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 시스템

1 개요

인기 스타를 중심으로 한 방식. 여러 의미가 있다.

2 영화

영화의 경우 인기 영화배우를 중심에 두고 작업을 시작해 흥행성에 안정감을 두는 시스템이다.

스타를 만들어가는 작업도 스타 시스템이라 부른다.

3 만화

만화와 같은 매체에서 나오는 방식을 말하기도 한다.

창작자가 자신이 만들어낸 캐릭터를 한 작품에서만 내보내지 않고 자신이 만든 다른 작품에도 등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자면 A라는 캐릭터가 있는데 A는 등장하는 작품에 따라 선역이 되기도 하고, 악역이 되기도 한다. 주연이 되었다가 조연이 될수도 있고, 배경 설정이나 성격도 달라질수 있다. 이렇게 해서 여러번 등장한 A라는 캐릭터는 등장 작품의 후속작에서의 재등장이라면 모를까 그렇지 않는한 각 작품마다 별개의 A라 보면 된다. 이름과 외모는 같아도 알맹이는 달라질수 있다는 의미다.

물론 알맹이까지 똑같은 동일인물을 출연시키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이미 만들어진 설정내에서 캐릭터를 움직여야 하고 시간적인 배경이 동일해야 하기 때문에 이야기를 만드는데 어느 정도 제한을 받게된다는 단점 겸 장점[1]이 있다. 이런 경우 후속편 및 외전 등의 형식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가 유명해서 그의 작품을 보다보면 익숙한 얼굴을 여럿 볼수 있다. 철완 아톰의 주인공인 아톰을 데즈카 오사무의 다른 작품에서 보게 되는 경우, 그것은 스타 시스템에 의해 등장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자주 등장하는 데즈카의 캐릭터로는 '수염아저씨'반 슌사쿠, 햄에그, 스컹크, 록 홈[2], 아세틸렌 램프, 효탄츠키(누더기 표주박)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작가는 대다수는 출판만화 시대의 작가들이 많다.
고우영, 고행석, 김성모, 최지룡, 김진태, 故 박봉성, 이현세, 주호민, 이미라, 이진주, 故 이보배, 허영만이 자주 사용하거나 사용했다.[3] 다만 김진태와 주호민은 위의 다른 작가들과 비교하면 스타 시스템을 통한 대표 캐릭터의 이미지는 약한 편이다.[4] 이말년씨리즈의 경우엔 스타 시스템이라고 에필로그에서 설정을 해버렸다. 심지어 막장만화가 최지룡도 몇몇 만화에서는 스타 시스템을 보여준다. 또한 야설록, 황성, 사마달 등의 대본소 무협만화들도 항상 주인공 혹은 주요 캐릭터들의 이름과 외모가 같아 스타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디즈니루니툰, 머펫 같은 네임드 캐릭터 그룹들 역시 스타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의 경우 진짜 '배우'로서 스핀오프나 패러디 작품에 출연한다는 설정이 들어가서 메타픽션적인 코미디를 연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개그 요소가 공식적으로 폭발한 경우가 하우스 오브 마우스루니 툰 : 백 인 액션. 고우영 화백 역시 인물 소개 페이지에서 등장인물들을 마치 배우와 같이 소개하곤 한다.

일본의 만화창작집단 CLAMP의 몇 작품도 훌륭한 스타 시스템의 예시. CLAMP학원 시리즈,도쿄 바빌론, X(CLAMP)엔젤릭 레이어, 쵸비츠는 각각 세계관이 같은 작품이지만, XXX홀릭츠바사 크로니클 이후에 그린 작품에서 간간히 자신들의 타 작품의 캐릭터들을 출연시키는 일이 있는 것을 보면 거의 확정.

랑또 작가의 웹툰 SM 플레이어는 이 스타 시스템을 개그로 꾸려낸 작품. 만화 속 만화로 나오는 오프 더 레코드에 따르면 작가는 설정 자체가 핵심인 만화를 그리고자 했고, 그를 위해 여러 만화를 그려 내는 대신 스타 시스템을 이용해서 캐릭터는 같지만 내용은 전혀 다른 여러 단편 만화들을 엮어 냈다.

4 야구

한국프로야구에서는 LG 트윈스의 前 감독 이광환이 1994년 처음 선보인 선발,중간계투,마무리의 완벽한 분업화와 5인 선발 로테이션을 확실하게 맞춘 시스템을 뜻하는 말이다. 이광환은 이런 스타 시스템의 확립으로 LG 트윈스의 두번째 우승을 이끌어 내었다.

이때만해도 선발 투수가 중간 계투 알바를 뛰고, 마무리 투수가 3이닝은 기본이요 선발로도 나오던 당시 프로야구에 5명의 선발 투수를 고정해 선발 투수에게 최소 4인 휴식을 보장하고 그날 경기를 완전히 선발투수에게 책임지게 하는 선발 로테이션과, 승리조/추격조/원 포인트 릴리프/롱 릴리프/1이닝 마무리 등 투수의 분업화로 체계적인 중후반 경기관리를 하던 야구의 도입은 지금 보면 상식에 가깝지만 당시에는 굉장히 획기적이었다.그리고 2016년에 이러한 상식을 일본군스러운 정신력 드립으로 내다버리는 감독도 있다
  1. 다르게 생각하면 이미 만들어놓은걸 쓰면 되니까 편하다
  2. 몇 작품에선 마쿠베 로쿠로라는 이름으로 등장.
  3. 간혹 이름만 이어받은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나올때도 있다,이상무의 '천둥 벌거숭이'라는 작품은 독고탁이 주인공이었지만 모습이 확달라졌는데 이점을 아예 살려서 지금까지 보아왔던 독고탁의 얼굴이 아니다 라고 광고하기까지 했다.이번 작품을 위해 성형수술을 했습니다
  4. 고행석의 구영탄, 김성모의 강건마, 박봉성의 최강타, 이현세의 오혜성에 비해서 주호민의 딱히 인상깊게 남는 대표 캐릭터가 없다. 아무래도 각 작가의 대표 캐릭터들의 출연작(?)과 비교하면 강렬한 개성을 드러내는 캐릭터가 없기 때문이 아닌가싶다. 그래도 진기한은 다른 주호민의 스타 시스템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보다는 비중이 큰 편이라서, 추후 주호민 작가의 대표 캐릭터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있다. 의외로 본인 오너캐가 대표 캐릭터가 될 확률도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