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니 툰

(루니툰에서 넘어옴)

#
고전 단편들의 대략적인 등장인물들.

Looney_Tunes_Vol_1_50.jpg
워너브라더스의 자회사인 DC 코믹스에서 발행되는 코믹스판 50회 표지. 인지도 있는 메이저 캐릭터들을 담고 있다.

#
2011년 작 시트콤 애니메이션 The Looney Tunes Show판 디자인.

1 소개

Looney Tunes

1930년부터 워너브라더스에서 제작된 단편 애니메이션들의 총칭. 흔히 TV를 통해 접하는 루니 툰은 1930년 4월 19일에서 1969년 8월 11일까지 발표되었던 극장용 단편들이다. 물론 현재도 제작되고 있는데, 2011년부터 2년간 전파를 탄 The Looney Tunes Show(한국 카툰 네트워크에서는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이, 2015년 10월 5일부턴 본토에서 "Wabbit"[1]이 방영되고 있다.

위 이미지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주역이지만 초창기에는 특정 캐릭터가 출연하는 경우는 적었고, 루니 툰의 제작이 거의 마무리되던 시절엔 다른 주인공들이 등장하기도 한다.

세계의 애니메이션 역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리즈물 중 하나다. 그저 쫓고 쫓기는 내용이 주가 아니라 작품성을 겸비한 작품들도 상당히 많다.[2] 영어 위키백과에선 1942~1964년까지 미국의 영화관들에서 다른 영화사의 작품들을 제치고 가장 인기 있었던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소개하고 있다.[3]

IGN이 선정한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3위(1위는 《심슨 가족》, 2위는 배트맨 TAS)이고 미국 국립영화등재목록(National Film Registry)에 4편이 등재되어 있다.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에 24번 노미네이트되었고 5번 수상했다.

루니툰 본편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문화유산임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아 캐릭터로만 널리 알려져있다. 따조가 처음 발매되었을 때 이 루니툰의 캐릭터를 사용했는데, 그래서인지 얼굴은 알지만 정작 어디 나오는 어떤 캐릭터인지는 모르는 경우가 많다. 얼굴은 아는데 이름은 모르는 동물류 甲

팬덤에서 가끔 디즈니와 대립하는 구도를 이룬다. 실제로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에서 콜라보레이션으로 나온적도 있고, 이 둘을 비교해보면 유명한 캐릭터들이 있다는 점에선 동일하지만 루니 툰은 디즈니 단편과 반대로 성인 취향의 유머들이 묘사된다는 점에서 다르다.[4]

2 구성과 의의

단편위주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에피소드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캐릭터별 스토리 구조는 거의 고착되어 있으며 그 외관이 조금씩 다른 형태이다. 그래도 실험적인 시도라든지[5] 패러디나 사회풍자적인 작품들도 다수 있다. (괜히 작품성이 인정받는 시리즈가 아니란 말씀.) [6]

마이클 조던과 같이 공연한 1996년작 스페이스 잼은 그럭저럭 흥행에 성공하였고 비평가들은 열심히 비평하였다. NC리뷰 참조 #] (제작비 5500만 달러에 북미 수익은 9천만 달러,해외 1억 5천만 달러 정도 벌었다.) 그러나 2003년작 루니 툰 : 백 인 액션은 상업적으로 망했다.(제작비 8천만 달러에 북미 2천만, 해외 4700만 달러 전세계 수익 다 합쳐도 제작비도 못 뽑았다.) 평가는... 항목 참조.

많은 캐릭터들이 있지만 한편당 출연하는 캐릭은 주 캐릭에 따라 거의 정해져 있으며 주연급들이 같이 등장하는경우는 장편이나 극장판, 또는 특별판들을 빼면 그다지 많지 않다. 마찬가지로 상성관계가 비교적 명확한 조연들도 다른 주연에 자주 등장하지는 않는다.

악역 캐릭터들은 주연이라 하더라도 전원 사망전대. 사망전대기는 하지만 코요테를 제외하고는 죽지 않는 경우도 있긴 하다. 무엇보다도 루니 툰은 디즈니 카툰과 대비된 코미디를 선보여 미국 애니메이션의 코미디 발전을 이끌어낸 중시조적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작품이란 점이다.

3 후속편

밑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들 외에도 루니툰 캐릭터들이 아기버전으로 등장하는 TV시리즈 '베이비 루니툰'도 제작되어 방송되었다.(단, 그래니는 그대로 나오고 포키 대신 '피튜니아'라는 돼지가 등장한다.)

2011년 다시 새단장을 하고 새로운 에피소드 방영을 시작했다. 각각의 캐릭터의 성격은 그대로인 편이지만 전 시리즈와의 간격이 좀 긴 편이라 과거의 슬랩스틱 위주의 스타일을 버리고 현대 스타일로 바꿔졌다. 주인공도 이제는 농락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그래픽과 화질의 퀄리티가 정말 '급'상승 했다. 뭐.. 뭐.. 뭐야?

후속편들에 관해서는 아래 애니메이션 시리즈 목록 참조.

