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만어파 | |||
북게르만어군 | 동스칸디나비아어군 | 덴마크어 · 스웨덴어 | |
서스칸디나비아어군 | 노르웨이어 · 아이슬란드어 · 페로어 · | ||
서게르만어군 | 북해 게르만어군 | 앵글어군 | 스코트어 · 영어 · |
프리지아어군 | 프리지아어 | ||
저지 독일어 | |||
저지 프랑코니아어군 | 네덜란드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 ||
고지 독일어 | 중부 독일어 | 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
상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오스트리아·바이에른 독일어) · 알레만어(스위스 독일어) | ||
이디시어 · | |||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Ingvaeonic languages(북해 게르만어군), Istvaeonic languages(저지 프랑코니아어군), Irminonic languages(고지 독일어)는 타키투스의 저서 게르마니아에 소개된 게르만족 부족 명칭인 Ingaevones, Istvaeones, Irminones 로 부터 각각 유래되었다. |
Scots | |
스코트어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 영국[1] |
원어민 | 약 12만 명 |
어족 |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 북해 게르만어군 앵글프레지아어 앵글어 스코트어 |
문자 | 로마자 |
언어 코드 | |
ISO-639 | - |
주요 사용 지역 | |
스코트어 | Scots, Lallans |
영어 | Scots language |
프랑스어 | Scots |
독일어 | Scots |
스페인어 | Escocés |
러시아어 | Шотландский язык |
아랍어 | لغة أسكتلندية |
중국어 | 低地苏格兰语/低地蘇格蘭語 |
일본어 | スコットランド語 |
라틴어 | Lingua Scotica |
에스페란토 | Skota lingvo |
1 개요
- 스코트어 명칭: Scots (leid) 또는 (Braid) Lallans
- 영어 명칭: Scots (language) 또는 Lowland Scots
- ISO 639-2 / ISO 639-3 코드: sco
스코틀랜드 로울랜드의 고유 언어이며 이들의 이주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북아일랜드에서도 쓰이는 언어이다. 한국어로 옮길 때 스코틀랜드어로 쓰기도 한다. 영어와 친족 관계에 있는 언어이며, 종종 독립된 언어가 아니라 스코틀랜드식 영어의 일종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아일랜드어랑 같은 켈트어계통인 스코틀랜드 게일어와는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스코트어는 영어와 같은 게르만어 계통으로, 계통적으로는 중기 영어에서 분화되었다. 완전히 독립된 언어로 본다면 영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 사실 스코트어를 독립된 언어로 볼 것이냐는 논란이 있는 문제로 영어의 스코틀랜드 방언 정도로 보는 입장도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독립된 언어로 보는 주장도 있다.
사실 스코틀랜드 표준 영어와도 방언연속체 관계에 있어서 명확하게 선을 긋는 것이 애매하다. 스코틀랜드 억양 및 독자표현이 있지만 영어에 가깝고 영어라는 의식이 있으면 스코틀랜드 영어로, 반대로 영어와 가장 거리가 먼 방언에 독자적인 스펠링 및 어법과 독자언어 의식을 지닌 쪽을 스코트어라고 부르는 것에 가깝다. 이 경우, 잉글랜드와의 합병으로 잉글랜드 영어와 그 어법에 영향을 받기 전의 스코트어의 철자법과 문학전통을 존숭하는 경향이 크다. 하지만 이런 구분은 스코트어에 대해 관심이 큰 사람들이나 하는 것이고, 큰 관심이 없는 다수의 일반인들은 양자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잘 모른다고 한다. 본인들이 스코트어를 쓸 줄 알아도 그렇다. 그래서 인구조사로 스코트어 사용자 수를 정확히 집계하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고 한다. 만약에 "님 스코트어 사용함?"이라고 물으면 질문 받은 사람을 그걸 스코틀랜드 표준 영어와 혼동하기 때문. 그래서 스코트어 사용 인구는 대략적으로 추산만 할 수 있다고 한다.
