문서를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본래는 폐업한 승원여객에서 운행하던 712번 좌석버스로, 도시형 버스 12번(개편 후 단축되어 1151번이 되었다가 폐선)와 동일 구간을 운행했다. 이후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하게 되었으며 운영권이 대원여객으로 완전히 넘어간 뒤 902번 심야 좌석버스가 되었으며 덕정동으로 연장되었다. 그리고 버스 개편을 반년 앞두고 도시형 버스로 형간전환하며 다녔었다.
- ↑ 수도권 통합요금제 전이었는데 하물며 좌석버스는... 반면 112-3번은 경기도 노선간 환승할인이 돼 9204번보다 사정이 나았다.
- ↑ 이 때는 대원교통과 대원고속이 공동 배차하였으며, 대성리와 청량리를 오가는 노선이었다.
- ↑ 서울역에서 0시 20분, 40분, 1시에 출발.
- ↑ 도농동, 금곡동, 평내동, 호평동, 화도읍 차산지구, 마석 일부
- ↑ 이 네 노선은 서울 간선 운행길이 1위부터 5위까지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 ↑ 지금도 화도읍에서 청량리까지 가는 데만 버스로 1시간 10분대인데 거기서 서울역까지 간다면 얼마나 더 걸릴까? 거리는 단순히 짧겠지만 지나가는 곳은 전국 최고의 헬게이트에 이름 올릴 만한 종로나 을지로다. 거기에 그 도심으로 진입하는 간선도로가 수색로도 아니고 망우로다!!
- ↑ 이 때 당시 네이버 대중교통 정보에는 각 노선별로 페이지가 다 따로 있었고, 댓글을 다는 것도 가능했었다. 당연히 수 많은 남양주시 주민들이 몰려들어서 단축 반대 댓글을 열성적으로 달았지만 현실은...
- ↑ 동대문운동장으로 단축될 예정이었지만, 노선 변경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 기존 익일 1시에서 22시 30분으로 대폭 단축되었다. 그나마, 첫차는 30분 빨라져 4시가 되었다.
- ↑ 당시 금광동 - 복정역 - 양재IC - 경부고속도로 - 도심 루트는 남산 1호터널 관통해서 명동역, 남대문시장(회현역), 숭례문(서울역), 시청앞, 종로1가, 종로2가, 중앙극장 루프.
- ↑ 취소선을 쳤지만, 실제로 그랬다. 지금 9714번이 그랬듯, 중앙차로가 막히면, 가변차로로 바로 빠져서 신나게 달리면서, 다른 노선들(특히 1000번.)은 우습게 털어버렸던 노선이였으니까. 흠좀무.
- ↑ 108개 정류소에서 80개 정류소로 줄였다. 3호선 전철과 겹치는.일산 중앙로 구간과 서울 구간에서의 승객의 수가 미미하거나 적은 정류장을 축소시켰다.
- ↑ 이 점은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동해운수도 고급차량(FX/유니버스)을 출고시켜 경기도 직행좌석버스와 경쟁시키면 그만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