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중학교

은평구중학교
구산중학교대성중학교덕산중학교불광중학교상신중학교선일여자중학교
선정중학교숭실중학교신도중학교연서중학교연신중학교연천중학교
영락중학교예일여자중학교은평중학교증산중학교진관중학교충암중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교명연천중학교[1]
개교1984년 05월 04일
유형일반 중학교
성별남녀공학
학생 수약 460여 명
운영형태공립
소재지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41길 30
홈페이지

1 개요

1984년 5월 4일 개교한 남녀공학 중학교이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41길 30.

1.1 역사

2016.02.05.제 30회 졸업식 (215명 졸업)
2015.12.31.문화예술 영역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4.02.28.제28회 졸업식(209명 졸업, 총졸업생수 : 11,154명)
2014.02.07.학교평가 우수상 교육장 표창
2013.12.30.환경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3.12.30.학교급식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2.12.31.진로지도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2.09.01.제13대 강은석 교장 취임
2011.12.30.사교육 경감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1.03.01.제12대 홍영호 교장 취임
2010.12.30.특별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09.12.29.생활지도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09.12.29.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08.12.25.수련교육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08.03.03.좋은 학교 만들기 자원학교 운영
2008.03.03.좋은 학교 만들기 자원학교 운영
2007.12.31.ICT활용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06.03.01.제11대 김상옥 교장 취임
2005.04.01.전국 중학교 축구 춘계 연맹전 3위 입상
2004.12.31.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03.09.01.제10대 최민자 교장 취임
2001.12.29.제9대 문내식 교장 취임
2001.11.08.제20회 서울시 축구 협회장배 축구대회 3위 입상
2000.12.28.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00.07.12.전국 중학 축구 서울시 예선 우승
2000.03.01.제8대 이상옥 교장 취임
1999.09.01.제7대 이명기 교장 취임
1998.12.18.평생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1998.09.15.제6대 이기동 교장 취임
1998.03.01.제5대 이봉준 교장 취임
1995.12.31.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1994.03.01.제4대 소진율 교장
1993.12.31.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1993.03.01.제3대 최정희 교장 취임
1990.12.31.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1989.03.01.제2대 한형식 교장 취임
1987.02.13.제1회 졸업식(1006명 졸업)
1984.05.04.개교식
1984.01.19.연천중학교 설립(15학급 인가)
1984.01.09.초대 유재혁 교장 취임

1.2 교가

파일:서울연천중학교 교가.gif

1.3 상징

영문 : Yonchon Middle School.[2]
교훈 : 正心, 淸心, 明心 (정심, 청심, 명심)
교조 : 비둘기 (평화)
교화 : 국화 (고결)
교목 : 은행 나무 (장수)

2 주변 환경

571, 701, 720, 7211, 7720을 타고 '북한산 대창 센시티 아파트' 혹은 '연신 초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 후 편의점과 제과점 사이 골목길을 따라 대략 3~5분 정도 올라오면 있다.
언덕 올라가는 길에 편의점, 제과점, 치킨집, 피자집, 분식집, 중화요리집, 돈가스집, 대형 슈퍼마트 등이 자리 잡고 있어 굶을 걱정은 없다.

학교로 올라가는 언덕의 끝자락에 거의 다다르게 되면 (볼펜과 노트를 나눠주는 좋은 사람들과) 지킴이 선생님을 만날 수 있다. 지하철 역으로는 불광역, 연신내역, 구파발역, 독바위역 중 어디랑도 가깝지 않아서 버스를 타는 쪽이 제일 편하다. 그나마 연신내역에서 내려 '연서시장' 정류장에서 버스로 환승하여 통행하는 것이 편하며 학교 가는 게 이렇게 모험이기 때문에 자전거로 등교하는 학생이 상당수이다. 물론 도보로 통학하는 학생도 매우 많다.