오늘날 스코틀랜드에서 공용어로서의 법적 지위는 없다. 다만 스코틀랜드 정부에서는 전통 언어(traditional language)로 간주하고 있고, 유럽연합에서는 지역소수언어의 지위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대로 스코틀랜드 영어의 일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짙어서 스코틀랜드의 주요 공문서에서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병기하더라도 스코트어는 병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지역적으로는 로우랜드를 중심으로 스코틀랜드 동반부에서 주로 쓰인다. 또 바다 건너 아일랜드 섬의 얼스터 지방(주로 북아일랜드)에도 스코트어 사용자인 스코틀랜드계 이주자들이 많이 건너갔는데, 이들이 쓰는 스코트어는 얼스터 스코트어(Ulster Scots 또는 Ulster-Scots)[2]라고 부른다.
일부 열정적인 얼스터 스코트어 사용자들은 스코트어가 영어와 구분되는 개별 언어이듯이 얼스터 스코트어 역시 영어, 스코트어와 구분되는 개별 언어라고 주장한다고 한다. 북아일랜드로 이주한 뒤 상당히 변화를 겪어서 분화되었다는 게 이들의 주장. 하지만 얼스터 스코트어 연구·보존 단체인 Ulster-Scots Agency(얼스터 스코트어명: Tha Boord o Ulstèr-Scotch)에서조차 얼스터 스코트어는 스코트어의 방언이지 독립된 언어가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관련 기사).
한편 오늘날 스코트어 사용자들은 일상에서 스코트어와 표준 영어(물론 자기 지역의 방언 발음으로)를 섞어 쓰는(코드 스위칭) 경우가 꽤 많다. 이런 점 때문에 스코트어 사용자 스스로가 스코트어를 영어의 방언 정도로 여기는 풍조를 더 고착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2 역사
본래 9세기 통일 스코틀랜드 왕국이 성립된 이래 스코틀랜드의 지배층이 쓰던 언어는 켈트어의 일종인 게일어[3]였다. 아일랜드 북부와 스코틀랜드 서부(아일랜드에서 스코틀랜드 서부로 건너가서 정복함)를 지배한 게일계 달 리아타(Dal Riata) 왕국 이래로 게일어가 퍼져갔던 게 게일어 전파의 시작이었다. 그보다 이전에 본래 현 스코틀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쓰였던 언어는 또 다른 켈트어[4]인 칼레도니아어→픽트어(픽트족의 언어)[5]였으나 픽트어는 점차 소멸되고 게일어로 대체된다.
게일어는 한때 스코틀랜드 거의 대부분에서 쓰였으나 전국에서 다 쓰였던 건 아니다. 남동부는 과거 앵글족의 나라인 노섬브리아 왕국의 일부였던 곳이라 스코틀랜드로 합병된 뒤에도 계속 영어의 북부 방언이 쓰였다. 이것이 스코트어가 되었고 이게 점점 스코틀랜드 내에서 사용 인구를 늘리더니 11세기 즈음부터는 아예 지배층의 언어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현재 스코틀랜드 로울랜드 지역은 스코트어, 하일랜드 지역은 스코틀랜드 게일어가 고유 언어로 취급된다.
이런 복잡한 역사 때문에 '스코트어(스코틀랜드어)'라는 표현의 의미에도 변동이 있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가 주도 언어였던 시절에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스코트어라고 불렀고, 지금 우리가 스코트어라고 부르는 언어는 그냥 '영어'라고 불렀다. 하지만 스코트어가 지배 언어가 되자 반대로 그걸 스코트어라고 부르기 시작했고(물론 이후 잉글랜드와 합병된 이후에는 고유 언어라는 인식보다는 영어의 방언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다시 일반화됐다) 게일어는 '아일랜드어'라고 불렸다. 현대에는 전자는 그대로 스코트어라고 하고, 후자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라는 명칭으로 정리되었다.