4 역사

4.1 초창기

1929년 당시 월트 디즈니가 만들어낸 미키 마우스가 인기를 얻으면서 워너 브라더스는 디즈니와 경쟁할 음악 홍보용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개발에 관심을 가진다.[7] 영화 관계자 리언 슐레진저(leon schlesinger)는 제작 준비를 위해 워너 브라더스와 새 카툰 제작 계약을 체결했으며, 디즈니 단편 카툰 제작에 참여한 루돌프 아이징(rudolf ising) & 휴 하먼(hugh harman)과 접촉하였다. 같은해 4분 분량의 파일럿 에피소드를 제작했고, 다음해인 1930년 4월 19일에 공식 첫 에피소드를 극장용으로 발표했다.

이 단편들이 성과를 거두면서 제작진은 자연스레 루니툰 본편과 똑같이 음악을 배경으로 한 차기작 애니메이션을 기획해 1931년부터 상영을 진행한다.[8]초대 감독이었던 하먼과 아이징은 디즈니 스튜디오에서 일한 경력이 있었는지라 그들이 창작한 보스코(bosko), 허니(honey), 피기(piggy), 폭시(foxy) 등은 초창기 디즈니 캐릭터와 생김새가 무척 비슷하다.[9] 메리 멜로디즈의 첫 편인 lady, play your mandolin!이 공개된 후 이 카툰이 무척 반응이 좋았는지 1932년아카데미상 단편 영화 부문 후보로 오르기도 했었다. 극초기 루니 툰과 메리 멜로디즈는 캐릭터가 따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이었던 상황 때문인지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제목들은 실제로 발매된 대중음악의 제목에서 따왔다.

1933년 중기까진 제작 스튜디오는 하먼-아이징 프로덕션으로, 휴 하먼 & 루돌프 아이징은 메인 감독을, 프랑크 마설레즈는 음악 감독을 맡았다. 지금의 루니 툰 시리즈에서 볼수 있는 몇몇 요소들은 이미 이 시기에 만들어졌으며,[10] 디즈니 스튜디오에서 이직한 프리츠 프렐랑(friz freleng)과 신인 애니메이터이던 로버트 매킴슨(robert mackimson), 밥 크렘펫(bob clampett) 등은 애니메이션 원화를 그리고 있었다. 하먼 & 아이징 콤비는 여러 문제를 두고 프로듀서인 리언 슐레진저와 말다툼을 벌인 끝에 1933년에 자진 하차하였고, 창작한 캐릭터들의 모든 판권을 회수해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작진은 버디 & 쿠키 콤비를 출연시켰고 제작 스튜디오는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으로 전환되었으며, 음악 감독도 노먼 스펜서(norman spencer), 버나드 브라운(bernard brown)으로 교체되었다. 이때 프리츠 프렐랑은 감독으로 승진하였고, 잭 킹(jack king)은 이 시기 워너 브라더스에서 활동하다 1936년 디즈니 스튜디오로 이적해 도널드 덕 단편들의 감독을 맡았다. 벤 하더웨이(ben hardaway)는 이 무렵 캐릭터 디자인과 메인 스토리 작가진 멤버 중 1명으로 활동하다 1940년대 초 월터 란츠 스튜디오로 이적해 딱따구리 애니메이션의 스토리 작가를 맡게 된다.

제작진들은 1934년 honeymoon hotel을 two-strip Cinecolor(시네컬러) 기법 적용을 시작으로 메리 멜로디즈를 전면 컬러화시킨다.[11] 엔딩에 나오던 대사인 "so long, folks!"를 루니툰 본편과 똑같이 "that`s all folks!"로 바꾸었으며, 오프닝 & 클로징 화면도 대폭 변환시켰다. 이듬해인 1935년 초부터 프리츠 프렐랑이 창작한 포키 피그, 빈즈 더 캣 등이 새로 출연하면서 활약하였으나, 이중 포키를 제외하면 2년도 못가 퇴출되어 등장하지 않았다. 같은해 월터 란츠 스튜디오에서 이직한 텍스 에이버리(tex avery)는 gold diggers of `49에서 포키와 빈즈를 성인으로 등장시키고, 당시의 대부분 루니 툰 단편들과는 다른 성인용 유머를 연출하였으며, 이후 6년여 동안 후발 감독들인 프랭크 태쉴린(frank tashlin), 밥 크램펫, 척 존스(chuck jones) 등과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에서 일하면서 활동한 속칭 '터미트 테라스'(termite terrace)는 현재 루니 툰의 코미디 색채를 만들어내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4.2 발전기

Merrie_Melodies_title_card.jpg
1940년대 메리 멜로디즈 단편 타이틀 카드.

1936년엔 디즈니 카툰과 어브 아이웍스 카툰의 음악을 작곡했던 칼 스텔링(carl w. stalling)이 합류하며, 이듬해엔 멜 블랭크(mel blanc)가 합류해 수많은 루니툰 캐릭터의 성우를 맡기 시작한다.[12] 4년 뒤인 1940년, 텍스 에이버리는 몇몇 에피소드에서 출연해 민폐끼를 치고 다니던 해피 래빗을 a wild hare에서 벅스 버니로 재디자인시켜 지금과 대부분 닮은 모습으로 전환시켰다. 더불어 1936년, 1937년, 1938년엔 프랭크 태쉴린, 밥 크렘펫, 척 존스가 각각 메인 감독으로 데뷔하게 된다.