3 인근 학교

바로 아래에 위치한 연신 초등학교 혹은 근방에서 학생 수가 제일 많은 불광 초등학교에서 70%의 학생들이 진학해 온다. 연광초, 연천초, 대조초, 대은초, 갈현초, 수리초 등에서도 온다. 인근 학교에 비해 학생들이 착하다는 평이 많아서 주변에 위치한 연신 중학교와 불광 중학교와 많이 비교되기도 한다. 연신 - 불광 - 연천으로 배정되시는 선생님들도 계시고 이 근방 학교를 나오신 선생님들도 은근 많이 계신다. 애초에 중학교는 근거리 배정이라 인근 학교에 친구들도 많아 교류도 많다. 하지만 불광중과 연신중에 학생들을 빼앗겨 세 학교 중에서 학생 수는 최하위이다. 2016년에는 최소 학급 단위인 18학급을 맞추기 위해 5학급이던 1학년을 6학급으로 늘리고, 6학급이어야 할 3학년을 7학급으로 늘려서 간신히 턱걸이로 18학급을 넘겼다. (학급 당 학생 수가 25명이라는 건 안 비밀)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성적은 이 근방의 다른 학교들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고입 실적이 마냥 좋지만은 않다. [3] 고등학교 진학과 같은 경우에는 남학생은 대체로 신도고나 선정고 등을 많이 지원하고, 여학생은 주로 동명여고[4]를 지원하는데, 결과적으로 남녀 모두 신도고에 제일 많이 진학한다. 또 대성고등학교는 매년 8~10명 정도 진학하고, 하나고등학교는 매년 한 명씩 진학했으나, 2014학년부터는...

4 시설

다른 학교에 비해 시설이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다. 본관, 해오름관 (강당), 세로토닌 드럼클럽 연습실, 시설 관리과, 분리수거장, 영양실, 직원 식당, 유리 온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1 본관

본관은 하늘에서 보면 'ㄴ'자 형태로 되어 있다.

  • 1층

중앙(구령대 앞)으로 들어가면 제 1 현관과 로비가 있고 뒷마당으로 연결되는 통로 (제 5 현관)가 있다. 대교무실 (교무부, 연구부, 창의인성부, 방과후교육부, 인문사회교육부, 방송실, 성적실)이 로비 우측에 있으며, 교무실 뒷문으로 나가면 제 2 현관과 가사실, 직원 식당 통로가 있다. 로비 좌측에는 좌측에 차례로 행정실과 교장실, 회의실이 있고 맞은편에 숙직실과 예전에 사용한 듯한 샤워실이 있다. 로비 좌측 끝에는 제 3 현관이 있고, 쭉 들어가면 보관실, 등사실, 교육 정보부 교무실, 과학 교육부 교무실, 제 1 과학실, 다목적실, 음악실까지 여러 시설이 있다.

과학 교육부 교무실 건너편 계단 옆에는 창고와 공용 피아노[5], 제 4 현관이 있다.

  • 2층

3학년 1반에서 3학년 7반까지의 교실이 있는데 3학년 7반만 다른 여섯 반과 떨어져 있다. 3학년 각 반에서 방과 후 학교 수업를 진행한다. 그 외에도 (전) 3학년 경위실, 생활 체육부 교무실, 건강 체력 교실, 제 2 과학실, Dream Room (공부방), 보건실이 있다.

  • 3층

2학년 1반에서 2학년 5반까지의 교실이 있고, 혼자 동 떨어져 있던, 올해는 없는 (전) 2학년 6반 교실은 올해 2학년 탈의실로 쓰인다. 그 외에도 (전) 2학년 경위실, 민속 놀이 및 탁구실, 학년부 & 진로 진학 상담부 교무실, 도서실, 미술실, 영어 전용 교실 등이 있다. 도서실은 냉난방 시설이 있어서 학생들이 몰리기도 한다. 조용히 책 읽고 있던 학생들은 안습 그리고 여담으로 도서실에 라이트 노벨(...)이 몇권 존재한다.

  • 4층

1학년 1반에서 1학년 6반까지의 교실과 (전) 수학 교육실, 빈 교무실, 기술실, Wee 클래스와 청심 교실이 있다.

  • 5층

1학년 여학생 탈의실과 옥상으로 통하는문이 있다.

