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복

1 개요

590px
순서대로 프란치스코 작은형제회, 베네딕토회, 도미니코회의 수도복

수도자들이 입는 복식. 어쩌면 전통의상의 한 계열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도복은 흰색, 갈색, 회색, 검은색 같은 저채도 계열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수도복 디자인은 수도회에 따라 다르다고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학교마다 교복이 다른 것처럼). 심지어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수수한 색과는 거리가 먼 새빨간 수도복을 입는 수도회도 있고, 아예 수도복 없이 사복을 입는 수도회도 있는 등, 완전히 천차만별이다.

수도 생활을 결심한 사람이 수도회에 입회하여 지원기와 청원기가 지나고 수련기에 입문할 때 착복식을 거행하게 되며, 이는 수도 생활에 정식으로 입문했다는 증거가 된다.

성별을 가리지 않고 수도자들이 공통적으로 입는 스카풀라(Scapular)는 소매 없이 앞뒤로 걸쳐입으며, 방한 등에 용이한 머리와 어깨를 덮는 형태의 쿠쿨라(Cuculla)도 있으나 요즘엔 대부분 카디건조끼 등을 입는다. 망토 형식의 카파(Cappa)는 장엄전례 때 주로 사용한다. 또 수도회마다 각 사도직 현장에서 입는 작업복 등도 따로 있다.

2 수사(修士): 남성 수도자[1]

상하의가 나뉘어 있지 않고 통짜 천으로 되어 있는, 로브 같은 느낌을 주는 디자인의 수도복을 착용한다. 가톨릭 전체를 통틀어 갈색, 검은색의 수도복이 대부분이고 그 외에 색은 거의 없다.

남자 수도복의 가장 대표적인 옷은 투니카(Tunica). 투니카는 큰 천 2장을 맞대 목과 팔이 나올 곳만 남기고 어깨와 옆솔기를 꿰맨 단순한 형태로, 여기에 허리띠를 하고 스카풀라와 두건 등을 착용한다.

3 수녀(修女): 여성 수도자[2]

수녀가 입는 수도복은 남성의 것과 마찬가지로 상하의 구분이 없는 원피스지만, 그것과 달리 가슴께에서부터 목까지 두르는 베일과 수도복으로 구분된다.

수녀라는 직위가 등장한 뒤로 대부분의 기간 동안은 현대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몸매가 전혀 드러날 여지 없이 흡사 포대기를 닮은 펑퍼짐한 수도복밖에 없다. 1950~60년대에 산업화와 맞물려 다른 시대와 달리 서브컬처에서의 수도복과 비교적 유사하게 몸에 어느 정도 들어맞는 수도복들이 주를 이뤘던 때도 있지만, 그 기간은 매우 짧다. 현대에서도 볼 수 있는 수녀용 수도복은 모두 펑퍼짐한 형태다.

서브컬처의 영향으로 수녀들이 입는 수도복만을 수녀복이라고 부르며 남성의 것과 구분하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한국 천주교 계열에서는 그렇게 부르지 않고 남녀 구분 없이 통들어서 수도복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검은색, 진회색, 푸른색, 진한 갈색 등의 수도복을 입은 수녀님들을 볼 수 있다. 여름에는 연한 회색 수도복에 흰 베일, 연한 하늘색 등. 그 외의 색은 보기 힘들다.

정교회의 여성용 수도복은 한국인의 눈으로 볼 때 영락없는 차도르(…)로 보이기 때문에, 한국에 사는 정교회 수녀들은 이 오해를 막기 위해 머리 앞쪽에 하얀 깃을 넣고 다니기도 한다.

4 창작물에서의 수도복

오타쿠 계열 창작물에서는 어째선지 수도자, 특히 수녀들이 수도회나 지역에 따른 구분 없이 몽땅 새파란 수도복을 입고 나오는 경우가 아주 잦아 현실과 굉장한 이질감을 준다.

어째서 하필 이 색으로 정착되었는지는 의견이 좀 분분하지만, 라그나로크 온라인에 등장하는 직업인 여성 프리스트의 수도복이 새파란 것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것이 중론이다. 이런 이유로 원색에 가까운 새파란 색의 수도복을 입고 있는 수녀 캐릭터가 대부분이지만, 이 외에도 짙은 검은색 수도복이 사용되는 경우도 비등비등하게 많다. 그 외 색의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평상복이나 각종 고급스러운 드레스 등의 기타 복장으로는 결코 구현할 수 없는, 수수하면서도 깔끔하고 단정하게 절제된 독특한 느낌을 주는 덕에 중요한 모에 속성 중 하나로 여겨진다. 수도자 항목에도 적혀있는 내용이지만, 1위인 교사에 이어 오타쿠 계열 창작물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직업 2위가 수녀이니만큼, 이 매력에 매혹된 사람들도 무시할 수 없게 많다.

하지만 알아둬야 할 것은, 오타쿠 문화에서는 현실적인 수도복과는 완전히 상반된 특징을 갖는 수도복밖에 없다는 것. 주로 착용자의 몸에 꼭 들어맞아 거의 치파오처럼 보일 정도로 여유가 없는 수도복이나 앞머리는 가리지않은 수도복들이 주로 등장한다.

심지어 명백히 금욕을 철칙으로 할 것이 분명한 수도자에게 입히는 복장인데도 성적인 매력이 어필될 수 밖에 없는 옆트임까지 있는 경우도 매우 흔하게 목격할 수 있다. 이게 드레스냐 수도복이냐.

우연히 현실에서의 수녀와 마주친 적 없는 사람이 오타쿠 계열 창작물에서의 수도복만 보고 "수녀 하악하악"거리는 경우가 있지만, 굳이 시간을 들여 훈계할 필요까지도 없다. 미사 참례 등 어떤 이유로든 실제 성당에 한번 들르게 하면 바로 고쳐지게 된다(…). 가상에서의 애호증은 가상 내에서만 풀자.
  1. 수사에는 서품을 받은 성직수사(수도사제, 수사신부라고도 한다)와 그렇지 않은 평수사가 있다.
  2. 가톨릭정교회에서는 여성의 서품을 허용하지 않으나, 성공회에서는 허용한다. 때문에 성공회 수녀들 중에는 서품을 받은 이들도 있다. 대한 성공회에서도 2007년 최초로 여성 수도사제를 배출했다(성가수녀회 오인숙 가타리나 수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