프리츠 프렐랑은 1937년에 잠시 mgm 카툰 스튜디오로 이직하였으나, 1939년 말 워너 브라더스로 복귀해 말기인 1962년(데파티-프렐랑 설립 이전)까지 수많은 루니 툰 단편의 감독을 맡았다. 이어 1943년을 기점으로 루니툰 본편이 전면 컬러화되었고,[13] 리언 슐레진저는 이듬해에 자신이 소유하던 스튜디오를 워너브라더스에게 판매한 후 은퇴하였다. 이 영향으로 인해 제작 스튜디오가 워너브라더스 카툰즈로 변경, 제2차 세계대전 중엔 이등병 스나푸(private snafu) 등의 병영 코미디물 선전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해외의 미국 군대에 필름을 배송한 적도 있었다

1945년과 이듬해(1946년)에 몇년간 루니 툰 단편의 제작 & 감독에 임했던 프랭크 태쉴린, 밥 크렘펫이 각각 워너브라더스를 떠나면서, 1950년대까지 사실상 루니툰 메인 감독진은 막 감독으로 데뷔한 로버트 매킴슨과 이미 몇년 전 감독직에 오른 척 존스, 1920년대 후기부터 디즈니 스튜디오에 일하면서 애니메이션 경력을 쌓은 프리츠 프렐랑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후 미국에서 텔레비전 보급이 대중화된 1950년대 중기, 워너 브라더스는 길드 필름과 어스시언트 아티스트 프로덕션즈에 루니 툰 단편에 대한 TV 방송권을 판매하여 루니 툰 단편의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

4.3 1960년대 ~

1960년 ABC에서 벅스 버니가 나온 루니 툰 단편들을 편집한 최초의 공식 TV 프로 the bugs bunny show가 토요일 아침 시간대에 방영되었으며, 1963년 워너 브라더스에서 내부 카툰 스튜디오를 폐쇄한 영향으로 같은해 프리츠 프렐랑이 동업자랑 설립한 DePatie-Freleng 등의 외주 스튜디오에서 루니 툰 단편들의 제작을 맡으면서 오프닝 & 클로징 화면이 전면적으로 바뀌었다. 기존 감독들은 대부분 하차하였으며, 척 존스는 워너 브라더스에서 전속 계약 위반으로 해고당한 후 시브 12 타워 프로덕션을 설립해 톰과 제리 단편의 제작을 맡기도 했다. 로버트 매킴슨은 데파티-프렐랑으로 이직했다가 1967년부터 2년간 워너 브라더스에서 다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활성화한 영향으로 설립된 워너 브라더스-세븐 아츠에서 활동하면서 말년까지 루니 툰 단편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션 감독 중 1명이 되었다.

1969년 이후로 연속적인 극장용 단편 시리즈의 발표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후 1970년대에 일본(マンガ大作戦 - 만화대작전), 한국(동양방송)에서 방송되는 등 해외 방영도 진행되기 시작했으며, 1968년엔 인종적 스테레오 타입 유머가 두드러진 11편이 방송 금지 단편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제작했던 단편들을 redrawn 버전으로 제작해 방송하기도 했으며, 1988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니켈로디언에서 재방영되기도 했었다. 1999년부턴 카툰 네트워크에서 독점 방영권 권리를 얻어 비정기적으로 재방영을 진행 중이다. 또한 부메랑 채널에서도 고전 단편들과 신규 TV 시리즈의 재방영 & 본방영이 진행되고 있다. 단독 극장 장편도 여러 편이 발표되었으며, 1990년대부턴 메인 캐릭터들을 바탕으로 구분된 신규 TV 시리즈들의 제작과 고전 작품들을 수록한 DVD, 블루레이가 판매되고 있다.

2016년 8월 16일자로 부메랑 한국 채널에서 매주 월~금 자정 시간대에 방송하기 시작했다. 방송분을 살펴볼 때 카툰네트워크 방송 분량을 재방송시키는 듯하며, 메리 멜로디즈는 1935년 제작된 단편[14] 방송이 확인되었고 루니 툰 본편은 1937년 제작된 단편[15] 방송이 확인되었다. 보스코가 나오는 극초창기 루니 툰, 메리 멜로디즈 단편들이나 인종적 스테레오 타입 유머 & 개그 연출이 심한 일부 단편들, 2차 대전 관련 단편들을 제외하면 전부 방영하(거나 하려)는 중이며 총기 관련 장면들도 대부분 무삭제로 방송되고 있다. 허나 작성 날짜(10.30) 기준 현황으론 20화까지 방송되었으며 이후로도 1~20회 방송분을 재방송하고 있다.