4.2 기타 시설

  • 해오름관(강당)

해오름관은 그나마 최근에 지은 건물이라 깨끗하고 좋은 편이다. 지하는 주차장이고, 지상은 체육관에 그 위는 옥상이다. 체육관에서는 교과 체육 수업, 스포츠 클럽 활동, 아침 / 방과 후 농구부 활동, 학부모 총회, 차기 총학생회장 선거, 입학식과 졸업식, 강연이나 공연을 볼 때 혹은 주요 전교생 행사 (상견례, 동아리 발표대회, 합창제 등) 와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만능 점심 시간에는 체육관을 개방하는데 에어컨과 히터가 빵빵하기 때문에 학교에서 교무실과 도서실과 더불어 최고의 온도와 환경을 가진 장소라 학생들이 잔뜩 몰린다. 그래서 점심 시간에 교실에 남아 있는 학생들은 거의 없다.

화장실은 본관에 비해서 매우 깨끗하다. 옥상에서는 텃밭을 가꾸고 있고 가끔 토끼가 보인다는 이야기도 있다.

  • 구 축구부 숙소(현 세로토닌드럼클럽 연습실)

(구) 축구부 숙소는 1999년 신축되어 2006년까지 축구부 숙소로 활용했으나 이후부터는 스포츠클럽 민속놀이반, 동아리 모둠북/난타반 수업 장소로 쓰였었다. 2014년 4월부터는 세로토닌 드럼클럽 연습실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몇 년 간 특별한 관리 없이 방치되었던 공간인 만큼 시설이 매우 열악하다. 방충망이 뚫려 있어 산모기에 쏘여야 하고,[6] 화재 위험 때문에 난방 시설이 없어서 겨울에는 거의 얼어 죽어야 한다.

세로토닌 드럼클럽 연습실 옆에서는 전에 축구부가 쓰던 휴식 장소와 샤워장이 8년 간 묵혀져 있었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옆에 매점이 있었다가 폐지되었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7]

  • 시설 관리실, 분리수거장, 유리 온실, 직원 식당

추가적으로 몇 가지 부가 시설을 더 볼 수 있는데, 시설 관리과는 훼손된 학교 물품들을 고치는 곳이지만 정작 고쳐 주는 건 보기 힘들다. 수리를 요구해도 1주일 뒤에나 고치러 온다.

옆에 분리수거장이 있는데[8] 과거엔 전교생이 분리수거 당번을 피하려고 했었다. 분리수거를 담당하는 주무관이 굉장히 무책임한 태도로 관리하기 했기에 학생들 사이에서 엄청난 욕을 먹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생님들에게도 욕을 먹었으나, 2016년이 되면서 주무관이 다른 사람으로 바뀌었다.

유리 온실 내부에는 교감 선생님이 기르시는 많은 식물들이 자라고 있고, 직원 식당에서는 교과 선생님들이나 행정실 직원분들이 식사를 한다.

5 생활

5.1 규정

옛날엔 규정이 상당히 셌지만, 최근에는 많이 완화되었다. 하지만 아직 단속하는 것도 있다. 등교할 때 생활체육부 선생님들이 교문에서 대기하는데, 염색과 파마를 하거나, 이름표를 가져오지 않거나, 실내화를 가져오지 않으면 옆에서 일렬로 서있다가 종이 치면 들어간다. 바지 통 줄이기, 치마 길이 줄이기, 화장, 매니큐어 등도 원래는 다 걸리지만 선생님들이 봐주시는 듯하다. 외투를 입을 땐 안에 반드시 마이를 입어야 하며, 실내에서 실내에서는 반드시 실내화를 착용해야 한다. 체육복 착용은 허용되지만, 여름철 체육복 등하교 허용 기간을 제외하고는 교복으로 등하교를 해야한다.

최근에는 지각 단속이 크게 강화되었다. 특히 학년 말에 기말고사가 끝나면 학생들이 지각을 많이 하는데 이때 지각하다가 잘못 걸리면 된통 맞으니 주의할 것. 또 요즘에 상벌점제를 잘 활용하지 않는 것 같다.