한편 스코틀랜드에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부터 잉글랜드 남부(런던 포함)의 영어가 수입되기 시작한다. 원인은 종교 개혁과 인쇄술 때문이었다. 종교 개혁으로 라틴어가 아닌 토착어로 된 성경이 필요해졌는데, 스코틀랜드에는 구텐베르크의 금속 활자를 통한 인쇄 기술의 유입이 잉글랜드보다 늦었다. 그래서 부득이 잉글랜드의 영어 성경을 수입해서 쓰기 시작했다. 스코트어 사용자 입장에서 영어는 비교적 쉽게 익힐 수 있는 언어였으니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 17세기 초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로 즉위해 동군연합이 성립되고, 잉글랜드의 궁정으로 옮긴 제임스가 킹 제임스 성경을 영어로만 발행해 스코틀랜드에까지 배포했다. 이런 식으로 스코틀랜드에 잉글랜드 남부의 영어가 점차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18세기 초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완전히 한 나라로 합병되면서 영어가 표준 언어가 되니 자연스레 스코트어는 천박한 사투리로 취급돼 점차 쇠퇴해 왔다고 할 수 있다.
3 철자와 발음
표준화된 철자법은 몇 종류가 있지만 한 가지로 통일돼서 쓰이는 것 같진 않다. 대체적인 특징으로는 영어에서 -y로 끝나는 단어를 -ie로 쓴다. 사실 이것은 중세영어나, 중세영어에 영향을 끼친 프랑스어 철자에서도 흔히 보이는 건데 스코트어의 철자에 보존돼 있는 것이다. 그런데 과거 스코트어에서는 표준 영어와 동일한 철자를 사용했지만 표준 영어와 발음이 다른 경우 스코트어만의 발음 특색을 나타내기 위해 철자를 바꾼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를 뜻하는 our가 그 예이다. 표준 영어나 스코트어나 our로 적되 표준 영어로 읽을 때는 '아워'(r을 발음하는 방언 사용자라면 '아월') 정도로, 스코트어로 읽을 때는 '우르'나 '우얼'[6] 우덜 정도로 읽는 식이었으나, 이미 스코틀랜드인들한테 표준 영어의 발음에 익숙해졌다. 그래서 현대 스코트어로는 이 단어를 our로 안 적고 oor로 적어서 '아워'나 '아월' 식이 아니라 '우얼' 식으로 읽는다는 걸 명시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지금도 스코트어에서 our로 쓰고 '우얼'로 읽는 식으로 해도 되지만 이미 our를 보면 스코틀랜드 영어나 표준 영어 발음대로 읽으려는 습관에 길들여졌기 때문에 스코트어만의 발음을 강조하기 위해 oor을 더 선호하는 것.
스코트어 표기 시 표준 영어 철자를 감안해서 '생략된' 발음을 어깻점(')[7]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으나[8] 스코트어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그런 표기를 꺼린다. 왜냐면 발음이 '생략됐다'라는 것은 표준 영어의 관점에서나 그런 것이지 스코트어가 성립된 이래로 그 발음이 들어가 있지 않았다. 따라서 표준 영어를 염두에 두고 일일이 어깻점을 달아주는 것은 스코트어의 독자성을 훼손하는 행위로 여겨지기 때문에, 스코트어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이들은 이런 철자를 회피한다. 예를 들면 표준 영어의 all, number에 해당되는 스코트어 어휘는 '오', '누멀'[9]인데, 표준 영어를 염두에 둘 경우 a', num'er 식으로 적는다. 이는 all의 ll이나 number의 b 발음이 '생략됐다는' 의미이며, 이런 식으로 적으면 표준 영어는 알아도 스코트어를 모르는 사람이 쉽게 뜻을 짐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코트어가 독자적인 언어로 성립된 이래 해당 단어에서 저 ll이나 b는 원래부터 없었기 때문에 '생략된' 게 아니다.[10] 그래서 스코트어의 독자적 지위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a', num'er가 아닌 aw, nummer 식으로 적는 것을 선호한다고 한다.
스코트어 화자의 발음법은 스코틀랜드 표준 영어를 발음 할 때와 큰 차이가 없는 듯하다. 애초에 스코틀랜드 표준 영어 자체가 스코트어 화자가 스코트어만의 어휘를 사용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가급적 표준 영어 어휘대로 읽은 것에 가까우니 당연히 양자 간에 발음 체계에 큰 차이가 날 수가 없다.
4 온라인
인터넷에 구축된 스코트어 사전이 몇 종류 있다.