5 비판

루니 툰(& 메리 멜로디즈) 단편들 중 몇몇 단편들은 세부적으로 포함된 여러 문제점들로 인하여 이후 상당한 논란에 시달렸음은 물론이고 적잖은 비판을 받았다.[16] 고전 작품 팬들에게는 사실 대놓고 말하지 못하는 매우 껄끄러운 부분이지만, 한편으로 이 쪽을 더욱 파고들고 연구하는 팬들도 있다. TV 방영했을 때 짤린 부분을 전부 찾아 정리한다든가...

5.1 폭력성

예를 들면 수탉 포그혼 레그혼이 나오는 에피소드에서 반야그 도그의 엉덩이를 찰지게 방망이로 때리는 에피소드가 폭력성 논란이 된적이 있었으며, 작중 벅스 버니 등의 메인 캐릭들이 상대방에게 슬랩스틱 개그를 치고 다니는데 이 개그 씬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무척 폭력적일 뿐만 아니라 최소 사람이 중상을 입거나 사망에 이르는 비윤리적인 장면들이 무척 많이 나온다. 물론 작중에서 노골적인 유혈 씬이나 고어 씬들은 일체 연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부류의 행동은 과장되나 결과는 순화되는 폭력성을 만화 폭력(cartoon violence)라는 용어로 부른다.

위 경우뿐만 아니라 종종 총기를 캐릭터들이 난사해대 사람들을 공격하거나 위협하는 씬들 또한 심심치 않게 나오며, 몇몇 에피소드에선 권총으로 자살하는 장면까지 나온다. 물론 이 경우는 1960년대를 지나며 미국 비성인 애니메이션에서 이러한 수위의 폭력적인 씬들이 나오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이후부터 제작된 수많은 미국 비성인 애니메이션에선 다른 물건으로 대체되거나 나오더라도 비중이 공기로 전락해버릴 만큼 중요한 요소로 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엘머와 샘의 캐릭터성은 안습이 되었다.

또한 루니 툰 단편 내에서 저연령층 시청자들이 따라하기 부적절한 몇몇 욕설[17]들이 나온 장면들이 있는데 screw, darn, shuck이 쓰였었다.

5.2 선정성

작중에 묘사되는 여성 캐릭터들을 보면 옷이나 몸매가 굉장히 선정적으로 그려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에피소드에 슬롯머신을 돌리거나 카드 베팅 등의 몇몇 도박 행위가 묘사된다든지 주역 캐릭터들이 시가 담배를 피우는 모습과 술을 마시며 꽐라가 되버리는 장면도 곳곳에서 연출된다.

위 사례들은 193~50년대 당시의 많은 미국 극장용 단편 애니메이션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으로, 단순히 여캐 뿐만 아니라 섹드립에 가까운 개그들이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베티 붑이라든지 비교적 최근인 제시카 래빗 같은 예를 보면 알겠지만 본디 이러한 애니메이션들은 완전한 아동 대상 작품들이 아니었다.

실제 많은 루니 툰이나 메리 멜로디즈 단편은 지명도 있는 캐릭터를 쓴 슬랩스틱외에도, 당시 할리우드 연예인들이나 사교계, 재즈 등 대중 음악, 서적, 클래식 음악, 영화 등을 다루는 뮤직비디오식 단편들이 굉장히 많다. 이후 미국에서 애니메이션 = 아동물이란 인식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등의 전연령층 & 저연령층 대상 작품 제작으로 인해 형성되었었던 것이지 1930~50년대 당시 애니메이션 단편은 주로 극장에 영화를 보러 오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끼워서 상영되었다. 디즈니조차 아동 친화적인 작품이 몇 안되었던 시기이니 어쩔 수 없다고 할 수 있겠다.

5.3 인종차별

이러한 문제로 미국에서 논쟁을 벌일때 디즈니 작품, 톰과 제리와 더불어 악명 높은 작품으로 꼽힌다. 실제로 흑인아메리카 원주민, 아시아인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 유머가 연출되는 에피소드가 곳곳에서 나온다.

특히 벅스버니 에피소드 중에는 벅스버니가 서부 개척시대의 백인 총잡이가 되어 인디언들과 전쟁을 하는 에피소드가 하나 있었는데, 인디언들이 백인들의 총에 맞아죽을 때마다, 그 유명한 '한 꼬마, 두 꼬마, 세 꼬마 인디언(One little Two little Three little Indians)' 을 벅스버니가 부르는 장면이 나와 미국 내의 모든 인디언계 미국인들을 격분케 하기도 했다. 그도 모자라 독일인을 그릴 때에, 말도 안 되는 엉터리 독일어와 영어를 섞으면서 말하고, 또한 모든 독일인들은 군복을 입고, 거위걸음을 걸으면서 움직인다고 하고, 또한 야수같이 잔인하게 그리기도 했으며, 중국인들은 째진 눈에 가느다란 콧수염을 가진 뚱뚱한 게으름뱅이로 그려서 중국계 미국인들을 격분케 하기도 했다.