5.2 급식

급식실, 식당이 따로 없어 교실에서 식사한다. 12시 30분부터 13시 10분까지 점심 시간이며, 13시 15분부터 5교시 수업이 시작된다. 급식은 별로라는 평이 많다.

5.3 자치 활동

학년 말에 합창대회 전후로 다음년도 총학생회장 선거를 진행한다. 항상 강당(해오름관)에서 해 왔지만, 2015년에는 교실에서 진행했었다. 총학생회장 선거에서는 학생회장(2학년 득표수 1등), 수석 부회장(2학년 득표수 2, 3등), 차석 부회장(1학년 남녀 득표자 각 1등), 총 5명을 선출한다. 전교임원들이 추천하는 인물과 함께 해서 학생회로 활동한다. 3학년 학생회는 연말에 총학생회장 선거 관리 위원회로 활동한다.

1학기, 2학기에 학급에서 남자 회장과 여자 회장을 각각 선출한다. 그리고 학년초에 학급에서 2명씩 자율부라고 쓰고 선도부라고 읽는다도 선출한다. 가끔씩 학급회장과 학생회, 자율부, 자치법정 등이 한 자리에 모여 대의원회의를 진행한다. 사실 선후배 사이가 친하지 않아서 어색하기만 하고 의견도 많이 안 나오고 좁은 공간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다리만 아프고 힘들다.

5.4 동아리

상설동아리, CA, 방과후학교 특기적성 분야 등의 분류가 잘 되어 있지 않다. 공식 데이터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 상설동아리 : 학년 초 혹은 수시로 신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부원을 모집한다. 또래학습 봉사단, 음악사랑 통기타반, 꿈나래반, 영어연극반, 아롱다롱반, 연천녹색생활반, 연천 역사인권동아리, 연천방송부, 연천도서부, 뮤지컬, 연천축구부, 연천농구부, 세로토닌 드럼반, 자율창작반, 연합동아리 등이 있다.
  • CA : 정해진 CA 시간에 모두가 참여한다. 농구부, 도서부, 방송부, 역사인권동아리, 축구부, 영어연극부 등의 일부 상설동아리도 포함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CA로는 밴드, 제과제빵반, 연천기자반, 마술, 영화비평반, 방송댄스, 또래상담반 등이 있다.
  • 방과후학교 특기적성 : 일부 상설동아리, CA가 포함되어 있다. 밴드, 뮤지컬, 축구, 농구 등이 그 예이다. 이들은 정해진 부원만 신청할 수 있다. 배드민턴, 토탈구기, 보컬 K-pop, 가야금 등 방과후학교 수업 시간에만 진행하는 것도 있다.

5.5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는 크게 교과학습 프로그램, 특기적성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4기(1학기, 여름방학, 2학기, 겨울방학)로 운영되고 겨울방학은 3학년 강좌가 없다. 가격은 주로 48,000원 ~ 72,000원 정도로 학원보다 더 저렴한 편이다.

5.5.1 교과학습 프로그램

말 그대로 공부하는 강좌다. 주로 학교 내부 선생님들이 담당하시고, 3학년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한다. 수학, 영어는 자신의 수준에 맞게 기초, 심화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중간에 수준에 맞게 강좌를 옮길 수도 있다. 수학, 영어는 월요일과 수요일에, 국어, 과학은 목요일에 진행된다.[9] 대부분의 수업은 내신 대비 수업이며, 시험 전에는 선생님들이 특별히 시험 문제를 흘려주시기도 한다. 가끔 강좌 수강을 하지 않는 학생들이 차별이라고 반발하기도 한다.

5.5.2 특기적성 프로그램

주로 교과 프로그램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화요일과 토요일에 진행된다. 가야금, 통기타, 댄스, 배드민턴, 뮤지컬, 축구, 농구, 토탈구기, 밴드, 보컬 강좌 등이 있다. 주로 외부 강사가 진행한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반도 있는데 왜 교과학습 프로그램이 아닌 특기적성 강좌인지는 조금 의문이다. 상설동아리 혹은 CA와의 연계 강좌가 아닌 강좌는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운영된다. 축구, 농구는 방과 프로그램이지만 월, 수, 금 아침에 진행한다는 특이점도 있다.

