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토 민족

일본의 민족(日本の民族)
주요 민족비주류 민족사라진 민족
야마토 민족
(大和)
류큐인
(琉球)
아이누 인
(アイヌ)
재일 외국인(在日)구마소
(熊襲)
에조
(蝦夷)
하야토
(隼人)
재일 한국인
(在日朝鮮)
재일 중국인
(在日中国)

304px-Japanese_People.jpg
[1]
일본어 : 大和民族
아이누어 : シャモ, シサム[2]
오키나와어 : ヤマトゥンチュー[3]

대화민족(大和民族). 일본인을 구성하는 가장 주류라 할 수 있는 민족. 일본 열도에 주로 살며 미국브라질에 1백만 이상이 산다. 사실 '야마토'는 를 뜻하는 '왜(倭)'의 훈독이었는데,왜? 일본인이 숭상하는 사상이 화(和)라는데서 和도 야마토로 읽게 되었으며 대를 붙여 대화(大和)도 역시 같은 뜻이기에 야마토를 가리키는 표현이다. 일본(日本)이란 표현도 야마토를 표기하는 방법 중 하나였는데 야마토라 읽는 식은 사라지고 니혼이나 닛폰이라 읽게 되었단 설도 있다.

일본인엔 야마토 민족 말고도 아이누족이나 류큐인, 한민족[4], 한족 등이 있다.

1 개요

일본은 지방별로 다이묘가 다스리고 지방분권적으로 발달한 곳이라 오늘날의 국민국가 같은 단일한 민족관념은 희박했다. 과거의 일본인들이 동남아시아대만, 중국 등에 용병으로 가던 왜구로 가던 일이 잦은 이유기도 했다. 야마토 정권이 5세기부터 규슈하야토구마소를 흡수하고 동북쪽으로 에조를 밀어내면서 일본 열도에서 야마토인들은 주류적인 세력이 되었다. 그러나 분권형 발전으로 인해 강력한 중앙집권을 이루지는 못 했다. 그러던 것이 19세기에 이르러 메이지 유신국가신토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본인이란 거대한 국가적 일체로 거듭나게 되었다. 그러면서 나타난 관념이 야마토 민족이었다.

야마토 민족 자체의 혈통은 도래인류큐를 거쳐 올라온 다양한 남방계 혈통, 에조와 여러 민족이 섞여 다양했지만 근대적인 민족 관념으로 통합됐고 곧 일본인의 본류가 되었다. 아이누류큐인들의 피지배민족은 여기에 포함됐지만 일본의 단일민족 사상은 그들을 핍박했다. 부라쿠민도 제외된 건 마찬가지이다.

오늘날엔 재일 한국인이나 재일 중국인 같은 일본의 다른 인구 집단과 자신들을 구분하기 위해 야마토 민족이란 개념이 다소 쓰이지만 제2차 세계대전 때 겪은 일에 대한 반작용인지 예전만큼 강하지는 않다.

카즈토(和人)라고 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야마토 민족은 규슈 북부와 혼슈 서부에서 출발했으며 점차 일본 열도에서 확대됐다. 일부 일본 학계에선 줄기차게 잠시 바다를 건너 한반도임나일본부를 설치했다고 주장하지만 규슈도 제대로 통치하에 두지 않은 야마토 정권이 바다 건너를 어떻게 지배했을지는 심히 의심스럽다. 19세기 말에 이르면 홋카이도까지 정복한다. 그 후 각종 제국주의를 내세워 팽창하다가 개털리고 현재는 일본 열도로 위축됐지만 미국으로부터 오키나와를 다시 가져오는 데에는 성공했다.

이들은 대체로 외침보단 안에서 복작거리며 싸운 쪽인데 딱 두 번 제대로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은 그나마 무위로 그쳤지만 그들에게 엄청난 충격이었고 미국은 그들을 제대로 한 번 털어 GHQ를 두기도 했다. 현재도 주일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2 역사

일본/역사 참조.

3 한반도와의 관계

규슈혼슈 서부에 살던 야마토 계통의 인간들은 삼국시대 초기부터 한반도로 자주 들어왔다. 왜구로든 정규군으로든. 신라말에는 잠시 한반도가 혼란해지자 이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침입하기도 했으나 한반도가 안정되고 열도가 혼란해지자 다시 왜구들이 고려말에 엄청나게 들쑤셔댔고 조선 초중기에도 그래서 왜관 등을 설치하며 회유했으나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그리고 근대에 들어선 일제강점기를 겪었다.

일제강점기엔 이들의 약 60만 정도가 한반도에서 살기도 했다. 이들은 미군이 들어오자 쫓겨났고 돌아간 이들을 히키아게샤라 부른다.
  1. 맨위에서 오른쪽 첫번째 메이지 덴노의 사진은 일본인 같지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일종의 포토샵으로 조작된 사진이다. 당연히 당시에는 포토샵은 없었으나 핀셋이나 바늘, 덧칠따위로 사진 현상 단계에서 이미지에 조작을 가할 수 있었다.
  2. 이웃사람이라는 뜻에서 온 단어이다.
  3. 야마토 사람이란 뜻이다.
  4. 도래인은 제외하고 2013년 기준으로 생존해있는 귀화자가 32만 수준이다. 대부분은 재일 한국인의 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