그 뿐만이 아니다. 일본인들을 그릴 때에는 남녀 상관없이 째진 눈에, 너무 과할 정도로 튀어나온 덧니, 그리고 키가 굉장히 작고, 모두 안경을 끼고 있다고 그렸다. 그리고 "조또 혼또니 오또오또 빠레 토죠 토죠 히로 히또 힘미야 소데스" 이런 식으로 엉터리 일본어를 구사한다고 그렸는데, 심지어 저 중에서 '토죠' 라는 단어와 '히로 히또' 라는 단어는 일본인에 대한 미국식 멸칭이기까지 하다! 그도 모자랐는지 아랍계 사람을 그릴 때에는 낙타를 타고 다니며, 처진 눈에, 머리도 나쁘고, 게으르다고 그린 적도 있는데, 이건 이슬람계 미국인들을 매우 격분케 했다.

처음에 휴 하먼과 루돌프 아이징이 디자인해서 1933년까지 출연한 보스코(bosko)도 탄생 과정이 좀 씁쓸한 점들이 있다. 하지만 이들이 하차한 이후 새 캐릭터로 바뀌기 직전까지 미키 마우스와 경쟁하던 캐릭터 중 하나이기도 했다.

2000년대부터 발매된 루니 툰 DVD 세트에서는 수록 영상이 당시 미국 사회에 만연했던 인종과 국가에 대한 편견을 담고 있으며 현재의 워너 브라더스의 의견과는 일치하지 않음을 경고하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요소를 영상에서 삭제하는 것은 이러한 편견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척을 하는 것이 된다는 점도 언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까닭에 고전 작품들을 모아서 수록한 골든 컬렉션 DVD[18]의 경우 대부분 등급이 높게 설정되어서 출시되었다.[19] 상기된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도저히 요즘 애들 보여줄 만한 것이 못 된다.

5.3.1 목록

금지된 11편의 단편과 2001년 카툰 네트워크의 June Bugs 이벤트에서 방송되지 않은 단편들[20]이 섞여있으며, 여기서 2차 대전 당시 제작된 단편에 나온 (인종주의적 관념의) 독일인, 일본인 목소리는 멜 블랑이 연기했다.

  • Hittin' the Trail for Hallelujah Land - 1931년 공개, 감독은 루돌프 아이징
  • Sunday Go to Meetin' Time - 1936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 Clean Pastures - 1937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 Uncle Tom's Bungalow - 1937년 공개, 감독은 텍스 에이버리
  • Jungle Jitters - 1938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 The Isle of Pingo Pongo - 1938년 공개, 감독은 텍스 에이버리
  • All This and Rabbit Stew - 1941년 공개, 감독은 텍스 에이버리
  • Any bonds today? - 1942년 공개, 감독은 밥 크렘펫
  • Coal Black and de Sebben Dwarfs - 1943년 공개, 감독은 밥 크렘펫
  • Tin Pan Alley Cats - 1943년 공개, 감독은 밥 크렘펫
  • Tokio jokio - 1943년 공개, 감독은 노먼 멕케이브
  • Angel Puss - 1944년 공개, 감독은 척 존스
  • Nips the Nips - 1944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 Goldilocks and the Jivin' Bears - 1944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 herr meets hare - 1945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 Which is Witch? - 1949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 china jones - 1959년 공개, 감독은 로버트 맥킴슨
  • horse hare - 1960년 공개, 감독은 프리츠 프렐랑

6 등장 캐릭터

7 관련 영상

위 영상은 루니 툰 본편의, 아래 영상은 메리 멜로디즈의 역대 오프닝과 클로징을 편집해 모아둔 영상이다.

위 영상은 메리 멜로디즈 테마의, 아래 영상은 루니 툰 본편 테마의 변천사가 담긴 영상이다.

위 영상은 2012년에 제작된 3D 단편인 daffy`s rhapsody. 여기서 나오는 대피 덕의 음성은 1950년 공개한 음반 daffy duck`s rhapsody에서 추출한 것이다.

8 관련 작품

8.1 애니메이션 시리즈

8.2 영화[22]

8.3 게임

  • 로드 런너(아케이드)
  • 벅스 버니 크레이지 캐슬(NES,GB/GBC)
  • 벅스 버니 버스데이 블로우아웃/해피 버스데이 벅스
  • 루니 툰(게임 보이)/루니 툰 - 벅스 버니와 친구들
  • 벅스 버니 래빗 램페이지(SNES)
  • 벅스 버니 더블 트러블(메가드라이브)
  • 스페이스 잼(플레이스테이션,세가 새턴)