6 행사

  • 1학기 중간고사는 항상 5월 1일을 거친다.. 근로자의 날이라 급식아주머니들이 근무하지 않으시기 때문. 5월 4일은 개교기념일이기 때문에 어린이날까지 합해 최소 이틀은 쉴 수 있다. 5월 중에 3일 간 노는(?) 기간이 있다. 2학년은 수련회를 가고, 1, 3학년은 구기대회, 소풍, 봉사활동, 진로체험 등을 한다.
  • 1학기 임원수련회는 1박2일로 대의원회 모두(학생회, 학급임원, 자치법정, 자율부)가 참여하지만 2학기 임원수련회는 2학기 학급 임원들만 당일치기로 체험활동을 다녀온다.[10]
  • 원래 10월에 백일장사생대회, 동아리발표대회 혹은 작품전시회를 진행[11]하고, 11월에 연천걷기대회를 진행했으나 2015년부터는 백일장사생대회가 없어졌고, 2016년부터는 동아리발표대회 혹은 작품전시회가 11월 말로 이동했다. 연천걷기대회는 10월로 앞당겨졌다.
  • 매년 3학년을 대상으로, 2학기 기말고사가 끝난 후에 Y리그라는 반대항 축구 리그를 진행했었다. 결승전은 3학년 전체 학생들이 은평구민 체육센터에서 다같이 볼 정도로 인기있는 행사 중 하나였는데, 2014년 대회 중 발생한 안전사고의 영향으로 인해, 안전 상의 이유로 학생들의 심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2015년에 폐지되었다. 결국 축구부[12]가 앞장서서 점심시간에 학생들만의 자체적 리그를 진행한다.
  • 12월 말에 항상 연천음악제(약칭 연천제)와 연천합창대회가 격년제로 운영되어왔으나, 2015년부터는 연천제가 폐지되고 매년 합창대회만 진행한다.
  1. 정식 명칭은 서울연천중학교. 연천중학교 교명을 쓰고 있는 부산 부산연천중학교경기도 경기연천중학교와 충돌 가능성이 있으니 이쪽 학교를 칭하는 것이라면 정식명칭을 쓰도록 하자
  2. 로마자 표기법 상 Yeoncheon 이 옳은 표기법이지만, 경기도 연천중의 역사가 오래 되고, 사이트 도메인 충돌 때문에 (중학교는 ms.kr 도메인만을 사용한다.) 그러한 이유로 Yonchon으로 표기한다.
  3. 적은 학생 수가 주된 원인인 듯하다.
  4. 십중팔구는 다 동명여고를 지원할 정도로 인기가 많다.
  5. 쉬는 시간, 점심 시간, 방과 후와 같은 시간에 학생들이 자주 와서 치는데, 천본앵, Bad Apple!!, Maple Rag, Flower Dance, 젓가락 행진곡, 캐논 변주곡과 같은 음악이 상당히 자주 들린다.
  6. 연천중학교 뒤에는 갈현근린공원이라는 작은 뒷산이 있다. 더불어 2014년까지는 뒤에 생각보다 큰 크기의 밭도 있고 평소에 전체적으로 한적한 분위기 때문에 처음오신 선생님들이 시골이라 착각할 정도였는데, 2015년부터는 그곳에 갈현도시농업체험원을 운영하고 있다.
  7. 문제로 폐지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8. 개교 초기에는 이 곳이 토끼장이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9. 목요일 강좌는 주로 과학을 신청하기 때문에 국어는 방학을 제외하고는 항상 폐강됐다(...)
  10. 2015년에는 금연 강의를 진행했다.
  11. 동아리발표대회와 작품전시회는 격년제로 운영된다.
  12. 선술했듯 공식 축구부는 2013년 4월에 해체됐지만, 방과후학교 축구반, 스포츠클럽 축구반, 동아리 축구반 등 비공식적 축구부는 활동 중이다. 대회도 나가던데 왜 정작 공식 축구부는 해체되었는지 모르겠다.