스코트어 위키피디아도 개설되어 있다. 스코트어를 독자적인 언어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스코트어 위키백과의 개설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방언 정도로 보는 사람들은 그냥 "패러디", "장난", "인공어를 만들려고 한다" 등의 혹평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심지어 위키미디어 재단 내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위키백과 포함)의 개설/폐쇄 제안을 하는 페이지에 "이거 장난이나 마찬가지니까 폐쇄해 달라"라는 요구[11]가 올라오기도 했었다. 여기에 어느 유저가 폐쇄 찬성(?) 의견을 쓰면서[12] "프랑스어는 야만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라틴어이니 프랑스어 위키백과도 닫자"(...)며 비꼬는 글을 써놓기도 했다. 이 쯤 되면 안습. 그래도 반대가 압도적이어서 폐쇄되지는 않았다.
5 예문
다음은 국제연합인권선언 1장의 스코트어 번역이다. 출처는 유엔인권고등판무관사무소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PDF 문서이다.
- 스코트어 : Aw human sowels is born free and[13] equal in dignity and richts. They are tochered wi mense and conscience and shuld guide theirsels ane til ither in a speirit o britherheid. (Airticle 1 o the Universal Declaration o Human Richts)
- 영어 원문 : All human beings are born free and equal in dignity and rights. They are endowed with reason and conscience and should act towards one another in a spirit of brotherhood. (Article 1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스코트어로 쓰인 문장을 보고 있으면 영어(현대표준영어)+중세 영어+네덜란드어가 뒤섞인 듯한 느낌이 마구(...)난다.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의 곡 제목도 스코트어이다. 제목을 표준 영어로 바꾸면 "Old Long Since"가 되고, 부드럽게 의역할 경우 "long long ago", "days gone by" 또는 "old times" 정도가 된다고 한다.- ↑ 현재 스코트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한 곳은 없다.
- ↑ 얼스터 스코트어로는 Ulstèr-Scotch, Ullans 등으로도 부른다.
- ↑ 지금 기준으로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라는 별도의 언어로 구분해야겠으나 당시에는 아일랜드어와 방언 정도의 차이밖에 없었다.
- ↑ 픽트어의 계통에 대해 여러 설이 있지만 켈트어가 맞다는 쪽이 학계의 대세이다.
- ↑ 칼레도니아족과 픽트족은 거의 동일한 민족 집단인데 단지 시대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렸을 뿐이라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 ↑ 스코트어 발음 체계에서는 모음 뒤에 있는 r이 '르'처럼 발음되거나(좀 구식 발음 체계) 미국 영어의 r처럼 발음된다(최근의 발음 체계). 이것은 해당 r 발음을 탈락시키는 잉글랜드 남부의 용인발음과 다른 점 중 하나이다.
- ↑ 표준 영어 내에서도 어깻점은 발음이 생략되었음을 나타내는 부호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영어 안에서 I am의 생략형이 I'm인데 여기서 어깻점은 a가 생략됐다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 ↑ 이렇게 스코트어를 적을 때 표준 영어를 고려해서 찍는 어깻점을 apologetic apostrophe("미안해 하는 어깻점")#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스코트어라서 죄송합니다스송합니다 - ↑ 영어 number, sun 등의 u 발음은 원래 '우'였으나 나중에 '어'처럼 변한 것이다. 영어의 일부 방언이나 스코트어에서는 이런 발음 변화가 반영되지 않았다.
- ↑ 물론 스코트어가 분화되기 전에는 해당 발음들이 있었다가 소실된 것이긴 한데, 스코트어 성립 시기를 기준으로 봤을 땐 이미 없었던 것이라서 전통적인 스코트어 철자에서도 어깻점을 달지 않았다.
- ↑ 모바일판으로 보면 글 내용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다. 그래서 일부러 어느 기기에서든 강제로 데스크톱 모드로 열리게 하는 링크를 달았다. 수정하지 말 것.
- ↑ 물론 써놓기로는 폐쇄를 찬성(support, 지지)한다고 되어 있지만 글 내용상 실제 의도는 반대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 ↑ an이나 an'으로 쓰기도 한다. 표준 영어도 그렇지만 and의 d는 거의 발음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