9 트리비아

  • '루니'란 의미는 (구글 번역) 미치광이라는 뜻이다. 다만 극초기엔 루니툰 본편과 메리 멜로디즈 단편에서 미치광이 짓을 대놓고 저지른 캐릭터들은 등장하지 않았고, 오프닝과 클로징, 내용도 대중들이 떠올리는 모습과는 무척 달랐으며 극초기 월트 디즈니 애니를 연상케 하는 씬들이 많았다.[23] 허나 하먼 & 아이징 콤비의 퇴사 이후로 새 애니메이터들이 투입되고 캐릭터들도 교체되면서 1930년대 후기부터 현재의 루니 툰스런 분위기가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한다.
  • 제목인 루니 툰의 단어에서 보이듯이 단편들의 제목은 어떠한 성격이나 동물의 별칭을 활용한 경우가 꽤 있었다. 예를 들면 Hare는 영어권에서 토끼를 의미하는 별명이기도 하고, Daffy duck의 대피는 (구글 번역으론) 어리석단 의미가 존재한다. 사실 이런 작명은 디즈니가 도널드 덕으로 몇년 정도 앞서 지어냈다!
  • 오프닝과 클로징의 연주 음악은 프랭크 마설레즈 ~ 노먼 스펜서 & 버나드 브라운 ~ 칼 스텔링 ~ 밀트 프랭클린 ~ 빌 라바로 음악감독이 바뀌면서 여러 차례나 교체되었다. 가장 유명한 버전은 칼 스텔링 버전.
  • 루니툰 본편과 메리 멜로디즈의 오프닝, 클로징 음악은 상영 중 여러 번 바뀌었다. 메리 멜로디즈는 'get happy'(31년부터 33년까지), 'i think you`re ducky'(33년부터 36년까지)[24], 'merrily we roll along'(36년부터 64년까지), 'the merry go round broke down'(64년부터 69년까지) 순서대로, 루니 툰 본편은 'a hot time in the old town tonight'(30년부터 33년까지), 'whistle and blow your blues away'(33년부터 36~7년까지), 'the merry go round broke down'(37년부터 69년까지)[25] 순서대로 재생되었다. 메리 멜로디즈 테마는 찰리 토바이어스와 머리 멘처, 에디 캔터가 1935년 만든 Merrily We Roll Along이란 곡에서 비롯하여 만들어졌다.
  • 디즈니 작품에 밀려서 모를 법한 사람들도(한국 기준) 많지만 제작 회사인 워너 브라더스도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루니툰 캐릭터들을 활용해 선전용 애니메이션들을 발표하면서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아지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가끔씩 드물긴 했지만 엔딩에서 'the end'가 나온 에피소드도 있었고, 블루리본을 오프닝 타이틀에 삽입해 재상영한 에피소드들은 빨간 타이틀에 제목을 흰색 글자로 표기해서 상영했고 원래의 타이틀 카드 중 일부는 훗날 복원되기도 했다.
  • 약 40년에 이르는 긴 세월로 상영되어서 중간에 제작 스튜디오가 몇 차례 바뀌게 된 작품으로, 1930~33년에는 하먼 - 아이징 프로덕션이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으나 이후 1944년까지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으로, 1964년까지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로 스튜디오가 사실상 고정되었으며 1964~67년에는 디패티 - 프렐렁 엔터프라이즈, 최후의 2년 동안은 워너 브라더스 - 세븐 아츠에서 제작을 담당하였다.
  • 워너브라더스는 1947년 톰과 제리에서 상영된 the cat concerto 편이 같은 해에 루니 툰에서 상영한 rhapsody rabbit의 내용과 결말과 유사하다고 그해 MGM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표절했다고 비난을 벌인 바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톰과 제리의 판권을 1986년 터너 엔터테인먼트가 가지게 되면서 이후인 1996년부턴 루니 툰과 동일한 워너 브라더스에서 같이 신작 애니메이션들을 발표하고 있다.
  • 참고로 루니 툰 단편 타이틀 카드에 쓰여져 있는 reg. us. pat. off는 서비스 마크 표시이며, 오른쪽 밑이나 왼쪽 밑에 표기되어 있는 MPPDA 문자는 미국영화협회(MPAA)의 이전 표기로써, 영화협회 설립 당시 워너브라더스가 구성 영화사로 참여한 것이 직간접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루니 툰은 1994년부터 DC 코믹스에서 자체적으로 코믹스판을 연재해 발매하고 있으며, 2000년도엔 슈퍼맨과 콜라보레이션으로 코믹스를 연재하기도 했다.(superman & bugs bunny)[27]

많은 위키러들의 차후 수정을 바라는 의미로 # 위키백과 주소를 남깁니다.

10 패러디

이 문단은 2차 창작이 아닌 루니 툰에서 자체적으로 삽입하거나 패러디한 연예인, 영화, 대중가요, 고전 소설, 동화, 역대 인물 등을 기록한다.[28]

10.1 목록

추가 정보는 #를 참조해서 삽입바람.

11 관련 인물

  • 휴 하먼 & 루돌프 아이징 - hugh harman(1903~1982), rudolf ising(1903~1992) : 루니 툰의 초대 감독.
  • 리언 슐레진저 - leon schlesinger(1884~1949) : 1930년부터 1944년까지 루니 툰 시리즈의 프로듀서를 맡았음.
  • 프라이즈 프렐렝(프리츠 프렐랑) - friz freleng(1906~1995) : 1920년대 후기부터 1933년까지 디즈니 스튜디오, 하먼-아이징 프로덕션에서 애니메이션 원화를 그리다가 같은 해부터 1962년까지 수많은 루니 툰 단편의 감독을 맡은 메이저 애니메이터. 이후 데파티-프렐랑의 설립자 중 1명으로, 핑크 팬더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제작에 참여함.
  • 밥 크렘펫 - bob clampett(1913~1984) : 1931년부터 몇년간 루니 툰 원화를 그린 뒤 1937년부터 1946년까지 루니 툰 단편의 감독을 담당한 메이저 애니메이터. 그가 감독한 단편들은 비교적 정신줄 놓은 전개 및 연출이 많은 내용으로 팬들 사이에서 유명하며 퇴사 후엔 시나리오 작가, 인형극 작가 등으로 활동하다가 말년엔 대학 캠퍼스와 애니메이션 축제에서 강사로 활동했었다.[30] 그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한 애니메이터는 렌과 스팀피의 원작자인 존 크릭팔루시.
  • 로버트 매킴슨 - Robert McKimson(1910~1977) : 1931년부터 10여 년간 루니 툰의 원화를 그렸고, 이후 1943년부터 20여 년간 루니 툰 단편의 감독을 맡음. 1977년에 프리츠 프렐랑, 데비트 H. 데파티와 점심을 먹던 도중 발생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 프랭크 태슈린 - Frank Tashlin(1913~1972) : 1935년부터 몇년 간 루니 툰 단편의 감독을 맡았고, 이후 UPA 설립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중 1명. 시나리오 작가, 영화 감독, 책 저자로도 활동하였다.
  • 텍스 에이버리 - tex avery(1903~1980) : 대피 덕과 엘머 퍼드의 전신인 에그헤드, 그래니를 디자인해냈고 벅스 버니를 지금의 디자인으로 확립하는 등 루니 툰의 캐릭터 구도를 형성시킨데 기여함.
  • 척 존스 - chuck jones(1912~2002) : 루니 툰의 애니메이션 감독 중에선 인지도가 무척 높은 애니메이터.
  • 칼 스텔링 - Carl w. Stalling(1891~1972) : 1936년 중후기부터 1950년대까지 루니 툰 단편의 음악 작곡을 맡았으며, 이전엔 디즈니 카툰과 어브 아이웍스 카툰에서 음악감독을 담당한 경력이 존재함.
  • 밀트 프렝클린 - Milt Franklyn(1897~1962) : 1953년부터 1962년까지 루니 툰 단편의 음악 작곡을 맡았으며, 1962년 갑작스레 심장마비로 사망해 빌 라바(윌리엄 라바)가 이후 몇년간 음악감독을 맡는 원인으로 작용함.

자세한 제작진 목록은 영어 위키피디아 [1] 문단을 참조할 것.

12 관련 문서

13 수상 실적

Channel 4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만화 영화 100선 中 상위 10위
1위심슨 가족⭐️⭐️⭐️⭐️⭐️
⭐️⭐️⭐️⭐️⭐️
⭐️⭐️⭐️⭐️⭐️
⭐️⭐️⭐️⭐️⭐️
⭐️⭐️⭐️⭐️⭐️
⭐️⭐️⭐️⭐️⭐️
⭐️⭐️
2위톰과 제리⭐️⭐️⭐️⭐️⭐️
⭐️⭐️
🏆🏆🏆🏆🏆
🏆🏆
3위사우스 파크⭐️⭐️⭐️⭐️⭐️
⭐️
4위패밀리 가이⭐️⭐️⭐️⭐️⭐️
⭐️⭐️⭐️
5위벅스 버니🏆🏆🏆🏆
6위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7위드래곤볼
8위알라딘🏆🏆🏆
9위렌과 스팀피
10위루니 툰🏆🏆🏆🏆🏆
이외{{{#000000 여기를 참조}}}
※ ⭐️는 에미상 수상 횟수, 🏆은 오스카상 수상 횟수
※ 이외의 다른 만화 영화들은 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참조
  • porky in wackyland - 미국 국립 영화 레지스트리 보관 영화로 2000년에 선정됨.
  • For Scent-imental Reasons - 1949년 아카데미상 최우수 단편 주제 만화 부문 수상.
  • Knighty Knight Bugs - 1958년 아카데미상 최우수 단편 주제 만화 부문 수상.
  • What's Opera, Doc? - 미국 국립 영화 레지스트리 보관 영화로 1992년에 선정됨.
  • Duck Amuck - 미국 국립 영화 레지스트리 보관 영화로 1999년에 선정됨.
  • One Froggy Evening - 미국 국립 영화 레지스트리 보관 영화로 2003년에 선정됨.
  • Tweetie Pie - 1947년 아카데미상 최우수 단편 주제 만화 부문 수상.
  • Speedy Gonzales - 1955년 아카데미상 최우수 단편 주제 만화 부문 수상.
  • Birds Anonymous - 1957년 아카데미상 최우수 단편 주제 만화 부문 수상.
  1. 사냥꾼 엘머 퍼드가 벅스 버니를 부르는 호칭. 원래는 Rabbit(토끼)이다.
  2. 역으로 실사 영화계-특히 코미디쪽-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루이 말의 지하철 소녀 쟈지와 몬티 파이썬이 영향을 받았다.
  3. 2010년대 현재야 미국 극장판 애니메이션에선 워너 브라더스가 다소 약세인 상황이지만 193~50년대 미국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여러 영화사들이 단편 애니들을 제작해 경쟁하던 시기였으며, 디즈니가 제작했던 애니들은 당시 RKO 라디오 픽쳐스에서 배급하고 있었다.
  4. 이를 두고 노스텔지어 크리틱은 디즈니 만화는 어린이용 유머로, 루니 툰은 어른용 유머로 구분해 설명하기도 했었다.(nostalgia critic - looney tunes show: good or bad?)
  5. 이른바 1942년 상영된 'the dover boys' 편에서 UPA보다 간발 차이로 먼저 리미티드 기법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
  6. 실제 루니 툰이나 톰과 제리 같은 단편 애니메이션들은 영화 상영 전이나 막간에 대한 뉴스처럼 틀어주는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애당초 극장이 주무대였는데, 장편용 영화라고 하는게 정확하다.
  7. 영어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당시 워너브라더스는 브런즈웍 레코드 소유권을 2천8백만 달러로 몇몇 음악 출판사들과 함께 취득했었단 정보가 나와있다.
  8. 이미 그 시점엔 디즈니 스튜디오에서 silly symphony(실리 심포니)를 제작해 한창 상영하던 시기.
  9. 어느 유튜브 유저는 영상 댓글창에서 폭시가 미키 마우스 닮은 거 아님?으로 평가했을 정도로 정말 디자인이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할리우드 연예인의 등장, 대중음악의 삽입, 메인 스타 캐릭터 구성 등등.
  11. 사실 이 비화에 숨겨진 뒷얘기가 있는 것이, 영어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월트 디즈니는 1932년부터 3년간 테크니 주식회사와 3색 테크니컬러 프로세스 활용에 대해 독점 계약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 워너브라더스에서 테크니컬러를 쓰지 못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
  12. 이 시기 포키 피그 단편들을 감독한 애니메이터 중 1명이던 텍스 에이버리는 porky`s duck hunt에서 이전까지 많았던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다르게 옷을 입지 않고 민폐를 저지르면서 웃음소리를 내지르는 대피 덕을 등장시켜 애니 업계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고, 몇년 후 월터 란츠 스튜디오에선 대피 덕과 비슷한 캐릭터 우디 우드페커(딱따구리(애니메이션))를 제작한 바 있었다.
  13. 영어 위키피디아의 정보론 (DVD 코멘터리에서) 1941년 텍스 에이버리는 자신이 감독한 the heckling hare의 결말 구상으로 인해 프로듀서인 리언 슐레진저와 말다툼을 벌였으며, 이 사건이 작용해 같은해 말 텍스 에이버리 자신은 메트로-골드윈-메이어로 이직하기도 했다.
  14. i haven`t got a hat
  15. porky`s romance
  16. 이것은 톰과 제리나 디즈니 단편 등등 미국 애니메이션 황금기에 상영된 카툰들도 동일한 경우, 문제되는 장면들을 짜르면서 엔딩이 원래 내용과 뒤바뀌게 끝난 단편들도 있다.
  17. 정확힌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은 대체 욕설이지만.
  18.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순차적으로 발매됨.
  19. 북미 아마존 사이트 조회 결과론 PG-13 등급이 설정되어 있다.
  20. 정확힌 1990년대 중후반부터 방송이 금지된 단편도 있다.
  21. 10월 5일 미국 첫방영으로, 2016년 3월 31일부터 한국 부메랑 채널에서 방송 진행 중.
  22. 이 작품들 중 1990년대 이전에 발표된 영화들은 작중에 고전 단편들이 삽입되어 나오는 씬들이 있다.
  23. 실제로 초창기 루니툰 제작을 진행한 휴 하먼과 루돌프 아이징은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근무한바 있었기에 틀린 말은 아니다.
  24. 처음엔 음악이 두 번 연주되고 타이틀 카드가 넘겨졌지만, 한번으로 줄어들었다.
  25. 40년대 초반까지는 음악의 길이가 약간 길었지만, 이후로 템포가 빠르게 연주되기 시작하였다.
  26. 조연인 피트 퓨마 등도 맡고 있다.
  27. 사실 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미 루니 툰을 토대로 델 퍼블리싱(dell publishing), 골드 키 코믹스(gold key comics)에서 코믹스를 발매한 경력이 있었다.
  28. 실제로 1931년부터 1933년까지의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제목은 대중 가요에서 따온 제목이 대다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 발표한 선전용 단편에선 아돌프 히틀러, 토조 히데키나 기타 독일군, 일본군 병사들이 많이 등장했다.
  29. 중간에 한 코끼리가 난 덤보가 아니라는(i`m not dumbo) 간판을 달고 나온다.
  30. 영어 위키피디아 문서 밥 크렘펫 논쟁 문단에 의하면 척 존스는 밥 크렘펫이 무척 맘에 들지 않아 1979년 개봉한 벅스 버니/로드 러너 무비 영화와 1989년 발간한 자서전 chuck amuck에서 일절 언급하지 않았으며, 멜 블랭크는 자기중심적으로 모든 것을 크레딧한 사람이라 비난했다고 한다. 1946년의 어느 잡지 기사에선 벅스 버니의 창조자로 자신을 언급했는데 이는 벅스 버니를(영어 위키피디아 참조.) 디자인한 애니메이터들을 생각하면 자기중심적이라 판단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